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진세근 서경대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jpg
진세근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사무총장·서경대학교 겸임교수

문재인 대통령처럼 인복(人福)이 박했던 분도 없다는 생각이 든다. ‘도보다리 회담’으로 출발은 화려했다. 고난은 곧바로 찾아왔다. 깊이 신임했던 조국 전 법무장관이 발목을 잡았다. 수렁에서 건져 중용했던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재임 기간 내내 괴롭혔다. 그 바람에 대통령의 개혁 프로그램이 엉키고 말았다.

그뿐 아니다. 정권 평가의 의미를 갖는 서울시장, 부산시장 보궐 선거를 코앞에 둔 시점에 김상조 정책실장과 박주민 의원의 ‘일탈’이 불거지면서 패착 국면에 확인도장을 찍은 꼴이 됐다.

정책도 그렇다. 검찰 개혁은 검찰 권력을 국민에게 돌려주자는 선한 의도로 시작됐다고 믿는다. 허나 검찰 힘 빼기와 길들이기라는 결과만 낳았다고 본다. ‘코로나 방역 모범국’이라는 평가에 힘입어 총선에서 압승했지만 소득주도성장, 부동산 정책에서 파열음이 나면서 정권 신뢰도는 바닥으로 주저앉았다. 정책 실패는 분명 문 대통령 자신의 실패지만 들여다보면 역시 용인(用人)의 실패였다. ‘사람이 먼저’라고 외쳤던 문 대통령에게는 ‘사람이 문제’였던 셈이다.

『전국책(戰國策) 위책(魏策) 4권』에 나오는 얘기다. 위왕(魏王)은 조(趙)를 치고 싶어 했다. 신하 계량(季梁)이 간한다.

“북쪽으로 가는 마차를 탄 노인을 만났습니다. 초(楚)로 간다고 하더군요. ‘초로 간다며 왜 북으로 가시오?’ 했더니 ‘내 말은 빠르다오.’ 하더군요. ‘말이 빨라도 그렇지, 이 길은 초로 가는 길이 아니오’했더니 ‘길양식이 충분하니까요’ 하더군요. ‘그래도 아니라니까’ 했더니 ‘마부가 마치를 빨리 몹니다’라고 하더군요. 방향이 틀리면 빨리 달릴수록 목적지에서 더 멀어지는데도 말입니다. 지금 대왕 모습이 꼭 이 노인과 같습니다. 대왕은 늘 천하 제패를 꿈꿉니다. 천하를 얻으려면 먼저 천하인의 신임을 얻어야 합니다. 지금 대왕은 나라가 부강하고 군대가 용맹하다는 것만 믿고 이웃 나라를 공격해 땅만 넓히려고 합니다. 이럴수록 천하통일의 목표는 점점 더 멀어지니, 초로 간다면서 북으로만 달리는 것과 무엇이 다릅니까?”

‘남원북철(南轅北轍)’이란 말이 여기서 나왔다. 수레 끌채는 남쪽을 향하는데 바퀴는 북쪽으로 간다는 얘기다. 문 대통령의 형편을 이처럼 적확하게 표현하는 말이 있을까. 문 대통령은 노무현 전 대통령이 못다 이룬 꿈을 완성하는 꿈을 꾸었을 것이다. 그러나 결과는 그 반대가 되고 말았다. 젊은이들이 등을 돌리는 지금의 상황을 달리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최근 야당 의원들이 김어준의 고가 출연료 문제를 제기했다. 출연료 같은 지엽말단 아닌, ‘공영방송인 교통방송이 특정 진영 논리만 일방적으로 대변하는 프로그램을 내보내는 게 문제’라는 점을 지적했어야 마땅했다.

여당 의원들은 더 한심했다. “김어준이 천재성을 갖췄기 때문에 그 정도의 출연료는 당연하다”며 청취율 1위를 그의 천재성을 입증하는 자료로 제시했다. 그리곤 “김어준은 라디오 방송계의 MVP 투수다. 출연료가 안 높으면 그게 더 이상한 것”이라는 사족까지 달았다. 문 대통령의 인복(人福)이 이 정도다.

미디어를 정치적 도구로 사용하는 것은 역사적 퇴보이고, 노무현 정신의 훼손이다. 이게 ‘김어준 뉴스 공장’이 지닌 문제의 본질 아닌가?

