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진세근 서경대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jpg
진세근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사무총장·서경대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

문재인 대통령의 방미 백신외교는 실패했다고 본다. 장병 55만 명에게 접종할 백신만 약속받았을 뿐, 미국의 해외지원 예정 백신 8000만 회분 가운데 얼마를 받을지 알 수 없다. 백신 위탁 생산에 합의했다지만 생산 수준과 시기 등 어느 것 하나 확인된 게 없다.

애타는 우리와 달리 미국은 느긋하다, 26억 회분을 이미 구입했고, 1억 회분 넘는 백신이 창고에 쌓여 있다. 절대 다수의 국가들이 백신 기근에 허덕이는데 미국 창고는 넘쳐난다.

인권 문제로 미국에 시달려온 중국이 나섰다.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구촌 인구의 4%에 불과한 미국이 전 세계 백신 보유량의 4분의 1을 점유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화 대변인은 두보(杜甫)의 시 한 수를 소개했다.

“솟을대문 안 고기 굽는 냄새, 술 익는 냄새, 가득한데, 길거리에는 얼어 죽은 시체만 널려 있구나.(朱門酒肉臭, 路有凍死骨)”

미국은 수십억 회분의 백신을 쟁여놨지만 대다수 빈곤국 국민들은 백신 맞을 엄두조차 내지 못하는 상황을 빗댄 시구다.

미국은 중국 신장(新彊) 위구르 지역과 티베트(西藏) 자치구 내 인권 탄압과 인명 살상 문제를 집요하게 제기해 왔다. 최근에는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이 내년 베이징(北京) 동계올림픽을 ‘외교적으로 보이콧’하자고 주장했다. 중국의 심각한 생명권 침해에 항의하기 위해 선수단만 파견하고, 각국 지도자와 왕족들은 베이징을 찾지 말자는 제안이다.

이처럼 생명권을 중시하는 미국이 이웃의 백신 부족을 외면한다면 앞뒤가 맞지 않는다. 백신이 없어서 사람들이 죽어 나가는 현실에 눈감는 행위는 생명권 침해가 아니라는 말인가?

양혜왕(梁惠王)이 맹자(孟子)에게 묻는다.

“황하(黃河) 서쪽에 기근이 들면 백성들을 동쪽으로 이주시키고, 동쪽의 양식은 서쪽으로 날라준다오. 이웃 나라 왕들은 이처럼 하는 것을 본 적이 없소이다. 내가 이렇게 마음을 다하는데 어찌 이웃 나라 인구는 줄지를 않고, 우리나라 인구는 늘지를 않는단 말이요?”

맹자가 대답한다.

“왕이 전쟁을 좋아하니 전쟁으로 비유하겠소. 막 전투가 시작됐는데 몇몇 병사들이 도망을 치기 시작했습니다. 어떤 병사는 오십 보를 도망갔고, 어떤 병사는 백 보를 도망갔지요. 오십 보 도망친 병사가 백 보를 도망친 병사를 비웃을 수 있습니까?”

양나라 귀족들은 집의 가축까지도 배불리 먹이는데 백성들은 굶어주는 상황을 지적하며, 양혜왕도 이웃 왕과 별반 차이가 없다는 일갈이다.

중국을 비난하면서도 이웃의 비극에 눈 감는 미국의 모습이 이와 흡사하다. 중국 내 생명권 침해를 묵과하라는 얘기가 아니다. 현지 주민들의 고발과 각종 물증으로 확인되는 참상에는 강력하게 항의해야 마땅하다.

다만, 여기서 멈춰선 곤란하다. 남을 평가한 그 잣대를 자신에게도 들이대야 옳다. 미국이 스스로에게도 동일한 잣대를 적용했다면 ‘8000만 회분 지원 예정’을 막연하게 외치는 대신, 백신이 시급한 나라들의 리스트를 만들어 당장 몇만 회분씩이라도 지원했을 것이다.

중국이 이웃 나라에 백신을 나눠주는 행위를 ‘백신 외교’라며 깎아만 내릴 일이 아니다. 외교적 계산 때문이든 뭐든, 당장 백신이 급한 나라에 백신을 주는 것은 좋은 일이다.

무상 지원이 찜찜한가? 그렇다면 문 대통령이 제의한 ‘백신 스와프’는 어떤가? 우선 백신을 빌려주고, 나중에 백신을 돌려받으면 된다. 이렇게 되면 미 국민들이 반대할 일도 없다. 미국의 현명한 선택을 기대한다.


