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권재욱 서경대 특임교수.jpg

참으로 약한 것이 사람이다. 그의 몸은 약간의 기온 상승에 땀을 뻘뻘 흘리고 약간의 기온 저하에 벌벌 떨며 옷깃을 여민다. 천하보다 귀한 그 육신을 앗아 가는데 한 방울의 독소와 미미한 바이러스면 족하다.

 

더욱 염려스러운 것은 마음의 연약함이다. 하루에도 몇 번씩 희 로 애()락의 롤러 코스트를 타고, 시각마다 애() 오 욕의 번민에 괴로워 한다. 스님들은 한 마음 먹으면 천국이요, 또 한 마음 먹으면 지옥이라며 마음 다스림이 알맞은 온기의 크림 수프 먹기인 듯 얘기하지만, 입에 붙은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를 제대로 보여준 스님을 전설 바깥에서 찾지 못했다. “약한 자여, 그대 이름은 여자!”. 햄릿이 아버지가 돌아 가신지 한 달도 안되어 삼촌과 결혼한 어머니를 원망하며 무탈한 세상 여자들까지 싸잡아 비난하였지만, 정작 좌고우면하다 파국을 맞은 자는 자신이니 남녀가 다르지 않다.

 

마음은 대충 아쉽다. 끝 모를 욕망은 채워도 채워도 부족하고, 내일 일을 걱정하지 말라는 전능자의 금언에도 불구하고, 배 부른 오늘, 내일 걱정에 불안해 한다. 삶이 고해인 이유가 꽃 피고 맛난 과실 주렁주렁한 초여름에도 마음은 늘 불만의 계절에서 굶주리고 있기 때문이다. 겉으로 만족하는 척, 평온한 듯 하지만 대개 마음 속 깊은 곳에 두려움이나 불만이 숨어 있다. 사람의 의식 속에 일말의 열등감도 없는, 항시 쾌청한 하늘은 없다. 없는 듯 희미한 구름 한 점, 미약한 바람 한 가닥이 어느 순간 먹구름이 되어 비를 내리고 폭풍으로 돌변한다.

 

아프고 불만스러웠던 기억이 낙인이 되어 자신이 어딘가 부족하게 느껴지는 잠재의식, 그것을 심리학과 정신 분석학에선 콤플렉스라 이름한다. 사람은 누구나, 그대가 예외라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크거나 작거나 간에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다. 우리네 삶은 콤플렉스와의 갈등과 싸움과 화해의 과정이다. 프로이트와 카를 융 이후 심리학은 콤플렉스를 건드리지 않고는 한 발자국도 나아가지 못한다. 키 작은 사람은 키 큰 사람에게 기 죽는다. 내세울 게 없는 출신은 귀한 신분에게 괜히 주눅든다. 엄한 아버지의 훈육을 받은 아들은 더욱 엄혹하게 되거나 마냥 방임하는 아빠가 되기 쉽다.

 

심리학자 A. 아들러는, 성적 에너지인 리비도가 삶의 원동력라고 주장한 프로이트와는 달리, 열등감이 사람의 행동을 결정짓는 동기의 근원이라고 설파했다. 내면화 된 콤플렉스와 어떻게 화해하고 동기화(動機化)하느냐에 따라 삶의 그림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키 작은 촌놈 출신의 나폴레옹과 아버지를 능가하고자 압박받은 알렉산더, 환관의 손자인 조조는 그들의 열등감을 삶의 에너지로 활용하여 놀랍고 기발한 스토리를 남겼다. 그들 외에도 콤플렉스를 물감 삼아 역사적인 큰 그림을 그렸던 인물들은 많다. 하지만 훨씬 더 많은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 올가미에 걸린 짐승처럼 열등감에서 벗어나지 못해 슬프거나 우울한 그림을 그렸다.

 

그 의도하지 않은 그림은 사람 간의 신뢰나 사랑의 밑동이 흔들리면서 시작된다. 열등감이 큰 사람일수록 사랑하는 사람을 쉽게 의심하며 질투심에 쉽게 무너진다. 월등한 상대가 자신 같은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 내심 믿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비극 문학의 백미라는 셰익스피어의 <오셀로>는 사랑하는 연인 데스데모나를 오해하여 목졸라 죽이고 자신도 자결하는, 참으로 불우한 사내의 이야기이다. 누구보다 용감하고 충성스런 장군이지만, 그의 인종적 콤플렉스가 더없이 지고 지순했던 사랑을 질투에 눈먼 이아고가 던진 손수건 한 장에 참혹하게 날려보냈다. 소년시절 하필이면 주인공을 검은 피부의 무어인으로 내세웠을까 의아해 했었는데, 어의없는 거짓말에 쉽게 넘어가게 하기 위한 문학적 장치였던 것이다.

 

사회도 개인과 한가지다. 세상에 거짓말이 횡행한다는 것은 그것을 쉽게 믿는 사람들이 많다는 뜻이고 사회적 스트레스가 많이 쌓였다는 말이다. 위선과 불만이 세상에 가득하여 사회적 콤플렉스로 자리잡으면 하나 둘 거짓 선지자가 고개를 내민다. 증오와 음모와 뻔뻔한 언설이 사람들의 조급한 욕망과 불안, 두려움을 먹이 삼아 장마철 곰팡이처럼 극성스레 발호한다.