이런 형편에서는 남은 1년의 정권 관리가 쉽지 않다. 국민적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법은 있다. 뭔가를 보여주려고 애쓰지 않는 거다. 무리수를 두지 않아야 큰 피해를 피할 수 있다. 마음에서 힘을 빼시길 문 대통령께 권한다.

<원문출처>
경북일보 https://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76179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2104

갓 스물 디자이너와 모델의 생애 첫만남…서경대, ‘허브10’ 그 설레임 file

지난 10일 오후 6시 서울 정릉동에 위치한 서경대학교의 워킹실에서는 공연예술학부(학부장 강신) 새내기 예비 디자이너와 모델들의 첫 만남이 이뤄졌다. 무대패션전공 1학년생들이 파트너인 모델연기전공 1학년들을 대상으로 미완성 ...

서경대, 코로나 19 장기화 속 2학기에도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file

코로나 19로 위축된 학습활동 및 대학생활 보완하고 교과과정 외 교육력 향상과 전공 및 실무 역량 강화 위해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코로나 19의 재확산 및 장기화로 1학기에 이어 2학기에도 비대면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김재환 레포츠경영학과 주임교수 칼럼:김재환의 톱프로 롤 모델 레슨-마쓰야마 히데키 file

기본으로 돌아가면 우승이 보인다  아시아인 최초로 PGA투어 마스터스를 제패한 일본의 마쓰야마 히데키  정확한 볼의 위치와 스탠스는 어떻게 잡는가. 아시아인 최초로 PGA 투어 메이저대회인 마스터스의 우승컵을 거머쥔...

서경대 등 서울소재 대학에서 2학기에 운영되는 ‘공유대학 플랫폼’…남은 과제 산적 file

강좌 약 10% 공유 1차 목표…30%까지 확대 논의 교육부, “성공하려면 이용 학생 확보가 관건…정부 지원할 것” 실무진, “실효성에 의문…시범운영 통해 문제점 보완해 나가야” [한국대학신문 이하은 기자] 오는 2학기부터 서...

서경대학교, 창업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을 통한 학생 창업 전폭 지원 file

학생 창업기업 사업자 등록 및 상표 출원 등 성과로 이어져 Co-Working Space, Prototyping Lab 등도 창업 지원에 한몫 서경대학교 창업 인큐베이팅 랩 공간은 창업 관련 협업 활동과 회의, 실질적 창업 활동을 할 수 ...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센터, 지역 아동·청소년의 창의성 발현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 기울여 file

서경대학교와 성북구청이 손잡고 제6회 ‘뮤지컬 드림캠프’ 개최 뮤지컬 드림캠프 결과발표의 장 ‘뮤지컬 드림캠프 장면발표회’ 열어 서경대학교의 예술적 인프라를 활용한 지역 문화예술교육 활성화에 앞장 서경대학교(총장 최영...

서경대학교 어쿠스틱 밴드 동아리 ‘그라미’, 5월 25일(토) 오후 6시 30분 신촌 인디톡서 제66회 정기공연 file

10cm, 태연, 백예린 등의 히트곡 선보일 예정 ▲그라미 정기 공연 포스터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의 중앙동아리인 ‘그라미’가 오는 5월 25일 신촌 인디톡에서 제66회 정기공연을 개최한다. 어쿠스틱 밴드 동아리인 ‘그라미...

[구자억 서경대 대학원장 칼럼] 中 기술굴기 엔진은 대학 file

세계의 고등교육 - 중국 대학사이언스파크 구자억 서경대 대학원장 중국을 어떻게 보아야할까? 미래기술을 선도하는 국가로 나가고 있다고 보아야 할까, 아니면 미국같은 선진기술국가의 뒤를 쫓거나 모방하는 국가로 보아야 할...

성북구 관학협력 멘토링 사업 멘토 소양교육 개최 file

대학교의 우수한 인적자원과 학생들을 연결하여 맞춤식 교육서비스 제공 3월8일, 성북구 평생학습관에서 개최된 ‘성북구 멘토링사업 멘토 소양교육’에 이승로 성북구청장이 참여자들에게 당부의 말을 전하고 있다. 성북구(구청장 ...

[시론] 한국대학의 미래와 구조조정 file

구자억 서경대 대학원장 / 서경혁신원 원장 한국대학의 미래가 불투명하다. 1차적 원인은 학생 수 감소다. 교육부가 2021년까지 38개 사립대가 폐교할 것으로 발표할 정도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앞으로 100개 이상의 대학이 사라...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