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채성준 서경대 군사학과장.jpg
채성준 서경대 군사학과장

2001년 발생한 9·11 테러는 탈냉전 이후 기존 안보위협의 틀을 획기적으로 바꾼 사건이다. 지난 20년 동안 국제사회가 테러 근절을 위해 합심해 노력한 결과 9·11 테러를 주동한 이슬람극단주의 무장단체 알 카에다의 핵심세력은 약화했으나, 그 연계세력(Al-Qaeda affiliated group)이 확산하고 자생적(homegrown) 테러리스트가 증가하는 등 테러 위협은 여전하다.

 

2003년 알 카에다의 이라크 내 하부조직으로 출발한 IS(Islamic State) 역시 테러와의 전쟁으로 지역 기반을 상실했지만 아직까지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다. 게다가 9·11 테러 사건을 계기로 미국에 의해 아프가니스탄에서 축출됐던 탈레반이 20218월 다시 정권을 장악하면서 또 다른 테러 역사의 시작을 예고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민족·종교 간 대립·갈등이 거의 없고 비교적 안정적인 치안상태와 낮은 사회갈등 수준 덕분에 다른 나라보다는 테러 정세가 안정돼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지속적으로 자행돼 온 북한에 의한 테러 가능성은 상존한다.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사회 양극화 및 경제난 등으로 이른바 한국형 외로운 늑대에 의한 자생적 테러 발생도 우려되고 있다. 해외 여행자나 해외 주재 외교관 및 상사원·기업인 또는 우리 국적 선박이나 항공기에 대한 테러도 예상된다.

 

우리나라는 20163국민보호와 공공안전을 위한 테러방지법’(약칭 테러방지법)을 제정했다. 그러나 테러방지법에 규정된 테러단체는 유엔에서 지정한 테러단체로 제한돼 있어 북한 테러분자에 의한 침투 도발 행위를 이 법에 적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군 병력 동원과 관련해서도 북한의 침투 도발 행위의 경우 통합방위법상 즉각적인 교전이 허용되는 데 반해, 통상적인 테러 행위의 경우 군사시설 안에서 발생하거나 경찰력의 한계로 긴급한 지원이 필요해 요청하는 상황에서만 경찰의 대테러 작전을 지원하도록 제한돼 있다. 하지만 테러가 최초 발생할 당시에는 국제테러분자에 의한 테러 행위인지, 북한의 도발인지 확인이 불가능할 경우가 많아 초기 대응에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다. 북한과 국제테러분자의 연계 가능성 역시 상존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안보 상황으로 볼 때 발생 가능성이 가장 큰 것은 북한에 의한 테러 또는 북한과 연계된 테러로 봐야 한다. 국제테러분자에 의한 테러 피해 역시 고스란히 국민의 몫이라는 점에서 어떤 형태의 테러이든 군의 적극적 대응이 중요하다. 실제 테러 발생 시 주체가 누구인지 가릴 겨를이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행 통합방위법과 테러방지법 간의 상충되는 부분을 해결하는 등 법적 보완이 시급하다.

 

다음으로 테러 수단이 더욱 첨단화하고 있는 점이다. 2019910여 대의 드론이 사우디아라비아 아브콰이크의 정유시설과 쿠라이스의 원유생산기지를 공격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이에 따른 기술발전으로 테러범이 현장에 위치하지 않고도 대상 목표를 얼마든지 공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드론 이외에도 로봇, 자율주행,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등 신기술이 계속 개발되고 있다. 생활의 편리함 못지않게 유사시 군사적 공격 용도로 활용될 소지가 있는 기술들이다. 더구나 이들 4차 산업혁명 기술은 상호보완적 기능을 갖고 있어서 어느 기술이 테러수단으로 이용될지 특정하기가 어렵고 대응에 한계가 있다. 대응 수단이 계속 개발되고 있긴 하지만 현장에서 활용되기까지 짧게는 수년에서 십수년이 걸리는 상황이다. 국가안보 차원에서 더 과감한 지원과 투자가 절실한 이유다.


<원문출처>

국방일보 https://kookbang.dema.mil.kr/newsWeb/20211206/1/BBSMSTR_000000010052/view.do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3460

서경대학교 교내 봉사단체, ‘하계 농촌 봉사활동’ ‘관내 취약계층 어르신 여름보양식 제공’ 등으로 ‘구슬땀’ file

2022학년도 1학기가 끝나고 여름방학이 시작된 지 한 달 남짓 지났다. 학우들은 학기 중에 가지지 못했던 여유를 가지고 쉬거나 공부, 취미생활, 인턴, 알바 등을 하며 각자 자신만의 시간을 보내고 있을 것이다. 그 가운데, ...

