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권재욱 서경대 특임교수.jpg

그 일은 생각할수록 어처구니 없고 미안한 일이었다.

 

유년시절 초등학교 3, 4 학년 때 쯤으로 기억된다. 여름방학이라 이웃집에 부산에서 또래 친구가 와 있었는데, 얼굴이 하얗고 아는 것이 많았다. 그렇게 보였다. 다소 거들먹거리는 게 거슬렸지만 대도시의 신기한 이야기를 많이 해주어 틈만 나면 그와 어울렸다. 영도다리가 하루 두 번씩 하늘 위로 열린다는 이야기, 한 학년이 우리 학교 전교생보다 많은 12반이라 수업을 오전 반과 오후 반으로 나누어 한다는 얘기 등 놀라운 얘기에 우리 시골 아이들은 귀를 쫑긋 세웠다.

 

하지만 그 이야기는 하지 않았으면 좋았을 터였다. 부산 용두산 공원에 이순신 장군 동상이 있다는 것이었다. 나는 잠시 당황하며 계산을 해보았다. 이순신 장군이 언제적 사람인데, 나이 차이가 많이 나는 막내 동생이라도 그렇지, ‘동상이 여태 살아있다는 소리는 우리를 촌놈이라고 깔보는 것임에 틀림없다고 생각했다. 나는 거짓말 말라며 버럭 소리쳤다. 그는 틀림없다고, 아버지와 가서 직접 봤다며 목소리를 높혔다. 그 후로 다시는 그와 놀지 않았다. 동네 아이들에게도 설명해 주었다. 이순신 장군의 친 동생은 커녕 팔촌 동생이라도 그럴 수는 없다고, 임진왜란 발발 년대와 사람 나이를 계산해가며 얘기해 주었다. 내 말을 쉽게 알아들은 친구들도 하나 둘 그와 거리를 두기 시작했고, 그는 며칠 안되어 부산으로 되돌아 갔다.

 

그때까지 우리 마을에는 아직 전기가 들어오지 않아, 석유 등잔불 아래서 숙제를 하고 나면 콧구멍이 연기에 절어 새까매진 채로 나다니던 우리들은 동상이라는 것을 본 적도 알지도 못했다. ‘동상이라는 말은 할머니와 엄마로부터 귀 아프게 들어 온 동상을 잘 데리고 놀아라’, ‘동상과 사이좋게 지내라는 말이 전부였다. ‘동상은 오로지 동생을 의미했다. 지금까지도 어디선가 무식한 놈이 용감하다는 말이 들리면 부끄러워져 얼굴이 붉어진다.

 

살다보면 단어의 의미에 대한 해석과 작은 오해가 큰 갈등을 불러오는 경우가 많다. 대선을 앞두고 토해내고 있는 후보자들의 열띈 발언들을 듣고 있으면 새삼 어휘에 대한 바른 정의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절감한다.

 

유감이다, 사과한다, 같은 흔한 말이나, 법치, 개혁, 공정, 정의, 내로남불, 정권교체 등 무거운 단어들, 심지어 자유와 평등, 상식 같은 누구나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말들까지 그것의 의미를 각각 아전인수식으로 해석하고 발설함으로써 토론은 독백이 되고 정책 경쟁은 말싸움으로 전락하고 있다.

 

따라서 누군가 말을 하면 핵심 단어의 뜻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먼저다. 다음에 앞 뒤 맥락을 짚어보고, 때로는 그 말이 나온 상황까지 감안하여 전체를 이해해야 한다. 그렇다고 만나는 모든 사람에게, ”나와 이야기하고 싶다면 먼저 너의 용어를 정의하라고 깐죽댈 수는 없지 않은가. 계몽주의 사상가 볼테르의 말이다. 그는 적확한 어휘와 빛나는 재치로 18세기 타락한 권위와 광신을 맹폭하여 프랑스 대혁명의 아버지가 된 인물이다.

 

한때 뒷골목에는 불량배들이 설쳤는데, 지나가는 학생을 붙들고는 돈 좀 빌려달라며 손을 내밀곤 했다. 학생들은 꼼작없이 돈을 내주었는데, 이때 그 돈을 되돌려 받을 것이라고 생각한 친구는 없었다. 불량배가 사용한 빌려달라는 말은 그냥 달라!’는 의미임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얼마전 존경하는 아무개님! 이라고 했더니 진짜 존경하는 줄 알더라는 말이 회자됐었는데, 자신의 과거 언행과 최근의 현란한 논법을 제대로 감안하여 이해하지 못한 사람들의 경솔함을 오히려 나무라서 많이들 머쓱해 했다.

 

개와 늑대의 시간이라는 말이 있다. 어느 프랑스 시인이 쓴 표현인데, 해 질 무렵 산등성이에서 어슬렁거리며 다가오는 실루엣이 나를 맞이하러 나온 개인지 해치려는 늑대인지 분별하기 어려운 시간을 일컫는 말이다. 어스름 속에 희끄므레하게 보이는 모양새로는 개인지 늑대인지 구별하기 힘들다. 우는 소리도 비슷하여 쉽지는 않으나, 세심하게 들으면 분별할 수 있다. 눈 앞에서 그의 태도나 동작을 볼 수 없다면 소리로 판별할 수 밖에 없다.

