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 진세근 교수.jpg

진세근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사무총장·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


2021년의 색깔은 검정이다. 개인적인 소회다. 코로나 탓이다. 세상이 죽음과 신음으로 덮였다.

 

기독교는 코로나와 죄()가 닮은꼴이라고 설명한다. 첫째, 둘 다 인간이 만들었다. ‘중국 실험실 유출같은, 아직 확인되지 않은 ()’은 그만두고라도 코로나는 인간이 자연을 착취한 대가라는 학설이 대세다. 죄 역시 인간의 제조물이다.

 

둘째, 분리다. 죄가 하나님으로부터 인간을 분리시키듯 코로나 역시 사람과 사람을 분리시켰다. 우리는 요즘도 하루하루를 분리 속에 보낸다.

 

셋째, 둘 모두 대가는 죽음이다. ‘죄의 삯은 사망이라는 말은 기독교의 유명한 경구(警句). 코로나 역시 수많은 죽음을 몰고 왔다. 지금까지 전 세계 누적 코로나 사망자는 150만 명을 훌쩍 넘겼다.

 

코로나 때문만도 아니다. 올해 대한민국은 유난히 암울했다. 서너 배씩 뛴 부동산 가격이 그렇고, 10% 이상 급등한 물가가 그렇고, 표류 중인 남북 관계가 그렇고, 이리저리 찢긴 사회와 정치가 그렇다.

 

해법은 누구도 모른다. 저마다의 주장만 어지럽다. 대선 후보들의 공약 역시 서로 비슷해 미지근한 느낌만 준다. 상황에 따라 이리저리 바꾼 탓에 무엇이 원안이고 무엇이 수정안인지, 공약을 밝힌 본인조차 헷갈리지 않을까 싶다.

 

최근 박세리 선수의 슬럼프 얘기를 들은 적이 있다. 어느 해, 우승 후 갑자기 슬럼프가 왔다고 했다. 무슨 짓을 해도 탈출할 수 없는 늪, 이게 바로 슬럼프의 본질이란다. 슬럼프를 만난 대다수 선수들이 은퇴를 선택하는 이유다. 모든 것을 체념하고 지내던 어느 날, 지인이 낚시를 권했고, 낚시를 통해 그는 슬럼프를 기적적으로 통과했다고 한다. 물의 어떤 덕목이 그를 회복시켰을까.

 

“‘큰물을 만나면 관찰하라(見大水必觀)’는 말씀은 무슨 뜻입니까?”

 

자공(子貢)이 공자(孔子)에게 물었다

 

스승의 답은 소상했다.

 

물은 만물을 키우지만 얼핏 보면 아무 일도 하지 않는 듯 보인다. 이게 덕()이다. 낮은 곳으로 흐르지만 순리와 법칙을 따른다. 이건 의(). 쉼 없이 흐르지만 마름()이 없다. 이게 도(). 막힌 곳을 뚫어 길을 내고, 절벽을 만나도 두려움이 없으니 용()이다. 그릇에 담아도 기울지 않으니 법()이요, 공간을 채워 한 점 빈 곳도 남기지 않으니 정()이다. 연약하지만 미치지 않는 곳이 없으니 찰()이요, 물질을 씻어 정갈하고 아름답게 만드니 화(). 만 번을 굽어도 결국은 동쪽으로 흐르니(萬折也必東) (). 이것이 군자가 물을 관찰해야 하는 아홉 가지 이유다

 

유명한 구덕론(九德論)이다. 순자(荀子) 유좌(宥坐)편에 보인다.

 

구덕론에서 만절필동(萬折必東)’이란 성어가 나왔다. 강이 만 번을 굽이쳐도 결국 동쪽으로 흐르듯, 세상이 제아무리 요동쳐도 결국은 도리로, 옳음으로 귀착된다는 얘기다.

 

유권자에게 이번 선거만큼 곤혹스런 선거가 또 있었나 싶다. 한쪽이 대장동을 들고나오면, 상대는 고발 사주를 얘기한다. 한쪽이 아내 리스크를 꺼내면, 다른 한쪽은 자식 문제를 꺼내 든다.

 

그렇다고 동전 던지기로 선택할 순 없는 일이다. 선거가 2개월 남짓 남았다. 이제부터가 진짜다. 후보들이 주장을 꼼꼼하게 읽어보고, 공약을 관심 있게 검토하자. 만절필동은 이라는 희망도 주지만 이라는 좌절도 암시한다. ‘을 줄이는 일, 이게 우리가 해야 할 일이다. 새해엔 만절필동의 완성을 보고 싶다.