 

실력도 통하지 않고 운도 따라주지 않으면 점쟁이를 찾는다. 그것도 위로가 되지 않으면 수상한 사람의 부추김에, 그의 헛된 이야기에 거짓인 줄 알면서도 흔들린다.

 

인간은 한 줄기 바람에도 흔들리는 연약한 갈대다 그러나 생각하는 갈대다. 올곧은 사유가 두렵고 불안한 심사(心思)를 진정시킬 수 있다. 그대의 데스데모나는 누구인가? 그대, 교활한 인간이 던진 손수건 한 장에 지순한 사랑을 날려버린 오셀로가 되려는가? “희망에 차 기대했던 것이 최악이 되는 것을 보는후회스런 일이 다시는 없기를...

 

<원문출처>

e대한경제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10630164024664036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0672

[자주국방, 미래전을 준비한다] 국가·사회가 필요로 하는 정예 장교 양성 … 서경대 군사학과 명문대학으로 자리매김 file

육군·해병대 등과 학·군 협약 체결 전국 유사 학과 대비 취업률 100% 서경대 군사학과는 수도권 지역 4년제 종합대학 가운데 처음으로 국가 안보를 책임질 정예 장교를 양성하는 학과를 운영하고 있다. 서경대학교 군사학과는 ...

서경대학교 한일문화예술연구소, 영화 '기생충'의 자막번역가 '달시 파켓' 선생 초청 특별강연회 개최 file

'영화 자막 알기' 주제로 11월 23일(월) 오후 7시 30분 코로나 19 감염 예방 위해 비대면 온라인(Zoom) 형태로 진행  서경대학교 한일문화예술연구소(소장 이즈미 지하루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는 11월 23일(월) 오후 7시...

[김구선의 서경대학교 경영문화 대학원 교수 칼럼] 골프 비거리에 중요한 '엑스팩터'는 뭘까? file

골프 스윙에서 힙과 관련된 몸통(어깨)의 회전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엑스팩터(X-Factor)라는 용어는 <그림 1>의 ③과 같이 몸통(어깨)의 회전각과 힙의 회전각의 차이이다. 엑스팩터의 활용은 스트레치 단축 사이클(Stretch...

[2023 수시 입학정보] 서경대학교 file

CREOS형 인재를 양성하는 글로컬 실용중심 대학 <서경대 유담관> 서경대학교는 대학혁신을 위해 ‘CREOS형 인재를 양성하는 글로컬 실용중심 대학’이라는 새로운 대학비전을 수립했다. 비전 달성을 위해 ▲실용학문 특성화...

[전창배 서경대 블록체인R&P센터 기업부설연구소장의 4차산업혁명 바로보기] file

제조업의 미래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 논설위원 전창배 ‘4차 산업혁명’이란 용어는 2016년 다보스 세계경제포럼(WEF)에서 클라우스 슈밥 회장이 최초로 언급한 용어로 현재는 전 세계에서 보통명사처럼 쓰이는 단어가 되...

글로벌 창의·융합·실용인재 양성의 요람 file

서경대학교 대학혁신추진사업단 이석형 단장 실용교육의 메카로 명맥을 이어 온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가 새로운 도약과 혁신을 향한 힘찬 닻을 올렸다. 지난해 교육부 주관 2주기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에서 최상위 성적으로 ‘자...

서경대학교, 블리비의원 · 포에버의원과 ‘채용조건형 계약학과’ 설치를 위한 산학협력 협약 체결 file

2021년 4월 14일(수) 오후 2시 교내 본관 3층 대회의실서 - 서경대, 정원 40명의 ‘뷰티테라피&메이크업학과(블리비반 · 포에버반) 운영 - 블리비의원 · 포에버의원, 학생에 등록금 50% 이상 4년간 지원 서경대...

[진세근 서경대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 : 漢字, 세상을 말하다] 糊口<호구>

호구를 순 우리말로 쓰면 ‘입에 풀칠 한다’ 정도 된다. 제대로 된 음식이 아니라 죽(粥)을 먹는다는 얘기다. 송(宋)대 사마광(司馬光)의 저서 『온국문정(溫國文正) 사마광 문집(文集)』 내 <훈검시강(訓儉示康)>에 처음 보인다. “간...

코로나 19 확산 및 장기화 속, 비대면 수업으로 알지 못했던 변화된 캠퍼스 시설물 둘러보기 file

2년째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 19의 확산 및 장기화로 대부분의 학교수업이 비대면으로 이루어지면서 학생들의 활기로 가득찼던 캠퍼스는 한산하기만하다. 서경대학교는 비대면 수업으로 소수의 학생들만 등교하는 상황을 활용해 그동안...

권재욱 서경대 특임교수 칼럼:[시론] 증오는 힘이 세다 file

때로는 증오가 사랑보다 힘이 세다. 동물의 어미가 자기 새끼를 해치려는 적을 용감히 무찌르는 것은, 물론 그 밑바탕에는 사랑이 있지만, 자신보다 덩치가 큰 상대를 향해 돌진하는 돌올함은 순간적인 증오가 폭발해서이다. ...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