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 진세근 교수.jpg

진세근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사무총장·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아우슈비츠에는 방직물이 전시돼 있다. 가스실에서 학살된 유대인들의 머리카락으로 짠 물건이다. 그 앞에 선 방문객은 예외 없이 얼어붙는다. 정작 충격받을 일은 따로 있다. 간수, 관리자의 수기와 일기다.

 

고문과 살해 현장을 기록하고 있어서가 아니다. “죄책감이 별로 없다는 그들 대다수의 진술 때문이다. 참혹한 일을 저지르고도 말년까지 양심의 가책이 없었다는 게 가능할까?

 

가능했다. 타자에 대한 비인간화 혹은 악마화의 힘이다. 나치는 유대인, ‘빨갱이등은 인간이 아니라는 교육을 철저하게 실시했다. 유대인들을 종교적 광신도, 혹은 공산주의 열혈 추종자로 규정했다. ‘광신도 무리인 유대인들이 유럽의 생존과 문명을 파괴시키고 있다고 독일인을 세뇌시켰다. 유대인 멸종이 인간의 모습을 지닌 해충을 박멸하는 청소가 될 수 있었던 이유다.

 

그렇다면 이제 인류는 누구도 악마화해선 안 된다는 교훈을 얻었을까? 대답은 부정적이다.

 

우선 유대인을 보자. 참혹한 피해자였던 이들은 이제 가해자가 됐다. 팔레스타인에 대한 무차별 포격으로 어린이를 포함한 수십 명의 사상자를 내고도 떳떳하다.

 

포격의 주역은 중동 지역에서 이주해온 유대인들이다. 이들은 이스라엘의 중·상류층인 동유럽 출신 유대인들(아슈케나지)과 구분해 세파르디로 불린다. 경제적으로 하층에 속한다.

 

세파르디는 자신들을 아랍계 주민들과 대비시키는 방식으로 유대 민족주의를 강화하면서 극우 리쿠드당을 결성했고, 마침내 사회주의 성향의 노동당을 밀어내고 집권했다. 현재 이스라엘을 주도하고 있는 세력이 바로 이 극우 리쿠드당이다. 이들은 DNA 분석을 통해 자신들이 과거 유대 주민의 후손이라고 주장한다. 아리안족의 우월성을 증명하겠다며 유대인을 학살했던 나치의 논리와 무엇이 다르단 말인가?

 

이스라엘 텔아비브대학교 역사학과의 슐로모 산드 교수는 유대인의 발명이라는 저서에서 현재 유대인들은 유대교 포교로 인한 개종자들의 후손이며, 과거 유대 주민들은 팔레스타인 땅에 대부분 남아 무슬림으로 개종했다고 주장했다. 산드 교수의 학설대로라면 현재 팔레스타인 주민들이 오히려 유대인의 본류이며, 지금의 이스라엘 국민들은 이방인들의 후손이라는 얘기가 된다<정의길의 세계 그리고>. 굴러온 돌이 박힌 돌을 빼내고, 주인 행세를 하는 셈이다.

 

교훈의 부재는 가해자에도 나타났다. 독도는 경술국치 전에 빼앗긴, ‘아픈 막내. 광복 후에도 한참이나 지나서야 되찾은 땅이다. 그럼에도 후안무치의 섬나라는 올림픽 지도에 독도를 자국 영토로 버젓이 그려 넣었다. ‘조선인은 열등하니 내지인의 피를 섞어 내지인 같은 1등 국민으로 만들어야 한다며 우리 민족을 맹렬하게 유린했던 그들이 아니었나. ‘인간 악마화의 폐해로부터 교훈 얻기를, 섬나라에 기대한 게 애초부터 무리였는지 모른다.

 

정부에 제안한다. 올림픽에 당당하게 참가하자. 그들의 부당함을 이유로 평화제전을 보이콧 한다면 그 역시 부당할 테니까. 대신 한반도기()에 독도를 명료하게 표기해서 입장하자. 저들의 무도함을 징치하는 데, 이보다 더 품격 있는 방법은 없다.

 

역사를 기억하지 못한 자, 그 역사를 다시 살게 될 것이다.”

 

아우슈비츠의 한 팻말에 쓰인, 조지 산타야나의 명언이다. 패역한 섬나라에는 여기에 한 마디를 더 보태주고 싶다.