<원문출처>
경북일보 https://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76877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4495

서경대학교, 제7회 전국 고등학생 디자인 실기대회 시상식 개최 file

2018년 7월 13일(금) 오후 2시, 서경대 혜인관서 한효원(기초디자인) 대상 수상…시상식 후 7일간 입상 전시회 열어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7월 13일(금) 오후 2시 교내 혜인관에서 ‘서경대학교 제7회 전국 고등학생 디자인...

학과 안내 <17> 예술대학 공연예술학부/ 모델연기전공 file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공연예술학부는 문화예술의 발전을 위해 연기와 무용을 중심으로 한 공연예술에 대한 이론과 실무능력을 배양하고 예술사의 현대적인 재창조와 현대예술의 미래지향적인 탐구를 통해 각 개인의 과학적이고 지적인...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부, ‘2019 서경 색소폰 앙상블 정기 연주회’ 개최 file

4월 11일(목) 오후 7시 30분 성남아트센터 앙상블시어터서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가 주최하고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부와 (사)서경뮤직소아이어티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2019 서경 색소폰 앙상블 정기 연주회’가 2019년 4월 ...

우리도 한다! 서경인의 유튜브 #2. 문화콘텐츠학과편 file

전 세계 유튜브 이용자 19억 명, 채널 수 2400만 개의 시대. 서경인들도 캠퍼스 안팎에서 다양한 유튜브를 접해 봤을 것이다. 실제로 개개인이 자유롭게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하여 전 세계 모든 사람에게 노출시킬 수 있다는...

[김구선의 골프사이언스] 디봇의 방향은 왼쪽인데, 공은 오른쪽으로 날아가네? file

▲사진은 2019년 PGA 투어 아놀드 파머 인비테이셔널 골프대회 3라운드 3번 홀에서 세컨드 샷을 한 마쓰야마 히데키가 디봇을 살펴보는 모습이다. 스윙디렉션(Swing Direction)은 <그림 1>과 같이 골프 클럽이 임팩트 이전의...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2019 동계 워크숍 첫 번째 공연 ‘김동률 단편선’ 성황리에 막 내려 file

3월 7일(목)부터 3월 9일(토)까지 3일간 북악관 스튜디오 810서 <상상>, <백색>, <경험>, <파리>, <눈사람> 등 5개 에피소드로 감동의 무대 선사…김동률(공연예술학부 연기전공 16학번) 군은 극본과 연출에 출연까지 감행 서경대학교...

"취향 존중해주세요" 10대 남학생들이 메이크업하는 이유 file

남성 아이돌ㆍ유튜버 보며 '화장한 남자'에 거부감 줄어 한 반에 2,3명 화장하고 다녀 “예전에는 친구들한테 ‘못 생겼다’는 말을 듣기도 했는데, 지금은 화장하고 나가면 귀엽다는 얘기를 많이 들어요. 나중에 메이크업 아티...

대구가톨릭대, 원주시·연세대·서경대와 환경보건사업 협약 체결 file

환경보건 관련 기술 확보·개발, 교육, 홍보 등 협력 대구가톨릭대 전경. 대구가톨릭대학교(총장 우동기)는 1월 29일 원주시, 원주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세대 원주연세의료원, 서경대 산학협력단과 환경보건기술개발사업 지원과...

‘3CE’가 우리 학교에 온다!-봄을 맞이하여 서경대학교를 찾아온 뷰티 트럭 file

4월 24일(화) 오전 11시부터 오후 5시까지 교내 북악관 앞에서 프로모션 진행 3CE 뷰티 트럭, 개강 시즌에 맞춰 학교 방문, 다양한 이벤트 펼쳐 서경대학교 학생들이 뷰티 트럭 앞에서 줄을 서서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3C...

인문대여! 고개를 들어라, 인문대의 반란 <3> 문화콘텐츠학과편- JYP 엔터테인먼트 사원 김영아 file

인문학의 사전적 정의는 ‘언어, 문학, 역사, 철학 등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그러나 인문학을 전공하는 사람이라면 “인문대는 취직이 안 된다.”, “인문학을 전공해서 어디에 쓸 수 있냐?”라는 말을 한 번쯤은 들었을 것이다...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