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세계경제포럼 선정 세계 경쟁력 순위 1, 글로벌 스타트업 분석기관 스타트업 게놈선정 스타트업 생태계 순위 동남아 1. 금융, 기술, 규제 3박자를 고루 갖춘 글로벌 핀테크 생태계로 주목받는 나라. 아시아 최초로 샌드박스 규제를 도입한 나라. 무역과 물류의 중심지로 런던, 뉴욕, 홍콩과 함께 세계 4대 금융시장으로 성장한, 아시아 태평양 진입을 위한 전략적 요충지 싱가포르 이야기다.

 

 싱가포르 전경.jpg

 싱가포르 전경

 

인구 580만명의 작은 내수시장과 빈약한 자원에도 동남아 1, 세계 14위 스타트업 국가로 성장한 비결은 뭘까. 싱가포르는 2014년 정부가 국민에게 더 나은 삶과 생산성 향상,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력을 가진 스마트 스테이션을 국가 비전으로 발표하면서 본격적인 스타트업 추진정책을 시작했다.

 

샌드박스 규제제도 시행

 

싱가포르는 원래 금융과 MICE(기업회의·컨벤션·전시회) 산업이 떠받드는 경제 구조다. 이 두 산업에 스타트업이 가세하게 된 것이다. 금융 선진국답게 초기에는 스타트업 자금 지원을 위한 벤처캐피털(VC) 육성에 역점을 뒀다. 이스라엘과 실리콘밸리 벤처자금을 유치하기 위해 VC의 투자금과 동일한 금액을 정부가 지원하는 1:1 매칭펀드를 도입했다. 또한 스타트업 시설에 창업가와 벤처투자자를 한 건물에 모아 네트워킹으로 아이디어를 얻거나 투자유치가 가능하도록 조성하고, 해외 유수기업과 인력을 적극적으로 유치해 전 세계 자본과 기술이 싱가포르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한 것도 한몫했다.

정부의 일관된 규제정책도 스타트업 생태계 선순환에 도움이 됐다. 한 번 정한 정책은 꾸준히 유지했다. 드론 관련 정책이 대표적이다. 현행 규제를 적용할 수 없는 모델을 일정 조건 하에 허용하는 샌드박스 제도를 시행할 때도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하고 난 뒤 추진한다. 무인 자율주행차를 법적으로 허용하는 것도, 핀테크 강국이 될 수 있었던 것도 규제 완화 덕분이다.

 

1970년대에 세워진 낙후된 공단인 에이어 라자 지역을 2011년 스타트업 허브로 변신시킨 것도 스타트업 활성화에 기여했다. 빌딩 이름을 따서 블록71’로 불리는 이곳은 스타트업 250여개, 액셀러레이터 30여곳이 활동하는 스타트업 집결지로 하나의 생태계를 이루고 있다. 인근에 싱가포르 국립대와 경영대 인시아드 등이 있어 이곳의 인재들이 창업의 길로 뛰어드는 계기가 됐다.

 

후발주자임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핀테크 허브로 주목받을 수 있었던 배경에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함께 아시아 최초로 샌드박스규제를 도입한 사례처럼 유연한 규제가 있었다. 풍부한 자본과 시장, 유능한 인재와 더불어 세계적인 대형 금융기관을 유치하는 등 핀테크 시장을 넓혀온 것도 큰 역할을 했다.

 

그랩, 저스트코, 라자다.jpg

동남아 최대 차량 공유기업인 '그랩', 동남아 최대 공유오피스 스타트업 '저스트코', 동남아 전자상거래 업체 '라자다' (위부터)


글로벌 핀테크 생태계 구축

 

핀테크 분야에서 미국은 금융은 뉴욕, 기술은 실리콘밸리, 규제는 워싱턴에 위치해 생태계 시너지 효과가 부족하다. 중국은 핀테크 투자액은 아시아 최고지만 기업·소비자간 거래(B2C)와 내수 위주 비즈니스가 발달해 글로벌 확장성이 낮다. 반면 싱가포르는 금융, 기술, 규제가 한곳에 모여 있어 글로벌 확장성이 뛰어나다. 이런 연유로 뉴욕, 런던, 홍콩과 함께 4대 금융시장으로 성장했고, 200개의 은행과 1200개의 금융기관을 보유한 기업간(B2B) 비즈니스 모델에 유리한 환경을 갖추게 된 것이다.

 

정부 차원의 다양한 정책도 도움이 됐다. 창업 자금 지원을 돕기 위한 초기단계 벤처펀드(Early Stage Venture Fund)’ 설립과 2015년부터 2020년까지 민간업체들이 정부의 투자 규모 이상으로 시장에 참여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스타트업 지원 활동에 190억싱가포르달러(158000억원)를 투자했다.

 

또한 기반이 없는 창업 기업을 돕기 위해 스타트업 SG를 설립해 원스톱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고, 세금 면제제도를 통해 신규 기업의 설립을 장려하고 있다. 정부 차원의 보조금도 지급한다. 특히 로봇 스타트업은 최대 400만싱가포르달러(32억원)를 지원한다. 투자 유치도 활발한데 스타트업 투자금은 약 60억달러로 기술 분야는 동남아의 25% 수준이다. 투자 건수는 2012~2017년 사이 667건으로 아세안 투자 유치비율의 49.7%, 즉 절반 가까이 차지했다. 미국 실리콘밸리에 뒤지지 않는 수준이다.

