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진세근 서경대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jpg
진세근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사무총장·서경대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

문재인 대통령의 방미 백신외교는 실패했다고 본다. 장병 55만 명에게 접종할 백신만 약속받았을 뿐, 미국의 해외지원 예정 백신 8000만 회분 가운데 얼마를 받을지 알 수 없다. 백신 위탁 생산에 합의했다지만 생산 수준과 시기 등 어느 것 하나 확인된 게 없다.

애타는 우리와 달리 미국은 느긋하다, 26억 회분을 이미 구입했고, 1억 회분 넘는 백신이 창고에 쌓여 있다. 절대 다수의 국가들이 백신 기근에 허덕이는데 미국 창고는 넘쳐난다.

인권 문제로 미국에 시달려온 중국이 나섰다.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구촌 인구의 4%에 불과한 미국이 전 세계 백신 보유량의 4분의 1을 점유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화 대변인은 두보(杜甫)의 시 한 수를 소개했다.

“솟을대문 안 고기 굽는 냄새, 술 익는 냄새, 가득한데, 길거리에는 얼어 죽은 시체만 널려 있구나.(朱門酒肉臭, 路有凍死骨)”

미국은 수십억 회분의 백신을 쟁여놨지만 대다수 빈곤국 국민들은 백신 맞을 엄두조차 내지 못하는 상황을 빗댄 시구다.

미국은 중국 신장(新彊) 위구르 지역과 티베트(西藏) 자치구 내 인권 탄압과 인명 살상 문제를 집요하게 제기해 왔다. 최근에는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이 내년 베이징(北京) 동계올림픽을 ‘외교적으로 보이콧’하자고 주장했다. 중국의 심각한 생명권 침해에 항의하기 위해 선수단만 파견하고, 각국 지도자와 왕족들은 베이징을 찾지 말자는 제안이다.

이처럼 생명권을 중시하는 미국이 이웃의 백신 부족을 외면한다면 앞뒤가 맞지 않는다. 백신이 없어서 사람들이 죽어 나가는 현실에 눈감는 행위는 생명권 침해가 아니라는 말인가?

양혜왕(梁惠王)이 맹자(孟子)에게 묻는다.

“황하(黃河) 서쪽에 기근이 들면 백성들을 동쪽으로 이주시키고, 동쪽의 양식은 서쪽으로 날라준다오. 이웃 나라 왕들은 이처럼 하는 것을 본 적이 없소이다. 내가 이렇게 마음을 다하는데 어찌 이웃 나라 인구는 줄지를 않고, 우리나라 인구는 늘지를 않는단 말이요?”

맹자가 대답한다.

“왕이 전쟁을 좋아하니 전쟁으로 비유하겠소. 막 전투가 시작됐는데 몇몇 병사들이 도망을 치기 시작했습니다. 어떤 병사는 오십 보를 도망갔고, 어떤 병사는 백 보를 도망갔지요. 오십 보 도망친 병사가 백 보를 도망친 병사를 비웃을 수 있습니까?”

양나라 귀족들은 집의 가축까지도 배불리 먹이는데 백성들은 굶어주는 상황을 지적하며, 양혜왕도 이웃 왕과 별반 차이가 없다는 일갈이다.

중국을 비난하면서도 이웃의 비극에 눈 감는 미국의 모습이 이와 흡사하다. 중국 내 생명권 침해를 묵과하라는 얘기가 아니다. 현지 주민들의 고발과 각종 물증으로 확인되는 참상에는 강력하게 항의해야 마땅하다.

다만, 여기서 멈춰선 곤란하다. 남을 평가한 그 잣대를 자신에게도 들이대야 옳다. 미국이 스스로에게도 동일한 잣대를 적용했다면 ‘8000만 회분 지원 예정’을 막연하게 외치는 대신, 백신이 시급한 나라들의 리스트를 만들어 당장 몇만 회분씩이라도 지원했을 것이다.

중국이 이웃 나라에 백신을 나눠주는 행위를 ‘백신 외교’라며 깎아만 내릴 일이 아니다. 외교적 계산 때문이든 뭐든, 당장 백신이 급한 나라에 백신을 주는 것은 좋은 일이다.

무상 지원이 찜찜한가? 그렇다면 문 대통령이 제의한 ‘백신 스와프’는 어떤가? 우선 백신을 빌려주고, 나중에 백신을 돌려받으면 된다. 이렇게 되면 미 국민들이 반대할 일도 없다. 미국의 현명한 선택을 기대한다.


