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권재욱 서경대 특임교수.jpg

세상과 내가 서로 어긋나기만 하니, 다시 수레를 몰고 나가 본들 무엇을 얻겠는가(世與我而相違, 復駕言兮焉求)”. 한창 무르익어 일할 나이에 돌연 도연명의 <귀거래사> 한 구절을 내뱉고는 사라졌던 친구가 오랜만에 연락이 왔다. 도시가 싫다며, 위선과 허세로만 채워가는 도시가 미워졌다며, ’월급 몇 푼(五斗米)‘어치에 같찮은 놈에게 굽실거리기 싫어 귀향을 택한 오류선생(五柳先生) 마음이 딱이라며, 진작에 산촌에 들었던 친구다.

 

코로나19 백신을 맞으라는데, 어느 것을 맞아야 하느냐고? 검증이 덜된 백신이라 부작용이 만만치 않다는데 맞아야 하느냐고. 맞는다면 싼 게 비지떡이니, 조금이라도 원가가 높은 것을 맞는 게 나을까, 아니면 부자나라 사람들이 선호하는 것이 덜 위험할까?

 

친구는 질문인지, 불만인지 투덜거렸다. 의사들이 안 맞는 것보다는 맞는 게 위험이 덜할 거라니 맞는 게 나을 것이라고, 그나마 골라 맞는 것은 쉽지 않다고 했더니, 뭔 세상이 더 좋은 것을 골라도 시원찮을 판에 덜 나쁜 것을, 그것도 운이 좋아야 잡을 수 있는 세상이 되어 버렸냐고, 야단이었다. 이거야 말로, 거미가 좋으냐 뱀이 좋으냐. 아니 거미와 뱀 중에서 어느 쪽이 덜 징그러우냐가 아니냐는 것이다.

 

거미가 좋으냐? 뱀이 좋으냐? 두 물건이 가까워지는 꼴을 못보고 그 사이에 거미줄을 쳐 지저분하게 만들어 놓고는 먹잇감이 실수로 걸려들기만을 기다리는 음흉한 거미와, 징그러운 두 가닥 혀를 날름거리며 단 한 번도 똑바로 나아 간 적 없는 간사한 뱀 중 한 쪽을 품에 안으라면, 그대의 선택은?

 

우리는 하루하루를 최선을 다해 살아 간다. 하나라도 더 배우고 조금이라도 더 노력하여 가장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으려고 애쓴다. 하지만 도모하는 이는 인간이나 이루는 이는 하늘이니, 때로는 자신이 원하지 않는 밥상이 차려지기도 한다. 돈과 권력이 신이 되어버린 오늘날엔, 한여름 땀 흘려 일한 정직한 농부가 차린 맛깔스런 식단과 은쟁반에 하이얀 모시 수건이 셋팅 되어 있는 식탁은 꿈결 같은 이야기가 된 지 오래다.

 

오늘 우리는 내키지 않은 만찬에 끌려나온 짐승처럼 앉아 있다. 어느 것 하나 선뜻 젓가락이 갈 만한 접시가 없는 빈한한 밥상. 허기는 심해지고 음식은 식어만 가니 차려진 것 중 덜 거시기 한 것에라도 손을 뻗어야 한다.

 

부와 정보가 갈수록 한쪽으로 쏠리고, 좋은 자리와 기회는 끼리끼리 나눠먹는 이 편벽한 시절에는 어쩔 수 없이 이런 식탁 앞에 서는 일이 잦아진다. 나날이 줄어드는 좋은 직장은 발 빠르고 뒷심 좋은 이가 먼저 차지하고 비정규직도 감지덕지, 알바 자리라도 얻어 걸리면 재지 말고 잡아야 한다.

 

집값과 전세값은 하루가 다르게 올라 무주택자들의 설움은 깊어만 가는데, 집은커녕 한 몸 누일 방조차 없어 차박을 하며 기초생활 수급자 인정을 기다리다가 주검으로 발견된 50대 남자의 이야기가 눈 앞을 흐린다. 아무리 억을함을 하소연하여도 덮어버리기에 급급한 조직 앞에 죽음으로 항변한 여군 부사관의 절망은 또 어떠한가. 그들에게 최선은 어떻게든 죽음이라는 최악의 상황만은 피하는 것이었을 것이다.

 

가장 슬픈 일은 사는 것보다 낫다는 생각으로 선택한 삶의 포기이다. 매일 들려 오는 자살하는 이웃의 이야기. 우리나라는 하루 평균 35명이 스스로 죽음을 택한다고 한다. 코로나보다 더 무섭고 잔인한 질병이 성실하게 노력해도 소용없는 사회구조요, 장벽으로 둘러쳐진 그들만의 리그이다. 얼마나 사는 일이 힘들고 희망이 없었으면 죽기보다 더 싫은 죽음을 선택했을까?

 

박형민은 <자살, 차악의 선택>에서 자살을 세상에서 가장 안타까운 차악의 선택으로 보았다. 자살한 사람들은 그저 홀로 죽음을 결심한 것이 아니라, 우리와 함께 살면서, 자신의 삶과 미래에 대한 성찰 끝에 내린 선택이었다고 말한다. 그들에게 죽음은 삶의 가장 중요한 과정일 수 있으며, 그들의 죽음은 다른 사람들에 대한 적극적인 행위일 수 있다고 단정한다. 그들은 우리에게 무슨 이야기를 남기고 싶었던 것일까?

