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부산국제영화제에서 느낀 소통의 기쁨 일러스트레이션.jpg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jpg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해마다 가을이면 눈부신 해변과 파란 하늘, 그리고 영화를 보기 위해 부산을 찾았다. 넘실대는 파도를 배경으로 영화인과 관객들이 한자리에서 만나는 영화 축제가 벌어지기 때문이다. 올해는 2년 만에 부산국제영화제에 갔다. 10월마다 부산국제영화제를 찾은 지 20년이 훌쩍 넘었는데, 지난해 가을에는 코로나19로 찾지 못했다.

 

올해도 코로나로 행사 대부분을 온라인으로 접했고, 일본이나 해외에서 찾아온 영화인들을 만나는 시간 대신 영화제 기간에 주로 혼자 영화를 보며 지냈다. 그래도 폐막작 기자 시사를 포함해 국내에서 보기 어려운 아시아영화를 중심으로 6편의 작품을 봤고, 이어 서울에 올라와서도 온라인 시사를 통해 4편을 더 관람해 무척 흐뭇했다. 특히 일요일 밤 영화의 전당 야외상영관에서 일본 청춘영화 도쿄 리벤저스를 지인들과 보고, 함께 웃으며 오랜만에 해방감을 느꼈다. 영화의 전당이 주는 압도적인 분위기에 부산국제영화제가 살아 있다는 것을 실감할 수 있어 감격스러웠다.

 

거장 감독의 신작이나 화제작 중 감독이나 배우가 영화를 직접 소개하고 관객과 만나는 갈라프레젠테이션 부문에 초청된 하마구치 류스케 감독의 영화 드라이브 마이 카를 보고나서는 두고두고 머릿속에 소통이란 무엇인가?’라는 생각이 맴돌았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동명 단편소설을 원작으로 한 이 영화는 올해 칸 국제영화제 각본상을 받은 작품이다. 3시간이라는 상영시간이 길게 느껴질 틈도 없이 작품에 몰입했다.

 

영화는 부인과 사별한 아픔을 안고 사는 배우이자 연출가인 주인공 가후쿠(니시지마 히데토시)가 히로시마에서 진행되는 연극제에서 체호프의 대표작 중 하나인 바냐 아저씨의 연출을 맡는 내용을 담고 있다. 영화 중 연극의 오디션 장면에서, 배우들이 감정을 없애고 대사를 읽는 연습 장면도 독특하지만, 아시아 여러 나라의 배우들이 참여해 각자 다른 언어로 바냐 아저씨를 연기하는 모습이 더욱 기묘한 느낌을 자아냈다.

 

같은 언어를 사용해도 소통하기 어려운데 여기서는 전혀 다른 언어를 주고받으며 소통이 이루어진다. 심지어 수화를 구사하는 한국인 배우도 등장한다. 음성언어가 아닌 수화의 감정연기가 내게 가장 인상을 남기며 어느새 언어의 장벽은 훌쩍 사라지고, 작품에 통째로 설득당한 느낌이 들기도 했다. 36년 전 내가 처음 한국에 왔을 때, 나는 말 못하는 아기가 된 것 같았다. 그러다가 조금씩 언어를 학습하면서 기본적인 의사를 전달할 수 있게 됐다. 반드시 언어를 통해서만 소통을 하는 것이 아니기에 많이 능숙해졌다곤 하지만 사실 지금도 사람들과의 소통은 무척 서투르고 어렵다.

 

하마구치 감독은 부산영화제를 직접 찾아 봉준호 감독과 대담도 했다. 당시 봉 감독이 돌아가신 아버지와의 기억으로 아버지가 자녀와 마주 보고 대화를 잘 안 하셨는데, 운전석에 앉으면 그렇게 말을 잘 하셨다. 서로 마주 보지 않고 한 방향을 보면 말을 잘 하셨던 것 같다소통의 방식에 대한 추억을 들려줬는데, 이 영화 속의 소통과도 교차됐다. 아시아 영화를 이끌어 가는 두 감독이 나눈 두 시간의 짧은 대담 또한 코로나 속에서 실현된 기적 같은 소통의 시도였다. 하마구치 감독은 코로나가 아니었으면 영화의 전당연극의 전당으로 설정하고 부산에서 연극제가 열린다는 설정으로 영화를 부산에서 찍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장소) 헌팅도 다 마쳤으니, 언젠가 여기(부산)에서 영화를 찍을 것이라고 했다. 부산의 영화인뿐 아니라 한국의 영화인들을 설레게 하는 대목이었다.