같은 캠퍼스, 같은 강의실에 싫증과 피로를 느낀다면 ‘학점교류’ ‘열린 사이버대학 컨소시움(OCU)’ 통해 색다른 교육환경, 새로운 수업을 접해보는 것은 어떨까 file

같은 캠퍼스, 같은 강의실에서의 대학생활에 싫증과 피로를 느낀 당신에게 추천하고 싶은 프로그램을 소개하고자 한다. 우리 대학 수업 뿐만 아니라 타 대학의 수업도 수강하고 색다른 프로그램도 접해보며 타 대학 학우들과 교류...

[단독] 2022학년도 대입 수시·정시 서울·수도권(경기·인천) 최종 등록률 file

(재외국민 및 북한 이탈주민 전형, 수시·정시지원 횟수 제한 없는 5개 특수대, 기능대, 사이버대 제외) ▲ 서울여자대학교 서울 수도권 대학의 경우 작년 대비 모집정원이 1천명 가까이 증가하였음에도 전체 등록률이 상승해...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조성 사업단, ‘ICT-문화융합 분야 창업경진대회’ 참가할 예비창업자 및 창업팀 모집 file

20개 팀 내외 선발, 사업자금, 무상 입주공간, 창업 역량강화 프로그램 등 지원 예정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캠퍼스타운 조성 사업단(단장 김범준)은 우수한 창업 아이디어를 보유하고 있는 초기 창업기업 및 예비 창업자(...

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광고공모전 스터디그룹 [AD_leave (애드리브)]의 21학번 장민선, 신유철, 장한솔, 김재연 학우, 대한민국 최고의 광고인재 등용문인 ‘제43회 제일기획 아이디어 페스티벌’ 동상 수상 file

임팩트 있는 강렬한 숏폼광고로 ‘헤이딜러’ 기능 전달 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학과장 김문기 교수) 21학번 장민선, 신유철, 장한솔, 김재연 학우 등 총 4명으로 구성된 광고공모전 스터디그룹 [AD_leave (애드리브)] 팀...

[2023 수시 입학정보] 서경대학교 file

CREOS형 인재를 양성하는 글로컬 실용중심 대학 <서경대 유담관> 서경대학교는 대학혁신을 위해 ‘CREOS형 인재를 양성하는 글로컬 실용중심 대학’이라는 새로운 대학비전을 수립했다. 비전 달성을 위해 ▲실용학문 특성화...

길음종합사회복지관, 서경대 봉사단과 '몸보신 하는 날' 행사 가져 file

길음종합사회복지관은 최근 서경대학교 사회봉사지원센터 사회봉사단과 함께 ‘다같이 몸보신 하는 날’ 행사를 진행했다고 1일 밝혔다. 이날 서경대 사회봉사지원센터 사회봉사단 학생 자원봉사자 25명은 보양식 선물세트를 직접...

서경대 군사학과 채성준 교수 저서 ‘스파이 세계와 영화: 역사를 바꾼 스파이 이야기’ 개정판 출간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군사학과 채성준 교수가 ‘스파이세계와 영화: 역사를 바꾼 스파이 이야기’의 개정판을 출간했다. 그의 저서 ‘스파이세계와 영화: 역사를 바꾼 스파이 이야기’ 초판은 2021년 8월 도서출판 동문사에서 ...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실용음악학부 8기 신입생 공연 ‘초잎’ & 제5회 정기공연 ‘오름악’ 성황리에 막 내려 file

7월 30일(토) 오후 4시와 오후 7시, 서경대학교 본관 8층 컨벤션홀서 진행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실용음악학부 학생들의 공연 ‘초잎’과 ‘오름악’이 지난 7월 30일(토) 오후 4시와 오후 7시, 서경대학교 본관 8층 컨벤션홀에서...

[2023 수시특집/서경대학교] ‘미래형 교육방법’ 도입으로 창의융합 실용인재 양성 file

서경대의 3대 가치, 한류·산학역량·지역사회 공헌으로 집약 국내 최초 교육플랫폼…실습·토론·문제해결중심 학습체제 구축 융합대학 내 아트앤테크놀로지학과, 스포츠앤테크놀로지학과 신설 <서경대 대일관 전경> 1947년 개교한 서...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