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 진세근 교수.jpg
진세근 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


하드보일드 스타일을 한국에 유행시킨 작가 김성종의 소설 5을 기억하는 독자들이 적지 않을 것이다. 신문사 논설위원인 아버지가 특정 조직을 비판하는 사설을 쓴 후 의문의 납치살해를 당하고, 이를 추적하기 위해 사건에 뛰어든 평범한 회사원이 거대한 음모에 휘말리는 스토리다. 킬러를 고용한 보스 Z가 정부 고위인사라는 점이 반전이다. 제목이 5인 이유다. 이 소설은 1989년 드라마로 제작되기도 했다.

 

내부의 적이란 의미의 5은 스페인 내전에서 처음 사용됐다. 마드리드 공략을 지휘했던 장군이 사방(四方) 공세 외에도 마드리드 내부에서 호응할 5번째 열(quinta columna)이 있다고 주장했다.

 

중국 역사에도 수많은 ‘5이 등장한다. 중국인들은 ‘5네이젠(內奸)’이라고 부른다.

 

네이젠을 처리하는 중국 특유의 방식은 장계취계(將計就計). ‘네이젠을 역이용하는, 이른바 반간계(反間計). 대표적인 사례가 조조(曹操)와 주유(周瑜)가 맞붙은 적벽(赤壁)대전이다.

 

적벽 이전 조조는 승승장구했다. 그는 83만 대군을 이끌고 적벽으로 몰려갔다.

 

조조 군의 약점은 수전(水戰)이었다. 이를 메워줄 카드가 투항한 장수 채모(蔡瑁)와 장윤(張允)이었다. 이들은 조조 군에게 수전을 조련했다. 주유는 두 장수를 제거하기로 결심한다.

 

기회는 조조가 제공했다. 주유와 동문수학한 모사 장간(蔣干)이 주유를 회유해 투항시키겠다고 호언하자 조조는 승낙한다.

 

주유는 장간이 면담을 청하자 즉각 조조의 심계를 알아차린다. 그리곤 휘하 부하 전체를 동원해 성대한 주연을 베푼다. 술잔을 든 채 주유는 선포한다.

 

장간은 조조의 신하다. 허나 이 자리에는 내 친구로 왔다. 주석에서 조조 얘기를 꺼내는 자는 참()한다.”

 

주유는 한술 더 뜬다.

 

군사를 이끈 이후 술 한 모금 입에 대지 않았다. 오늘은 옛 친구를 만난 특별한 날, 대취하려 한다. 취하지 않은 자, 이 막사를 나갈 수 없다!”

 

주유는 만취해 쓰러졌고 장간은 주유 옆에서 잠든다. 한밤, 주유의 부하가 막사를 찾는다. 주유는 그 부하와 몰래 대화한다. 장간은 귀를 세웠지만 채모, 장윤의 이름만 들었다.

 

주유는 다시 잠들고, 장간은 주유의 책상을 뒤진다. 거기서 채모와 장윤이 보낸 서신을 발견한다. 부하와의 대화, 서신 등 모두는 주유가 사전에 준비한 것임은 물론이다.

 

새벽, 주유의 막사를 빠져나온 장간은 부지런히 조조에게로 달려간다. 선천적으로 의심이 많은 조조는 즉각 채모와 장윤을 참한다. 결국 조조의 83만 대군은 전멸하고 조조 스스로도 목숨을 잃을 뻔했다.

 

우리에게도 적벽대전이 진행 중이다. 승패는 오리무중이다. 고발과 폭로가 난무하는 탓에 누가 옳은지도 헷갈린다.

 

하나만 얘기하자. ‘대장동논란에 휘말린 자기 당 후보를 향해 이명박, 박근혜의 전철을 거론한 후보가 있다. 이게 과연 정상인가? “우리 당 후보를 믿는다. 그러나 사실이 명백히 소명되길 바란다정도면 되는 것 아닌가?

 

대선이 건곤일척(乾坤一擲), 모든 걸 건 한판 승부임은 분명하다. 그렇다고 금도(襟度)와 양식까지 버려선 곤란하다. 국민들은 선량(善良)을 선량(善良)한다.

 

대한민국 국민께 권한다. 우리 모두의 마음속에 반간계를 키우자. 5열은 심판하고, 인격과 능력은 포상하자. 꼼꼼하게 따져 거짓은 가려내고 비전은 상찬(賞讚)하자. 대한민국 정치의 격은 결국 국민 손에 달렸다.