<원문출처>
경북일보 https://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76877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2089

[모델의 아틀리에 2편] 주정은②, 아프리카 말리에서의 안녕…‘공(空), 비우다’ file

슈퍼모델이자 서경대학교 모델연기전공ㆍ예술교육원 모델학전공 교수인 주정은. 1994년 여고생 신분으로 SBS슈퍼모델대회 1위를 차지하며, 스타로 발돋움한다. 하지만 진정한 자아 와 목표를 고민하는 사이 찾아온 때늦은 사춘기, ...

[조정근 서경대학교 경영학부 조교수 원포인트 레슨] '증여세 폭탄' 피하려 미국 부동산에 눈 돌린다는데… file

전세계 국가 중 대한민국을 제외하고 한국인들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나라는 미국이다. 최근 자산가들이 미국 뉴욕이나 맨해튼 등에 있는 아파트나 상가·빌딩을 구입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목적은 다양하지만, 대부분 ‘상속, 증여...

서경대학교, 코로나 19 확산 및 장기화 속 ‘CREOS LMS’ 시스템 운영, 학생들에게 호평 받아 file

대학교육이 코로나 19의 확산 및 장기화로 비대면 수업이 주를 이루는 등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는 가운데 서경대학교가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운영해 오고 있는 ‘CREOS LMS’ 시스템이 학생들 사이에서 호평을 받고 있다. ...

서경대학교, 국문학과 동문 초청 ‘선배들이 후배들에게 들려주는 사회진출 노하우’ 특강 열어 …‘청야장학금’ 전달식도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국문학과(2013년 문화콘텐츠학부로 편입됨) 동문회(회장 김길연) 주최로 지난 4월 27일(목) 오후 3시 혜인관 시청각실에서 국문학과 졸업생 선배들이 자신의 직업과 경험을 바탕으로 문화콘텐츠학부 후배들의 ...

서경대학교 실용음악학과 밴드 실버스톤, 오는 2월 1일 대학로서 ‘단독 공연’ 펼쳐 file

서경대학교 실용음악학과 학생들로 이루어진 밴드 실버스톤이 오는 2월 1일(토) 혜화역 1번 출구 앞 서경대학교 공연예술센터 스콘뮤직홀에서 단독 공연을 펼칠 예정이다. 밴드 실버스톤은 채널A가 주최한 <보컬플레이: 캠퍼스 뮤...

[종합] 2021년 기본역량진단 결과… 성신여대·인하대·군산대 등 재정지원사업서 탈락 file

일반재정지원사업에 233개교 선정 이의신청 거쳐 8월말 최종 확정 2021년 대학 기본역량진단(2021년 진단) 가결과가 발표됐다. 이번 진단에 참여한 대학 중 52개교가 일반재정지원대학에서 탈락했다. 수도권 지역 성신여대와 인...

서경대, 세계적인 경제학자 윤기향 미국 플로리다애틀랜틱대 교수 초청 특강 개최

5월 22일(월) 오후 1시 교내 문예관 문예홀서 ‘세상과 돈의 흐름을 꿰뚫는 아주 특별한 경제 독법’ 강연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미국 플로리다애틀랜틱대학 경제학과 종신교수이며 ‘올해의 교수상’ 수상자인 윤기향 박사를 ...

2020년 여름방학에 하고 싶은 대학생 대외활동, 어떤 게 있나 file

코로나 19로 인해 원격수업으로 진행되었던 1학기가 끝나고 서경대 학생들도 여름방학을 맞았다. 방학을 맞아 자신의 진로 및 전공과 관련해 새로운 스펙을 쌓거나, 특별한 경험을 해보고자 하는 학우들이 적지 않다. 이러한 학우...

올 겨울 주목해야 할 대학생 대외활동 & 공모전, 어떤 게 있나 file

폭풍의 언덕에 찬 바람이 몰아치고 두꺼운 외투를 걸친 학생들이 종종걸음으로 강의실을 오가는 등 서경대학교 캠퍼스에도 겨울이 찾아왔다. 서경대학교 학생들은 저마다 연말 계획을 세우며 들떠있는 한편 올해 마지막으로 치르게...

20대 70% "유튜버 되고 싶다"…대학에 '유튜브학과'도 등장 file

정화예대 방송영상전공 학생이 학교내 편집실에서 유튜브에 업로드할 영상을 편집하고 있다. “20대 청년들의 고민 상담! 보내주신 사연 읽어보겠습니다.” 지난 4일 오전 서울 정화예술대 남산캠퍼스 편집실. 방송영상학과 양은...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