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동네 문화공간에서 만난 최만린과 이육사[이즈미의 한국 블로그]일러스트레이션.jpg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jpg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강의가 없는 금요일, 나는 가을바람에 이끌려 집을 나서 동네 작은 문화공간을 찾아간다. 비라도 내린다면 콸콸 쏟아지는 정릉천변을 따라 오르기도 하고, 물길을 따라 북한산 입구에 다다르면 시원하게 불어오는 계곡 바람에 흐르던 땀을 말려보기도 한다. 그렇게 걸어 찾아가는 곳들이 있다.

 

최만린 미술관은 집에서 걸어 20분 거리에 있다. 이곳은 조각가 최만린 선생님(19352020)30년간 살며 작업하신 주택을 개조해서 만든 성북구립 미술관이다. 지난주 그의 1주기 추모전 조각가의 정원, 다섯 계절이 시작됐다. 그는 서울대 미대 명예교수와 국립현대미술관장을 역임했고, 한국 조각 근대화의 토대를 이룬 거장이다.

 

나는 선생님과 개인적인 인연이 있다. 2018년 여름, 동네 도서관 특강에서 지역 문화예술인에 대해 배우던 중 수강생들과 함께 마지막으로 찾아간 곳이 선생님 댁이었다.

 

선생님은 당시 거주하시던 그곳을 미술관으로 바꾸기 위해 정리 중이었다. 우리에게 직접 정릉에 살게 된 연유와 집에 얽힌 이야기를 조금 특이한 억양으로, 하지만 청명하고 힘 있는 목소리로 들려줬다. 또박또박 간결하게, 외국인인 나도 잘 알아듣게 말씀해주시는 모습에 옛 초등학교 교장 선생님이 생각났다. 동시에 과거 전시에서 숨죽여 봤던 작품 ()’의 작가를 바로 눈앞에서 만났다는 생각에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선생님이 하시는 한마디 한마디가 진정성 있게 느껴졌다. 이후로도 나는 선생님을 두 차례 더 만났다. 그 정직하고 꾸밈없는 모습과 예술에 대한 열정을 보며 작품과 예술가의 삶이 동떨어져 있지 않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한국에서 여러 존경할 만한 분들을 만났지만 선생님은 지금도 내가 가장 닮고 싶은 예술가다.

 

그래서 이번 전시는 내게 더 특별하게 다가왔다. 전시는 선생님의 생전 작품 세계를 사계절로 나눠 실내 전시장에서 소개하고, 정원을 오마주 공간으로 꾸며 놓았다. 실내 전시장을 둘러본 후 작은 정원을 천천히 걸었다. 마당 끝에서 오래 키우셨다는 커다란 금붕어를 가리키며 이야기를 들려주시던 모습의 기억이 선하다. 선생님이 떠나신 뒤 그 물고기들을 정릉천에 방생했다고 한다. 그 이야기 때문에 나는 오늘도 정릉천변을 걷고, 선생님 댁 금붕어를 찾는다.

 

최만린 미술관이 작가와의 인연 때문에 더 깊은 울림을 주는 공간이라면, 인근의 또 다른 복합문화시설인 문화공간 이육사는 내게 이육사 시인(19041944)의 존재를 처음으로 알려준 곳이다. 고백하자면 나는 시인의 성함을 최근에야 알게 됐다. 그의 대표 시 청포도광야도 몰랐고, 윤동주 한용운과 함께 일제강점기 ‘3대 저항시인으로 꼽힌다는 것도 몰랐다. 그리고 시인의 외손자가 내 남편의 동창이라는 얘기를 듣고 또다시 놀랐다.

 

한국에서 오랜 시간 머물렀지만 이런 무지함을 자각하게 될 때마다 내 마음은 콩알처럼 작아진다. 그렇지만 새로운 것들을 배울 수 있는 이런 문화공간이 가까이에 있어 행복하다. 일제강점기에 중국과 한국을 오가며 독립운동을 했던 이육사 시인은 1939년 종암동 62번지에 이사해 몇 년을 지내며 청포도를 비롯한 여러 시를 발표했다. 문화공간 이육사는 시인의 실제 거주지와 가까운 곳에 위치한 의미 있는 공간이다. 8월 한 전시를 보기 위해 이곳을 처음 찾았을 때 이육사 시인의 존재를 알게 됐고, 지난주부터 시인과 관련한 문학 특별강좌를 수강하며 공부 중이다. 시인은 당시 일본 제국주의에 저항해 일본어로는 작품을 남기지 않았다. 해석의 여지가 다양한 시인의 시를 공부하는 것은 나를 더 성장시켜준다.