 

<원문출처>

경북일보 https://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84560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2532

전규열 서경대 경영학부 겸임교수 칼럼:스웨덴은 어떻게 유럽의 실리콘밸리가 됐나 file

스웨덴은 유럽의 실리콘밸리로 불린다. 벤처캐피털 기업 아토미코(Atomico)의 2020년 보고서를 보면 스웨덴의 수도 스톡홀름은 유니콘(기업가치 10억달러 이상의 비상장 스타트업) 기업 수가 인구 10만명당 약 0.8개로 1.4개인 미국의...

서경대학교 GKS사업단, 2021 정부초청 외국인 한국어 연수생 대상 ‘쓰담달리기’ 봉사활동 전개 file

5월 18일(수) 노원구 및 중랑구 중랑천 일대서 진행, 34개국에서 온 한국어 연수생 54명 포함 60명 참가 ··· 쓰담달리기 활동키트(생분해 봉투, 장갑, 마스크, 손 소독 티슈) 받아 환경정화 활동 펼쳐 서경대학교 GKS사업단(단...

서경대학교, ‘2022 전국 고등학생 언택트 디자인 실기대회’ 개최 file

2022년 6월 12일(일), ‘발상과 표현’, ‘기초 디자인’ 등 2개 부문으로 나눠 기량 겨뤄 <서경대학교 전국 고등학생 언택트 디자인 실기대회 포스터>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6월 12일(일) ‘2022 서경대학교 전국 고등학생 ...

『코로나 엔데믹 시대, 서경대학교의 중앙동아리 알아보기』 기획시리즈 #1<공연분과> file

코로나 19 팬데믹이 엔데믹으로 전환되고 있는 가운데 대면수업 가능 인원이 확대되면서 그간 한산하기만 했던 캠퍼스에 학생들의 발길이 잦아지고 강의실에도 활기가 돌고 있다. 코로나 19의 확산 및 장기화로 2년이 넘도록 위축...

태영호 국회의원 ‘윤석열 정부의 대북정책 진단’주제로 서경대 특강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북한 외무성 출신으로 대한민국에 망명한 태영호 국회의원을 초청해 6월 3일(금) 오전 10시 서울 성북구 정릉에 있는 서경대캠퍼스 문예홀에서 ‘윤석열 정부의 대북정책 진단’이라는 주제로 특별강연...

『코로나 엔데믹 시대, 서경대학교의 중앙동아리 알아보기』 기획시리즈 #2<체육분과1> file

코로나 19 팬데믹이 엔데믹으로 전환되고 있는 가운데 대면수업 가능 인원이 확대되면서 그간 한산하기만 했던 캠퍼스에 학생들의 발길이 잦아지고 강의실에도 활기가 돌고 있다. 코로나 19의 확산 및 장기화로 2년이 넘도록 위축...

『코로나 엔데믹 시대, 서경대학교의 중앙동아리 알아보기』 기획시리즈 #3<학술분과> file

코로나 19 팬데믹이 엔데믹으로 전환되고 있는 가운데 대면수업 가능 인원이 확대되면서 그간 한산하기만 했던 캠퍼스에 학생들의 발길이 잦아지고 강의실에도 활기가 돌고 있다. 코로나 19의 확산 및 장기화로 2년이 넘도록 위축...

국내 최대 종합미용대회, 제8회 아시아미페스티벌뷰티아티스트콘테스트 성료 file

(사)한국메이크업전문가직업교류협회(회장 안미려)가 지난 5월 14일(토)요일 제8회 아시아미페스티벌뷰티아티스트콘테스트를 개최했다. 아시아미페스티벌뷰티아티스트콘테스트는 상반기 종합미용대회로 (사)한국메이크업전문가직업교류협회가 주최...

서경대학교, KAI와 ‘유무인 복합체계 발전방안’ 주제로, 제2차 산학협동 학술세미나 개최 file

6월 8일(수) 오전 10시 서울 더플라자호텔 오키드룸서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사장 안현호)과 2022년 6월 8일(수) 오전 10시 서울 더플라자호텔 오키드룸에서 ‘유무인 복합체계 발전방안’을 주제로 제...

『코로나 엔데믹 시대, 서경대학교의 중앙동아리 알아보기』 기획시리즈 #4<종교분과> file

코로나 19 팬데믹이 엔데믹으로 전환되고 있는 가운데 대면수업 가능 인원이 확대되면서 그간 한산하기만 했던 캠퍼스에 학생들의 발길이 잦아지고 강의실에도 활기가 돌고 있다. 코로나 19의 확산 및 장기화로 2년이 넘도록 위축...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