 

<원문출처>

경북일보 http://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90265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2261

서경대, 국내 대학 최초로 ‘서경커뮤니케이션센터’ 설립, 운영 file

학생· 교수·교직원 외에 동문·지역사회 대표 등도 참여 대학 운영 및 발전 모색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가 국내 대학 최초로 대학 구성원 간의 소통과 참여를 통한 민주적이고 창의적이며 협력적인 대학 운영을 위한 ‘서...

서경대학교, 「2021년 인생나눔교실」 인생삼모작 인생나눔학교 ‘성과공유회’ 성료 file

12월 21일(화) 온라인 비대면으로 진행 《올해도 한 걸음, 참 멋진 당신》 주제로 3개 프로그램 진행, 올 한해 마무리하는 시간 가져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문화예술센터(센터장 한정섭 교수)가 12월 21일(화) ZOOM 플랫...

한국광기술원, 메타버스 환경 광고·커머스 지원 실시간 객체 인식 솔루션 개발 file

한국광기술원(원장 신용진)은 전성국 공간광정보연구센터 박사팀이 김명하 서경대 교수, 영상기술 전문업체 카이(대표 김영휘) 등과 공동으로 환경에서 광고와 실시간 상거래서비스가 가능한 실시간 객체 인식 솔루션을 개발했다고 29일...

[진세근 서경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경마만 한다고? 천만에! 하이난다오(海南島)의 환골탈태 file

2001년 3월까지만 해도 하이난(海南)은 중국 남단의 한갓진 섬나라에 불과했다. 화산 지대여서 온천이 풍부한 게 유일한 장점이었다. 평지가 많고 물가가 싼 덕분에 골프장이 곳곳에 들어섰다. 골프장과 온천이 있는 곳에 빠지지 ...

서경대학교의 자치기구 알아보기  file

서경대학교 내에는 학교의 발전과 학생들의 보다 나은 학교생활을 위해 노력하는 자치기구가 있다. 총학생회, 학생복지위원회, 동아리총연합회, 졸업준비위원회, 서경신문사 등이 그것. 이들 자치기구는 학생들의 자치활동에서부터 시작...

평창올림픽 메이크업 팀 ‘종로한복사랑캠페인’ 재능기부 file

[한강타임즈 윤종철 기자] 지난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식 행사에서 헤어ㆍ메이크업을 담당했던 팀이 우리 전통 문화를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알리고 있는 ‘종로한복사랑캠페인’에 재능기부로 동참해 눈길을 끌고 있다. 지난 24일 종...

2020 서경대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 활동보고 file

2013년 3월에 창단한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이하 청문단)은 서경대 홍보실 산하 학생단체로 학생들의 능동적 참여로 8기 임원진을 중심으로 대외활동을 활발하게 이어가고 있다. 최근 코로나 19로 인한 언텍트 시대를 맞...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과 이성욱 학생, ‘제6회 평화통일 전국무용경연대회’ 대상(통일부 장관상) 수상 file

서경대학교는 무용예술학과 4학년에 재학 중인 이성욱 학생이 지난 3월 14일 목포시민문화체육센터 공연장에서 열린 ‘제6회 평화통일 전국무용경연대회’에서 대상인 통일부 장관상을 수상했다고 15일 밝혔다. 이성욱 학생은 규정부...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X성북TV’의 성북구 알리기 프로젝트 ‘성북구에서 살아남기’ 시리즈 네 번째 영상 ‘성북구 보문동편’ 성북구청 공식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 돼 ‘큰 인기’ file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 유튜브 영상 '성북구 보문동편' 스틸컷(1)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이하 청문단, 운영위원장 방미영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교수)이 어느덧 네번째 성북구 공식 유튜브 영상을 업로드했다. 해...

서경인 인터뷰: 코로나 19, 경기침체 속 취업에 성공한 우효재 학우(산업경영시스템공학과 14학번, 2020년 하반기 CJ 대한통운 취업) file

청년실업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고 코로나 19의 확산 및 장기화로 취업의 문턱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 이러한 어려운 시기에 서경대학교 산업경영시스템공학과의 우효재 학우(14학번)는 지난 2020년 하반기, CJ 대한통운 입사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