 

나는 짧은 기간이지만 소통하는 기쁨을 누렸다. 상영관에서 그동안 일상에서 만나지 못했던 영화인들과 인사하며 서로의 안부를 나눌 수 있었다. 동시에 영화제를 둘러싼 몇 년간의 정치적인 논란에서 벗어나 분위기가 밝아졌다는 것도 느꼈다. 마치 아픔이 우리의 관계를 리셋 해준 것처럼. 우리가 음식을 함께 나누거나 술을 마시지는 않았지만 앞으로도 영화를 통한 소통은 계속될 것이고, 코로나를 극복한 뒤에는 더 많은 작품들, 더 많은 영화인들이 찾아와 나누는 소통을 통해 더 풍성한 영화제가 될 것을 기대한다.

 

<원문출처>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11022/109833057/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3063

코로나 19 사태 이후 첫 공식행사 서경대학교 인문대와 사과대가 함께하는 ‘인싸-체전' 성황리에 막 내려 file

5월 11일(수)부터 5월 13일(금)까지 3일간 교내 스콘 스퀘어 등서 풋살, 농구, 족구, 족배구, 피구, 발야구, 이어달리기 등 총 7개 종목 경기 치러져 종합우승 군사학과, 종합준우승 경영학부 차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단체...

서경대 모델연기전공, 제6회 정기사진전…‘판타지아‘ file

서경대학교 모델연기전공은 지난 10일에서 11일 양일간 서울 종로구 소재 서경대 공연예술센터에서 ‘사라진 모든 것들에게’라는 주제로 제6회 정기사진전을 개최했다. (사진▲=모델 김민서 최윤지) 이번 전시회는 코로나로...

[2023정시경쟁률] 전국 4.6대1 ‘상승’..GIST 에너지공대 DGIST UNIST KAIST 톱5 file

강서대 홍익대 서경대 동덕여대 안양대 ‘이공특제외 톱5’ [베리타스알파=김하연 기자] 2023정시모집에서 전국 대학의 정시경쟁률을 분석한 결과 4.6대1(10만8458명/49만8545명)로 지난해 4.47대1(11만6184명/51만9573명)보다 상승했다. ...

[인문학 위기와 반향(反響) (下)] "생존을 위한 투쟁의 장"...자조와 애석함의 향연 file

전문가, 청년 예비 연구인 호소에 응답..."기성학계 반성과 노력" 전문가, '3人3色' 대응 방안 제시..."복합적 문제, 다각적 접근 필요" 학자로서 안타까움·답답함·미안함 교차한 인터뷰..."제자들에 사과“ ▲ 서울대학교. 기사의...

서기수 서경대 금융정보공학과 교수 칼럼 :미국 금리인상때 한국 주가·원화 떨어졌나 file

[서기수의 '세상에 나쁜 돈은 없다'] 코스피등 투자지표 상관관계 분석해보니 미 금리인상에 따른 투자 통설은 안맞아 러-우 전쟁·인플레·가계소비 영향 살펴야 미 연준의 '매파' 득세 최근 모 일간 신문 기사에 나온 자극...

서경대학교, ’서경대와 함께하는 마을교육활동(Make-up Artist Challenge)‘ 참가자 모집 file

성북구 관내 중·고등학생 40명 선발, 8월 1일(월)부터 5일(금)까지 5일간 운영 메이크업 관련 기초지식부터 트렌드 분석, 시연, 체험, 진로설정까지 ‘다양’  ▲’서경대와 함께하는 마을교육활동(Make-up Artist Challenge)‘ 참...

서경대 혁신부총장 구자억 교수 "한국교육의 패러다임 변화가 필요하다" file

4차 산업혁명시대의 한국교육은 어떻게 변해야만 할까? 그 물음에 대해 구자억 교수는 “4차산업혁명시대를 맞아 기술진화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사회도 급속하게 변하고 있다. 나이든 어르신들은 4차산업혁명의 산물인 디지털문명...

제1회 서경대학교 총장배 인터내셔널 골프챔피언십 개막…중ㆍ고ㆍ대학생 및 일반인 참가 file

8월 8~17일…강원도 횡성 웰리힐리파크cc에서 열어 중ㆍ고등부 우수선수에게는 서경대 입학시 장학혜택 서경대학교는 올해 신설한 융합대학 스포츠테크놀로지학과 개설을 기념해 꿈나무들을 위한 ‘제1회 서경대학교 총장배 인터...

서경대 교내 학과별 소모임, 어떤 게 있나? #1 <인문대, 사회과학대, 이공대 소모임> file

2022년 2학기에는 대부분의 수업이 대면으로 전환됨에 따라 강의실과 캠퍼스 이곳 저곳에는 코로나 19 사태 이후 가장 많은 학생들로 붐비고 있다. 강의나 실습이 대면으로 이루어지면서 학교에 나온 학생들이 수업을 전후해 일정...

서경대, 2020~2021 GKS 정부 초청 외국인 장학생 한국어 연수(대학원 과정) 성료 file

60명 중 휴학생을 제외한 45명, 과정 수료 후 KAIST 등 국내 주요 대학원 진학 9월 1일부터 2차년도 사업 1년간 진행, 외국인 장학생 66명 본교 입교 9월 13일 개강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교육부 산하 국립국제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