 

타자(他者)를 낮추라. 너희만 추해지리라!”

 

<원문출처>

경북일보 https://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77568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1825

[진세근 서경대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 : 漢字, 세상을 말하다] 霧霾<무매> file

비(雨)와 안개(霧)가 없다면 중국 문인들이 시(詩)를 쓸 수 있었을까? 쓸쓸함, 그리움, 실연, 그리고 소생(蘇生)은 비와 안개 아니면 전달할 길이 막막했을 것이다. “좋은 비 시절을 알아/봄이 되니 때맞춰 내린다./어둠 틈타 ...

H2O품앗이운동본부 20주년 기념식…11명 품앗이안상 수상 file

H2O품앗이운동본부는 지난 13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귀빈식당에서 ‘품앗이운동 20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품앗이운동본부 20주년 활동을 돌아보고 향후 계획 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이와 함께 품앗이운동본부...

[반성택 서경대 교수 시론] 지나가는 올해로부터의 새로운 출발 file

반성택 서경대 교수 이제 거리에는 연말 분위기가 묻어난다. 크리스마스를 알리는 백화점의 눈부신 네온사인은 연말 분위기를 더욱 조성한다. 크리스마스는 교회보다는 백화점에서 시작되고 오래 지속된다. 이렇게 어느 해처럼 ...

영리대학 대 비영리대학 file

세계의 고등교육 ⑩ 외국 교육기관의 영리·비영리 최근 제주도에 중국계 자본에 의한 영리병원 설립이 허가됐다. 이에 대해 ‘영리병원이 의료의 공공성을 훼손할 것’이라는 지적과 ‘영리병원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해 의료서비...

“서경대 뮤지컬학과는 작은 교회, 뮤지컬 통해 캠퍼스 복음화 꿈꿔” file

25~30일 극단 ‘스튜디오 134’의 뮤지컬 ‘크리스마스 캐롤’ 뮤지컬 '크리스마스의 캐롤' 연습 현장. 송지수 인턴기자 지난 13일 서울 성북구 서경대 ‘스튜디오1’. 뮤지컬학과 재학생과 졸업생들은 오는 25일부터 30일까지 학...

KIFFA, 제14기 국제물류청년취업 아카데미 입교식 file

한국국제물류협회(KIFFA)는 17일 제14기 국제물류 청년취업아카데미(장기과정) 입교식을 갖고 약 2개월간의 대장정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이번 과정에서는 국제물류 이론 및 실무에 대한 내용 등을 교육할 예정으로, 내년 2월20일까...

서경대학교, 수능 백분위 적용… 탐구영역 2과목 평균 점수로 file

정한경 교무처장 서경대는 2019학년도 정시모집에서 정원 내 568명을 선발한다. 이번 정시모집에서는 이공대 컴퓨터과학과가 지난해와 달리 소프트웨어학과로 명칭을 변경했다. 예술대 공연예술학부는 연출전공으로 6명을, 실용음악학...

[이슈스타] 신예 카밀라, 작지만 당찬 ‘긍정 요정’…“오직 ‘음악’만 꿈꿨어요” file

[스포츠월드=정가영 기자] 혼혈 신예 가수 카밀라가 첫 앨범 ‘잇츠 올라잇(It’s Alright!)’으로 가요계에 도전장을 던졌다. 지난 10월 발매한 카밀라 데뷔앨범 ‘잇츠 올라잇’의 동명 타이틀곡 ‘잇츠 올라잇’은 좌절하고 ...

[전창배의 4차산업혁명 바로보기]② file

블록체인(Blockchain)과 암호화폐의 미래 ◀ 논설위원 전창배 ▶ 4차산업 혁명의 시대를 많은 학자들이 초지능, 초연결, 초융합으로 정의한다. 여기서 초연결(hyper-connected) 기술의 핵심이 바로 블록체인(Blockchain)이다. 블록...

경기마퇴, 금연·약물 오남용 예방 콘텐츠 시상 file

경인식약청과 공동 주관...건강한 사회 환경 조성 일환 경기도마약퇴치운동본부(본부장 김이항)는 지난 16일 경기도약사회관 대강당에서 경인식약청과 공동으로 금연 및 약물 오남용 예방 콘텐츠 공모전 시상식을 개최했다. 올해로 ...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