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이해성 협동조합 소셜아트고래 대표(지역활성화 프로젝트 정릉스쿨)


이해성 협동조합 소셜아트고래 대표(지역활성화 프로젝트 정릉스쿨).jpeg

협동조합 소셜아트고래는 생활예술이나 지역 연계 문화예술교육 등의 활동을 위해 설립된 비영리 단체다. 극단 고래의 공동대표이자 작·연출을 담당하는 이해성 대표(53)가 2021년 3월 설립했다.

극단 고래는 창립 이후 10년 간 예술의 사회적 치유를 고민해 온 극단이다. <고래> <살> <사라지다> <빨간시> <불량청년> <비명자들1> <비명자들2> <굴뚝을 기다리며> 등 다양한 레퍼토리의 작품을 보유하고 있다. 50명에 달하는 극단 고래 단원들은 지난 10년간 쉬지 않고 공연을 지속해왔다.

시민 참여 낭독공연 꾸준히 진행


극단 고래는 시민들이 참여하는 프로그램도 꾸준히 운영해 왔다. 대표적인 사업이 낭독공연이다. “극단 고래는 몇 년 전부터 꾸준히 시민 낭독공연을 진행해왔습니다. 지난해에는 경희의료원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비대면 ‘나를 알아가는 연극치료’ 낭독극 프로그램을 진행했습니다.”

소셜아트고래 역시 극단 고래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낭독공연을 진행한다. 올해는 서울 정릉에 연습실 겸 공연장을 새롭게 열어 정릉 주민들을 대상으로 낭독공연 참여자를 모았다.

“문화예술에 대한 욕구를 가진 정릉 시민들을 모집했습니다. 20대부터 60대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시민 배우들이 모여 극단 고래의 연출 코칭을 받고 있죠. 공연을 준비하는 과정을 통해 시민 배우들은 연대 의식과 지역에의 소속감 등도 키울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 대표는 낭독극이 “코로나19 유행 이후 코로나 블루에 시달리고 있는 정릉 주민들에게 치유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고령화 추세에 맞춘 ‘시니어극단’ 창립 고민


소셜아트고래는 장기적으로는 한국 사회 고령화 추세에 맞춘 ‘시니어극단’ 창립을 고민하고 있다. “일본에는 이미 유료 회원제 민간 시니어극단이 다수 활동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훈련된 인력들은 프로 극단 무대에 서기도 합니다. 한국 사회에도 이미 이런 욕구를 가진 경제적 여유가 있는 시니어 세대가 출현했다고 생각합니다. 전문 극단들이 공연만으로 지속적으로 운영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시민극단을 육성하고 지원하는 방식은 전문 극단의 생존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외에도 소셜아트고래는 ‘대학생 연극 페스티벌’ 상설화, 아카데미, 출판, 지역 활동 주체 발굴을 위한 네트워크 사업, 지역 생활예술 연구사업, 취약계층을 위한 일자리 창출과 사회서비스 제공 사업 등도 계획하고 있다.

이 대표는 “소셜아트고래가 지역 연계형 공공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건강한 지역 문화예술생태계를 위해서는 ‘후원이나 지원’의 개념이 아닌 ‘공유’적 사고가 필요하죠. 정릉에 터를 잡은 극단으로서의 책임감과 주인의식을 가지고 낭독극을 발판으로 삼아 다양한 주민 연계형 문화예술프로그램을 기획할 계획입니다.”

설립일 : 2021년 3월
주요사업 : 문화예술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문화예술 관련 서적 출판, 문화행사 대행업
성과 : 정의연 ‘기림제’ 행사의 하나로 ‘빨간시’ 시민공연, 서울문화재단 지역극장 모델로 선정,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비대면 예술 콘텐츠 제작 사업 선정


<원문 출처>

매거진 한경 https://magazine.hankyung.com/job-joy/article/202111159710d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1705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사업단, 지역 상생 및 상권 활성화 위한 프로그램 성료 file

