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 진세근 교수.jpg

진세근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사무총장·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아우슈비츠에는 방직물이 전시돼 있다. 가스실에서 학살된 유대인들의 머리카락으로 짠 물건이다. 그 앞에 선 방문객은 예외 없이 얼어붙는다. 정작 충격받을 일은 따로 있다. 간수, 관리자의 수기와 일기다.

 

고문과 살해 현장을 기록하고 있어서가 아니다. “죄책감이 별로 없다는 그들 대다수의 진술 때문이다. 참혹한 일을 저지르고도 말년까지 양심의 가책이 없었다는 게 가능할까?

 

가능했다. 타자에 대한 비인간화 혹은 악마화의 힘이다. 나치는 유대인, ‘빨갱이등은 인간이 아니라는 교육을 철저하게 실시했다. 유대인들을 종교적 광신도, 혹은 공산주의 열혈 추종자로 규정했다. ‘광신도 무리인 유대인들이 유럽의 생존과 문명을 파괴시키고 있다고 독일인을 세뇌시켰다. 유대인 멸종이 인간의 모습을 지닌 해충을 박멸하는 청소가 될 수 있었던 이유다.

 

그렇다면 이제 인류는 누구도 악마화해선 안 된다는 교훈을 얻었을까? 대답은 부정적이다.

 

우선 유대인을 보자. 참혹한 피해자였던 이들은 이제 가해자가 됐다. 팔레스타인에 대한 무차별 포격으로 어린이를 포함한 수십 명의 사상자를 내고도 떳떳하다.

 

포격의 주역은 중동 지역에서 이주해온 유대인들이다. 이들은 이스라엘의 중·상류층인 동유럽 출신 유대인들(아슈케나지)과 구분해 세파르디로 불린다. 경제적으로 하층에 속한다.

 

세파르디는 자신들을 아랍계 주민들과 대비시키는 방식으로 유대 민족주의를 강화하면서 극우 리쿠드당을 결성했고, 마침내 사회주의 성향의 노동당을 밀어내고 집권했다. 현재 이스라엘을 주도하고 있는 세력이 바로 이 극우 리쿠드당이다. 이들은 DNA 분석을 통해 자신들이 과거 유대 주민의 후손이라고 주장한다. 아리안족의 우월성을 증명하겠다며 유대인을 학살했던 나치의 논리와 무엇이 다르단 말인가?

 

이스라엘 텔아비브대학교 역사학과의 슐로모 산드 교수는 유대인의 발명이라는 저서에서 현재 유대인들은 유대교 포교로 인한 개종자들의 후손이며, 과거 유대 주민들은 팔레스타인 땅에 대부분 남아 무슬림으로 개종했다고 주장했다. 산드 교수의 학설대로라면 현재 팔레스타인 주민들이 오히려 유대인의 본류이며, 지금의 이스라엘 국민들은 이방인들의 후손이라는 얘기가 된다<정의길의 세계 그리고>. 굴러온 돌이 박힌 돌을 빼내고, 주인 행세를 하는 셈이다.

 

교훈의 부재는 가해자에도 나타났다. 독도는 경술국치 전에 빼앗긴, ‘아픈 막내. 광복 후에도 한참이나 지나서야 되찾은 땅이다. 그럼에도 후안무치의 섬나라는 올림픽 지도에 독도를 자국 영토로 버젓이 그려 넣었다. ‘조선인은 열등하니 내지인의 피를 섞어 내지인 같은 1등 국민으로 만들어야 한다며 우리 민족을 맹렬하게 유린했던 그들이 아니었나. ‘인간 악마화의 폐해로부터 교훈 얻기를, 섬나라에 기대한 게 애초부터 무리였는지 모른다.

 

정부에 제안한다. 올림픽에 당당하게 참가하자. 그들의 부당함을 이유로 평화제전을 보이콧 한다면 그 역시 부당할 테니까. 대신 한반도기()에 독도를 명료하게 표기해서 입장하자. 저들의 무도함을 징치하는 데, 이보다 더 품격 있는 방법은 없다.

 

역사를 기억하지 못한 자, 그 역사를 다시 살게 될 것이다.”

 

아우슈비츠의 한 팻말에 쓰인, 조지 산타야나의 명언이다. 패역한 섬나라에는 여기에 한 마디를 더 보태주고 싶다.

 

타자(他者)를 낮추라. 너희만 추해지리라!”

