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떨어져 있지만, 더 가까워진 우리.jpg


소회의실을 통해 다른 학번, 다른 전공자들을 만날 수 있어서 좋았어요. 실은 대면 수업할 때 늘 친하게 지내던 친구들끼리만 같이 앉아 얘기를 나누곤 했거든요.”

대부분의 대학교는 일부 실기 수업을 제외하고, 아직 비대면 수업을 하고 있다. 내가 속한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역시 온라인 줌(zoom)으로 수업한다. 이번 주 종강을 앞두고 학생들에게 온라인 수업 후기를 물었더니 소회의실활용이 좋았다고 한다. “학우들과 친해졌다” “잘하는 친구가 많이 도와줬다” “배운 내용을 활용할 수 있었다는 이유였다.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jpg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소회의실이란 줌으로 수업을 진행할 때 같은 시간에 하나의 계정을 통해서 여러 그룹을 만들어 그룹 활동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지난해 1학기 중간부터 일부 도입하다가 학생들의 반응이 좋아 특히 어학 수업에서 많이 활용하고 있다. 보통 3시간 동안의 수업 중 4번에서 5번 정도 서너 명씩 파트너를 바꿔가며 소회의실을 운영하고, 이를 통해 대면 수업 못지않은 효과를 보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발생하자 교육 현장은 혼란스러웠고, 온라인 강의에 대한 부정적인 목소리가 잇따랐다. “온라인 수업의 질이 보장되지 않는다” “무성의한 온라인 강의를 들으면서 학기당 등록금 수백만 원을 내는 것은 부당하다는 것이었다. 아르바이트 자리까지 줄어 생활이 어려워져 휴학한 학생도 많아졌고, 심지어는 자퇴하는 경우도 있었다.

 

학교에 가지 못하는 슬픔은 극복할 수 없어요.” 20학번 어느 여학생이 이렇게 속내를 털어놨다. 20학번 학생들은 입학식을 하지 못한 것은 물론이고 비대면 수업만으로 대학생활의 3학기가 지나가고 있다. 이 학생은 학교에 너무 가고 싶어 혼자 두 번 가본 게 전부라고 한다. 이런 이야길 듣다 보니 너무나 가슴이 아팠다. 코로나193학기째 이어지다 보니 기술적인 부분은 어느 정도 해결됐다. 그러자 대학생들이 안고 있는 문제 중 불안함고독이 눈에 들어왔다. 특히 정상적인 대학생활을 모르는 20학번, 21학번 학생들을 보면서.

 

이번 학기에는 몇 가지 목표를 세웠는데 그중 하나가 소통이다. 만남의 기회가 적은 만큼, 일방적으로 진행하기 쉬운 수업을 쌍방향이 되도록 노력했다. 이들이 유일하게 사람들과 만나는 순간인 수업 시간을 그 소통의 기회로 삼고자 했다. ‘소회의실기능 활용도 그중의 하나였고 소통의 도구라고도 할 수 있는 어학 학습에는 적절하다고 판단했다.

 

중요한 것은 기술적인 면뿐 아니라 온라인의 특성을 살려 효과를 본 부분을 강화하고, 온라인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부분은 차라리 포기하거나 교실 외 활동으로 보충하기로 한 것이다. 강의 중 습득한 지식을 필기시험으로 확인하는 것은 포기했다. 단어시험 등은 얼마든지 부정행위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대신 나는 중간시험을 모두 구두시험으로 진행했다. 한 명에 15분씩 또는 두 명에 30분씩, 그렇게 인원수가 많은 학급은 오전 11시부터 오후 9시까지 하루 종일 시험을 치르기도 했다. 어학뿐 아니라 문화 수업에서도 구두로 시험을 진행했고, 다음 주부터 시작할 기말시험도 마찬가지다.

 

비대면의 한계를 소통으로 극복하려는 노력으로 온라인 화면은 넓은 교실보다 학생들과의 거리를 더 가깝게 했다. 대면 수업 강의실에선 조용히 앉아만 있던 학생들도 15인치 모니터 안에선 얼굴을 나란히 했다. 내 강의에 참여하는 학생 35명이 여러 번의 소회의실 활동을 하며 모두 이야기하고 소통한다. 나는 출석부를 앞에 놓고 학생들에게 발표 기회가 골고루 갈 수 있도록 이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일본어를 좋아하게 되었고, 수업 시간에 말할 기회가 늘어 어학 능력도 성장했다. 목소리를 내는 기회를 통해 온라인 소통 능력이 향상됐다. 이것은 코로나19가 끝난 후에도 활용될 온라인 면접, 온라인 회의, 온라인 행사에 유용할 것이다. 결과가 객관적으로 검증되진 않았지만 나는 학생들의 성장을 보았다. “일본어를 좋아하게 됐다” “즐거운 수업이었다” “전보다 일본어를 잘하게 됐다등 학생들의 소감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지난해 봄부터 교육 현장은 큰 혼란을 겪고 있다. 아직 다 극복하지는 못했지만 우리는 새로운 배움을 얻기도 한다. 공간을 초월하는 온라인 모임은 분명히 코로나19 이후에도 이어질 것이다. 우리는 그렇게 현실에 적응하며 진화해 나간다.