‘정릉 아카데미’, ‘정릉인 매핑’ ‘정릉상인 경영개선 교육’, ‘학교 밖 정릉’ 등 진행, 지역사회 발전 기여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캠퍼스타운 사업단(총괄 한정섭 교수)은 지역상생 및 상권 활성화 방안의 일환으로 ...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사업단, ‘실전창업교육’ 일환 ‘성과공유경진대회’ 성황리에 마쳐 file

캠퍼스타운 사업 참여 활동 및 주요 성과 공유 투자 유치 및 파트너 발굴 기회 제공 등 지속적인 후속 지원 예정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캠퍼스타운 사업단(총괄 한정섭 교수)은 서울시 캠퍼스타운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

서경대학교, ‘2021 Lean Canvas 창업캠프’ 개최 file

11월 25일(목), 26일(금) 이틀간 비대면 실시간으로 성황리에 진행 Lean Cavnas 9 Block Matrix를 활용, 초기 스타트업에 필수적인 핵심요소 통해 비즈니스모델 수립하는 기회 가져 서경대학교 교육혁신처 창업지원센터(센터장...

경기도 귀어귀촌종합지원센터, '청년인구 유입증대를 위한 문화어활' 시행 file

▲ 26일부터 28일까지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국화리에 위치하는 국화도에서 “청년인구 유입증대를 위한 문화어활”을 시행했다. 경기도 귀어귀촌종합지원센터(한국농어촌공사 경기지역본부장 이승재)는 11월 26일부터 28일까지 경기...

화제 속에 진행되고 있는 서경대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의 성북구 알리기 프로젝트 <성북구에서 살아남기> 시리즈 일곱 번째 영상 업로드 돼 큰 관심과 사랑 받아 file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이하 청문단, 운영위원장 방미영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교수)과 성북구청이 함께하는 성북구 알리기 프로젝트 ‘성북구에서 살아남기’의 일곱 번째 영상이 성북구청 공식 유튜브 채널 ‘성북TV’에 업...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과거-현재가 소통하는 ‘사유의 방’[이즈미의 한국 블로그] file

소극장만 한 439m2(약 133평) 공간에 나지막한 타원형 무대가 있고 두 점의 조각상이 올려져 있다. 마치 무대 위에서 조용히 앉아 공연이 시작되길 기다리는 꽃미남 배우 같다. 11월 국립중앙박물관은 국보 금동미륵반가사유상...

서경대학교 군사학과, 이틀에 걸친 자체 체육대회로 선후배 간 의미 있는 시간 만들어 file

서경대학교 군사학과(학과장 채성준 교수)가 ‘위드 코로나’ 시행 지침에 맞춰 지난 11월 22일(월)과 24일(수) 이틀간에 걸쳐 자체 체육대회를 열었다. 22일에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8시까지 농구와 풋살 경기를 펼쳤고, 24일...

진세근 서경대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아침광장] 대권(大權)이 아니라 대임(大任)이다 file

중국 역사에서 명군(名君)은 몇 명쯤 될까? 그 숫자를 정확히 알 순 없겠지만 명군의 정의만큼은 분명하다. 중국 역사가들이 꼽은 명군의 조건은 네 가지다. 첫째, 나라를 세우거나 천하를 통일한 군주다. 진(秦)시황제(始皇帝...

서경대학교 액셀러레이터 주식회사 액틴(Actin), ‘K-스타트업 그랜드 챌린지 IM Workshop&액틴 Demo Day’ 성공적 개최 file

11월 11일, 12일 양일간 The K Hotel Seoul서, 해외 스타트업 대거 참여, 국내시장 진출 및 정착 위한 지원·투자연계 등 제공 받아 서경대학교 액셀러레이터 주식회사 액틴(Actin)이 지난 11월 11일(목), 12일(금) 양일...

2021년 2학기 기말고사 전, 도전해 볼 만한 공모전, 뭐가 있을까? file

2년째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 19 확산세로 인해 대면과 비대면 수업을 병행한 지도 벌써 네 학기 째다. 학기 중 잠시나마 ‘여유’를 느낄 수 있는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사이 시간, 이를 보다 가치 있게 보내고 싶어 하는 학...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