 

대표적인 유니콘 기업으로 동남아 최대 차량 공유기업인 그랩을 비롯해 동남아 전자상거래 업체 라자다, 미국 나스닥에 상장한 SEA, 여행 액티비티 플랫폼 클록 등이 있다. 현재 활동하는 스타트업이 4만여개에 이른다. 동남아시아 최대 공유오피스 스타트업 저스트코2011년 설립 이후 6년 만에 기업가치 2억달러를 돌파했다. 현재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7개국에서 40개 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특이한 점은 창업목적이 이익 창출인지 아니면 사회에 기여하기 위한 것인지에 따라 지원 방식이 다르다는 점이다. 물론 스타트업 사업에 문제가 생기면 정부가 나선다. 예를 들어 전기 스쿠터 사고가 늘어나자 정부가 전기 스쿠터에 대해 보도 주행을 금지한 것이 대표적인 예다.

 

또한 2016년 금융 분야에서 최초로 시작한 샌드박스가 교통, 에너지, 의료, 환경 분야까지 영역을 넓혔고 2018년에는 더욱 신속히 처리하는 샌드박스 익스프레스 제도도 도입했다. 금융 분야에서 기술이 혁신적이고 사업 모델이 건전한 기업의 경우 신청 21일 만에 사업을 허가해준다. 싱가포르의 스타트업 성장에는 정부의 강력한 지원과 친기업적인 유연한 규제, 무인 자율주행차를 법적으로 허용하는 규제 완화, 일관된 규제정책에 생태계 선순환, 샌드박스 도입 영향이 컸다. 싱가포르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원문출처>

주간경향 https://n.news.naver.com/article/033/0000043305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2807

[카드뉴스] 서경대학교 2022 정시모집 file

<원문출처> 대학저널 http://www.dh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1327

서경대학교 뷰티테라피&메이크업학과, ㈜뷰티맥스과 미용예술분야 산학협력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서경대학교 뷰티테라피&메이크업학과(학과장 김은숙)은 ㈜뷰티맥스(대표 이수영)과 2월 24일(목) 오전 11시 서경대 유담관 5층에서 미용예술분야 산학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서경대학교 뷰티테라피&...

『수강 신청 5초컷! 우리 대학 인기 교양과목 소개』 <1> ‘인터넷 윤리’, ‘영화 속 법과 윤리’ file

재작년 초부터 3년째 계속되고 있는 코로나 19 확산 및 장기화로 대부분의 학교수업이 비대면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되면서 학생들은 대면수업 때와 다른 생활방식과 새로운 학점 취득 전략을 세우는 등 대학생활 전반에 큰 변화...

서경대, 3~4학년 재학생들의 성공적인 사회진출 위한 멘토링 주간행사 ‘SMW(Seokyeong Mentoring Week)’ 개최 file

6월 21일부터 3일간, 총 8개 분야, 180여 명 참여해 직무역량 개발 및 제고 현직자와 함께하는 직무/직군별 맞춤형 멘토링 지원 서경대학교 취창업지원센터(센터장 김주연)는 6월 21일(화)부터 23일(목)까지 3일간, 유담관 L층...

2021년 연말부터 동계방학까지, 도전해볼 만한 대외활동엔 어떤 게 있나? file

‘단계적 일상 회복(위드 코로나)’이 시행된 지도 어느새 한 달이라는 시간이 지나가고 있다. 작년부터 1년 가까이 이어졌던 전면 비대면 수업의 기조는 코로나 19 백신 접종률 증가에 따른 일상 회복과 함께 일부 실습수업이 ...

[2021 서경대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CEO] 국내 공예품 구독박스로 해외에 판매하는 ‘블루스텔라’ file

김호중 블루스텔라 대표 블루스텔라는 국내 공예품을 아웃소싱해 해외에 판매하는 스타트업이다. 김호중 대표(33)가 2020년 7월 설립했다. “국내 대다수 공예인들은 창작활동과 경영 두 가지를 겸업합니다. 한 사람이 두 가지를...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韓日, 의학은 이인삼각으로 나아가야”[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의학은 기본적으로 경쟁이 아니라 한 다리를 묶고 같이 가는 이인삼각 같아요.”  17일 공모전 ‘2021년 한일 나의 친구, 나의 이웃을 소개합니다’의 시상식이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개최됐다. 나는 그곳에 ...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光化門, 굴곡의 역사에서 본 따스한 빛[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산과 물, 그리고 그 중심에 5대 궁궐이 자리 잡은 아름다운 도시 서울. 그 중심의 빛을 비추는 문, ‘광화문(光化門)’을 바라보면 난 만 가지 생각이 교차한다. 1993년 나는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1889∼1961)의 한국관(韓...

『수강신청 5초 컷! 우리대학 인기 교양과목 소개』 <5·끝> ‘골프’, ‘기업의 이해’ file

재작년 초부터 3년째 계속되고 있는 코로나 19 확산 및 장기화로 대부분의 학교수업이 비대면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되면서 학생들은 대면수업 때와 다른 생활방식과 새로운 학점 취득 전략을 세우는 등 대학생활 전반에 큰 변화...

2022년, 한 해를 시작하며 도전해볼 만한 대학생 대외활동엔 어떤 게 있을까? file

3년째 코로나 19의 확산 및 장기화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새로운 한해를 맞았다. 새해가 시작되면서 사회 곳곳에서는 코로나 19라는 특수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혁신과 발전을 위한 새로운 시도나 모색을 하는 기업과 기관들이...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