 

어느 한 곳에서도 환영받지 못하고, 차별과 무시 속에 살아온 오늘, 내일 역시 한가닥 희망도 기대할 수 없어 선택한 죽음. 그들의 서러운 삶을 못 본 체 해온 우리들과 그들을 그렇게 내몬 세상에 대한 고발은 아닐까.

 

우울한 시절이다. 오늘도 우리는 차악의 접시 앞으로 내몰리고 있다. 붉은 빛을 잃어가는 배롱나무 꽃잎 사이로 겨우 보이는 한 줄기 파아란 하늘이 눈물겹다. 간구하기를, 사람만은, 우리에게 절망을 안길 수도, 희망을 줄 수도 있는 사람에 대한 선택만은 차선(次善)의 잔이라도 받아 들 수 있기를... 거미를 닮은 사람과 뱀과 흡사한 사람 중에서 고르라고 한다면 너무 절망적이지 않은가?

 

<원문출처>

e대한경제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108301722052320640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1062

[2021 서경대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CEO] Extra Wall을 활용해 전시 기획하는 ‘오픈월’ file

반수경 오픈월 대표(지역활성화 프로젝트 정릉스쿨) 오픈월은 ‘추가의 벽(Extra Wall)’을 활용해 전시를 기획하는 스타트업이다. 반수경 대표(28)가 2021년 1월 설립했다. 반 대표는 이 아이템으로 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경영지원...

[2021 서경대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CEO] 어린이를 위한 놀이 명상 교구 만드는 ‘웰마인드’ file

송은주 웰마인드 대표 웰마인드는 어린이를 위한 심리 건강 교구 및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송은주 대표(34)가 2021년 6월 대학원 동기 두 명인 윤수지(35), 최수현(33) 공동 창업자와 함께 설립했다. 이들은 ...

[2021 서경대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CEO] 저글링 배우며 환경 공부하는 콘텐츠 만드는 ‘점퍼즈’ file

강승우 점퍼즈 대표 점퍼즈는 에듀테인먼트 콘텐츠를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강승우 대표(37)가 2021년 1월 설립했다. 강 대표는 “점퍼즈는 ‘사람을 가치 있게, 일상을 즐겁게, 세상을 아름답게’ 라는 미션으로 에듀테인먼트 ...

[2021 서경대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CEO] 사람들의 이야기 모아 전시회 개최한 ‘정릉1동 주민자치회’ file

선종욱 정릉1동 주민자치회 교육분과위원장(지역활성화 프로젝트 정릉스쿨) 2020년 12월 주민자치법이 개편되면서 서울 시내에는 주민자치회가 잇따라 생겼다. 정릉1동 주민자치회도 2021년에 시작됐다. 성북구에는 정릉1동을 포함해 ...

[2021 서경대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CEO] 정릉시장 소식지 발간해 상인들과 소통하는 ‘정릉시장협동조합’ file

유형곤 같이가치 정릉시장협동조합 대표(지역활성화 프로젝트 정릉스쿨) 같이가치 정릉시장협동조합은 서울 성북구 정릉시장 상인들이 가입한 비영리 단체다. 15년간 직장생활을 하다 퇴사 후 고향인 정릉시장에서 7년째 작은 세탁소...

[2021 서경대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CEO] AI 고양이 장난감을 만드는 스타트업 ‘캣코’ file

강희원 캣코 대표 캣코는 인공지능(AI) 고양이 장난감을 만드는 스타트업이다. 강희원 대표(53)가 2020년 12월에 설립했다. 강 대표는 “캣코는 고양이와 고양이를 키우는 애묘인들에게 행복함을 주는 기업”이라고 소개했다. 캣...

[2021 서경대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CEO] 정릉 문화 알리미 기자단 운영하는 ‘콘팩’ file

이훈희 콘팩 대표(지역활성화 프로젝트 정릉스쿨) ‘콘팩’은 문화예술 기반의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하는 기업이다. 이훈희 대표(52)가 2012년에 설립했다. 주식회사 콘팩은 ‘콘텐츠 팩토리’의 줄임말로 언론매체 운영, 문화예술 ...

[2021 서경대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CEO] 건축으로 아동·청소년 교육하는 기업 ‘플레이빌드’ file

심응석 플레이빌드 대표 플레이빌드(Playbuild)는 아동·청소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심응석 대표(41)가 2015년 8월에 설립했다. 플레이빌드가 교육하는 분야는 건축이다. 심 대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건축을 ...

[2021 서경대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CEO] 스포츠 경기 자동 촬영 시스템 개발하는 ‘플레이카니발’ file

강성모 플레이카니발 대표 플레이카니발은 스포츠 경기 자동 촬영 시스템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강성모 대표(26)가 2020년 5월에 설립했다. 플레이카니발은 현재 축구 종목인 ‘풋살’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개발 중이다. “많...

[2021 서경대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CEO] 작품 온라인 포트폴리오 만들어 주는 서비스 ‘필디’ file

신동윤 필디 대표 필디는 디자이너들의 작업 프로젝트를 온라인에 업로드하는 플랫폼을 개발한 스타트업이다. 신동윤 대표(31)가 2017년에 설립했다. 신 대표는 “필디는 오프라인에 머물러 있는 포트폴리오를 온라인화해 언제든 선...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