 

<원문출처>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10604/107262831/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4398

[진세근 서경대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 : 漢字, 세상을 말하다] 霧霾<무매> file

비(雨)와 안개(霧)가 없다면 중국 문인들이 시(詩)를 쓸 수 있었을까? 쓸쓸함, 그리움, 실연, 그리고 소생(蘇生)은 비와 안개 아니면 전달할 길이 막막했을 것이다. “좋은 비 시절을 알아/봄이 되니 때맞춰 내린다./어둠 틈타 ...

H2O품앗이운동본부 20주년 기념식…11명 품앗이안상 수상 file

H2O품앗이운동본부는 지난 13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귀빈식당에서 ‘품앗이운동 20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품앗이운동본부 20주년 활동을 돌아보고 향후 계획 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이와 함께 품앗이운동본부...

[반성택 서경대 교수 시론] 지나가는 올해로부터의 새로운 출발 file

반성택 서경대 교수 이제 거리에는 연말 분위기가 묻어난다. 크리스마스를 알리는 백화점의 눈부신 네온사인은 연말 분위기를 더욱 조성한다. 크리스마스는 교회보다는 백화점에서 시작되고 오래 지속된다. 이렇게 어느 해처럼 ...

영리대학 대 비영리대학 file

세계의 고등교육 ⑩ 외국 교육기관의 영리·비영리 최근 제주도에 중국계 자본에 의한 영리병원 설립이 허가됐다. 이에 대해 ‘영리병원이 의료의 공공성을 훼손할 것’이라는 지적과 ‘영리병원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해 의료서비...

“서경대 뮤지컬학과는 작은 교회, 뮤지컬 통해 캠퍼스 복음화 꿈꿔” file

25~30일 극단 ‘스튜디오 134’의 뮤지컬 ‘크리스마스 캐롤’ 뮤지컬 '크리스마스의 캐롤' 연습 현장. 송지수 인턴기자 지난 13일 서울 성북구 서경대 ‘스튜디오1’. 뮤지컬학과 재학생과 졸업생들은 오는 25일부터 30일까지 학...

KIFFA, 제14기 국제물류청년취업 아카데미 입교식 file

한국국제물류협회(KIFFA)는 17일 제14기 국제물류 청년취업아카데미(장기과정) 입교식을 갖고 약 2개월간의 대장정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이번 과정에서는 국제물류 이론 및 실무에 대한 내용 등을 교육할 예정으로, 내년 2월20일까...

서경대학교, 수능 백분위 적용… 탐구영역 2과목 평균 점수로 file

정한경 교무처장 서경대는 2019학년도 정시모집에서 정원 내 568명을 선발한다. 이번 정시모집에서는 이공대 컴퓨터과학과가 지난해와 달리 소프트웨어학과로 명칭을 변경했다. 예술대 공연예술학부는 연출전공으로 6명을, 실용음악학...

[이슈스타] 신예 카밀라, 작지만 당찬 ‘긍정 요정’…“오직 ‘음악’만 꿈꿨어요” file

[스포츠월드=정가영 기자] 혼혈 신예 가수 카밀라가 첫 앨범 ‘잇츠 올라잇(It’s Alright!)’으로 가요계에 도전장을 던졌다. 지난 10월 발매한 카밀라 데뷔앨범 ‘잇츠 올라잇’의 동명 타이틀곡 ‘잇츠 올라잇’은 좌절하고 ...

[전창배의 4차산업혁명 바로보기]② file

블록체인(Blockchain)과 암호화폐의 미래 ◀ 논설위원 전창배 ▶ 4차산업 혁명의 시대를 많은 학자들이 초지능, 초연결, 초융합으로 정의한다. 여기서 초연결(hyper-connected) 기술의 핵심이 바로 블록체인(Blockchain)이다. 블록...

경기마퇴, 금연·약물 오남용 예방 콘텐츠 시상 file

경인식약청과 공동 주관...건강한 사회 환경 조성 일환 경기도마약퇴치운동본부(본부장 김이항)는 지난 16일 경기도약사회관 대강당에서 경인식약청과 공동으로 금연 및 약물 오남용 예방 콘텐츠 공모전 시상식을 개최했다. 올해로 ...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