 

코로나19로 많은 이들이 여행을 가지 못해 아쉬워한다. 하지만 최만린 미술관이나 이육사 문화공간처럼 우리 주변에는 작지만 의미 있는 문화예술 공간들이 있다. 올가을 이런 공간들을 찾아보는 것은 어떨까. 많은 이들이 가까이에 있지만 몰랐던 인물과 작품을 만나고 그를 통해 기쁨과 치유의 감정을 누릴 수 있길 바란다.

 

<원문출처>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10917/109301800/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3031

서경대학교, 한국항공우주산업주식회사와 산학협동 세미나 성황리에 개최 file

‘군수송기 및 임무목적기 개발’ 주제로, 2021년 11월 17일(수) 교내 본관 대회의실서 대학교수, 방산업체 관계자 등 30여 명 참석 조병호 서경대 군사학과 초빙교수, 주제발표 통해 “군 수송기 · 특수임무기 국산화 노력 시급...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무용예술학과 제19회 졸업작품 발표회 및 제21회 한국무용 정기공연 개최 file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무용예술학과(학과장 전순희 교수)가 주최하는 제19회 졸업작품 발표회와 제21회 한국무용 정기공연이 11월 24일(수) 오후 5시 교내 문예관 1층 문예홀에서 열린다. 금번 작품발표회와 정기공연에서는 단체 ...

서경대학교 뮤지컬학과 제17회 정기공연 <hair spray> 개최 file

11월 17일(수)부터 21일(일)까지 닷새간 교내 문예홀서 총 6차례 공연 예정 코로나 19 확산 방지위해 학과 내 인원만 관람 예정 서경대학교 뮤지컬학과 제17회 정기공연이 11월 17일(수)부터 21일(일)까지 닷새간 서경대학교 ...

서경대학교 피아노 앙상블 SPE, 11월 30일 제5회 정기연주회 개최 file

오는 11월 30일 예술의전당 IBK챔버홀에서 서경대학교 피아노 앙상블 SPE 제5회 정기연주회가 열린다. 피아노 앙상블 SPE는 서경대학교 음악학과에서 후학을 양성하고 있는 피아니스트이자 교수 및 강사들이 음악의 뜻을 함...

김기은 서경대 화학생명학과 교수 칼럼 :[바이오연료, 수소경제와 그린뉴딜] file

서경대 김기은 화학생명공학과 교수 한국형 그린뉴딜 종합계획이 2020년 발표됐다. 탄소중립을 목표로 산업계의 구조조정을 통해 대규모 일자리를 창출하고 경기활성화와 산업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세계적으로 그...

[2021 서경대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CEO] 역사적 인물과 이야기가 담긴 옷을 만드는 ‘HHAN’ file

장범준 HHAN 대표 한(HHAN)은 역사적 인물과 이야기가 담긴 옷을 만드는 스타트업이다. 장범준 대표(23)가 2019년 3월에 설립했다. 장 대표는 “HHAN은 ‘HISTORY HANDMADE’를 줄인 표현으로 역사를 핸드메이드하는 ...

[2021 서경대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CEO] 아이와 지구를 지키는 국민 약병 ‘ZZUP’ file

최혜미 ZZUP 대표 쭙(ZZUP)은 영유아 전용 친환경 약병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최혜미 대표(34)가 2020년 4월에 설립했다. 쭙은 약을 잘게 나눠 영유아에게 투약하는 친환경 실리콘 약병을 개발했다. 쭙이 개발한 약병은 ...

[2021 서경대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CEO] 예술과 융합한 역사체험 콘텐츠를 만드는 ‘더이음문화예술교육 협동조합’ file

이영욱 더이음문화예술교육 협동조합 대표 더이음문화예술교육 협동조합은 예술가들이 모여 교육과 컨설팅을 진행하는 단체다. 이영욱 대표(47)가 설립했다. 더이음은 2021년 4월 법인단체가 됐다. 더이음은 현재 역사 소재를 예술...

[2021 서경대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CEO] 청년들을 위한 문화 콘텐츠 만드는 스타트업 ‘디타임’ file

이재정 디타임 대표(지역활성화 프로젝트 정릉스쿨) 디타임은 문화예술 스타트업이다. 이재정 대표(29)가 2019년 12월에 설립했다. 이 대표는 “디타임은 예술의 일상화를 위한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하는 기업”이라고 소개했다. ...

[2021 서경대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CEO] 지역의 건강한 문화예술교육 생태계 형성하는 ‘마을온예술’ file

김가희 성북문화예술교육가협동조합 마을온예술 대표(지역활성화 프로젝트 정릉스쿨) 성북문화예술교육가 협동조합 ‘마을온예술’은 서울 성북 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예술가들이 모인 단체다. 김가희 대표(50)는 2016년 2월에 설립...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