 

<원문출처>

경북일보 https://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77568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0841

서경대학교, 「2021년 인생나눔교실」 ‘찾아가는 인생나눔교실’ 수도권지역 인문멘토링 본격 시작 file

7월부터 12월까지 6개월간 수도권지역 ‘세대 소통 인문멘토링’ 진행 35명의 중·장년 인문 멘토, 47개의 멘티그룹과 함께 약 650회차 대면/비대면 멘토링 실시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예술교육센터(센터장 한정섭 교수...

공부와 취업, 한 번에 잡는 ‘슬기로운 대학생활’ 기획시리즈 <21> 이공대학 전자공학과 편 file

코로나 19 확산 여파로 온라인 수업이 장기화 되면서 오랫동안 학교에 나오지 못하고 있는 학생들이 그동안 정상적인 대학생활에서 누리던 전공 관련 학습 노하우나 진로 및 취·창업에 도움이 되는 정보 등을 접할 수 없어 어...

서경대 공공인재학부, 김영대 서경대 석좌교수(前 서울고등검찰청 검사장) 초청 특강 개최 file

11월 25일(목) 오전 9시 ‘검사와 디지털포렌식’ 주제로 온라인으로 진행 예정 서경대학교 공공인재학부(학부장 성봉근)는 제51대 서울고등검찰청 검사장을 비롯해 검사장 5회, 지청장 2회를 역임한 김영대 서경대 석좌교수를 초청...

『수강 신청 5초컷! 우리 대학 인기 교양과목 소개』 <3> ‘현대사회와 패션’, ‘음악의 이해’ file

재작년 초부터 3년째 계속되고 있는 코로나 19 확산 및 장기화로 대부분의 학교수업이 비대면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되면서 학생들은 대면수업 때와 다른 생활방식과 새로운 학점 취득 전략을 세우는 등 대학생활 전반에 큰 변화...

전규열 서경대 경영학부 겸임교수 칼럼:비영리단체 행사 맡아 매출 5억…틈새 뚫은 이 회사 file

[더,오래] 전규열의 나도 한다! 스타트업(4) “비영리단체에서 오랜 시간 행사 기획 파트에서 일하다 대행사가 필요하다는 생각을 절실히 하게 됐습니다. 그것도 친환경적인 방식과 비영리단체의 생리를 이해하는 대행사가요. 그렇...

2020년 10월 교육방송 edu TV 대학 방송 시청 안내 file

‘대교협’ 회원 대학교와 교육방송 edu TV가 공동 제작한 ‘대한민국 교육을 세우다’, ‘한국 지성인에게 듣는다’ , edu TV ‘공감’ 등 3개 프로그램 교육방송 edu TV가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이하 ‘대교협’)의 협력을 받아 ...

[신혜원 서경대 교수 칼럼]"어디서나 잘 어울리고 밝은 아이! 집중력만 좀 더 있었으면..." file

[좌충우돌 아이와 함께 성장하기] 아이의 강점을 키워주는 놀이 아이의 호기심 즉 아이가 하고 싶은 것은 존중해야만 집중력을 키울 수 있다. 아이가 선택한 놀이나 일에 부모가 적극적으로 반응하고 격려하면 아이는 더 신나...

서경대학교 전자공학과 2021년 졸업생 취업률, 전국 대학 동일 학과 중 1위 file

서경대학교 전자공학과(학과장 서기성 교수)의 2021년 졸업생 취업률이 전국 대학 동일 학과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월 17일 대학정보 공시 사이트인 ‘대학알리미’의 2021년 4년제 일반대학 졸업자 취업률 현황에...

미대 편입보다 빠른 학위취득 가능… 서경대 평생교육원 시각디자인학전공 file

미대 편입의 대안으로 서경대학교 평생교육원의 시각디자인학전공 5학기제가 알려지고 있다. 5학기제는 졸업 요건인 140학점을 5학기 안에 이수할 수 있는 제도로, 전공학점과 교양학점 이수를 통해 105학점 취득, 자격증 취득으로...

진세근 서경대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아침광장] 소년 급제를 허(許)하라 file

진세근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사무총장·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중국 역사를 보면 적지 않은 소년 천재가 등장한다. 먼저 당(唐)대 천재 시인 왕발(王勃)을 보자. 그는 6세 때 처음 시를 썼다. 신동이란 ...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