 

사람도 일차적으로 그가 하는 말(言語)로 그 됨됨이를 짐작한다. 말의 진실성은 행동으로 증명된다. 말은 쉽게 꾸밀 수가 있으나 행동은 거짓으로 꾸미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급할 때는 말과 행동의 일치여부만 잘 살펴보아도 구별의 실익이 있다.

 

요컨대 사람은 말을 할 때 어휘의 뜻을 정확히 해야 하며, 듣는 사람은 화자가 스스로 밝히지 않더라도 그의 과거 화법과 행적을 고려하여 새겨서 들어야 한다. 그래야 얼마 남지 않은 어스름 시간에 성큼성큼 다가오고 있는 저 실루엣의 정체가 개인지 늑대인지 제대로 판별할 수 있다. 사람의 됨됨이는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은 화려한 몇 마디 말로 가늠할 수 없다. 그리고 사람은 그렇게 쉽게 바뀌지 않는 법이다.


<원문출처>

대한경제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201191558334440513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3509

서경대학교 예술종합평생교육원 주최 ‘2018년 제5회 서경 미용&모델 하계 진로체험’ 성료 file

7월 27일(금) 유담관 14층서, 미용과 모델에 관심 있는 전국의 고등학생 대상 헤어 · 메이크업 · 모델 분야 신청한 132명의 참가자, 대학에서 배우는 수업 미리 참관하고 직업탐색 및 진로체험 기회 가져 서경대학교 예술종합...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센터, ‘2018년 지역특화 진로체험 프로그램’ 개최 file

- 교육부 주최, 성북문화재단 미래창창 성북청소년진로직업체험지원센터 공동 주관 - 7월 30일(월) 교내 본관 8층 컨벤션홀서 - 5일 동안, 공연예술과 실용음악, 뷰티메이크업 분야에 관심 있는 서울시 관내 청소년 대상, ‘미래와...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 학생들이 제작 및 방송에 참여하고 있는 한국직업방송의 생방송 ‘취업이 보인다 X 청년단이 간다!’ 17회차 방송분 ‘실내인테리어디자이너’ 편, 6월 25일(월) 오전 11시부터 1시간 동안 방영돼 file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운영위원장 방미영 교수, 이하 ‘청문단’) 학생들이 제작 및 방송에 참여하고 있는 한국직업방송의 생방송 ‘취업이 보인다 X 청년기획단이 간다!’ 프로그램(아나운서 ‘조서연’, PD ‘한아름’)...

[인터뷰] 김낙순 한국마사회장 "힐링 승마 등 馬 콘텐츠 늘릴 것… 렛츠런파크에 놀러오세요" file

“한국마사회가 지금의 이미지를 갖게 된 건 결국 우리 탓이 큽니다. 마사회는 ‘공기업’입니다. 국민을 위해 우리가 공헌하고 있다는 사실을 모두가 느낄 수 있도록 변화하겠습니다.” 경기 과천시 한국마사회 본관 접견실에서...

[진세근 서경대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漢字, 세상을 말하다] 弔問<조문>

조문은 죽은 자를 찾아 명복을 비는 일이다. 문상(問喪)이라고도 한다. 중국에서는 조문 대신 조언(吊唁) 혹은 조상(吊丧)이란 표현을 더 많이 쓴다. 弔는 吊의 이체(異體)다. 글자 모양은 다르지만 같은 뜻이란 얘기다.중국의 장...

[청소년 진로 매거진 MODU] 실용학문으로 미래형 인재를 양성하는 서경대학교 file

글로벌 실용교육 중심 대학으로 도약하는 서경대학교는 창의적이고 현장경험이 풍부한 ‘크레오스(CREOS)형 글로벌 리더’를 양성하고 있다. 단과대학 규모로는 세계 최초로 미용예술대학을 신설했으며, 서울 소재 4년제 대학 중 ...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의 한국 블로그]한국×일본, 어떤 화학작용이 일어날까 file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한국과 일본의 엔터테인먼트 산업이 지혜를 모아 펼치는 아이돌 육성 프로그램 ‘프로듀스 48’이 화제다. 내가 근무하는 대학에는 중국, 대만, 러시아 등에서 온...

[구병두 서경대 교수의 교육칼럼] 빅데이터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원유 file

서경대학교 인성교양학부 교수 (사)한국빅데이터협회 부회장 4차 산업혁명은 세계경제포럼 클라우스 슈밥(Klaus Schwab) 회장이 2016년 세계경제포럼의 주제로 정한 뒤,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4차 산업혁명시대를 이끌어갈 주력 산업...

블록버스터 미국드라마 채널 'AMC', '코믹콘 2018' 참여하여 다양한 이벤트 펼쳐 file

<사진제공-SB미디어> 블록버스터 미국드라마 채널인 'AMC'가 지난 5일 성황리에 종료된 ‘2018 서울 코믹콘’에 참가하여 올레tv와 함께 세계최초로 ‘피어 더 워킹 데드'(Fear the Walking Dead)의 신규 에피소드를 공개했다. ...

[진세근 서경대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 홍콩 넘은 상하이, 이제 뉴욕으로 간다 file

중앙일보 특파원 부임 차 1998년 2월5일 홍콩 카이탁(啓德) 국제공항에 내렸다. 헌데 기저귀 찬 막내까지 식구 다섯 모두가 공항 청사에 갇혔다. 부친 짐이 나오지 않은 탓이다. 발을 구르며 이리저리 헤매다 카트 위에 올려 ...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