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진세근 서경대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jpg

진세근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사무총장·서경대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

기독교가 가장 무겁게 여기는 죄는 우상 숭배다. 여호와 이외의 신을 숭배하는 행위다. 여호와를 잘못 정의해 믿는 행위 역시 우상 숭배로 간주된다. 여호와를 여호와 아닌 다른 신으로 바꾸어 믿었기 때문이다. 하나님은 스스로를 ‘질투하는 신’으로 정의한다. 우상 숭배에는 가차 없는 징벌이 기다린다.

교만 역시 우상 숭배에 버금가는 큰 죄다. 교만은 한마디로 ‘하나님 없이 살 수 있다’는 생각의 표현이기 때문이다. 성서에서 교만한 자란 ‘하나님 보다 자기 자신 혹은 자신이 택한 수단을 더 신뢰하는 자’를 말한다. 이스라엘 백성 상당수가 늘 그랬다. 여호와가 이스라엘 백성을 ‘목이 곧은 민족’이라고 꾸짖은 이유다. 잠언도 “교만은 패망의 선봉이요 거만한 마음은 넘어짐의 앞잡이”라고 경고한다.

교만한 자는 말이 많다. 자신을 드러내야 하기 때문이다. 침묵하는 자는 대개 지혜롭다. 침묵이 자신을 보호하는 효과적인 수단임을 아는 자다. 침묵하는 자들은 안다. 발화(發火)하는 순간, 그 발화로 인해 이익을 잃은 자, 자존심을 다친 자, 시샘하는 자들이 일제히 박해하려 달려든다는 사실을.

현인들은 그래서 뜻을 알아줄 사람을 기다리며 자신의 관점을 텍스트 어딘가에 침묵의 형태로, 혹은 모호한 표현으로 숨겨놓는다. 공자 역시 그랬다.

『선생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말을 하지 않으려 한다.” 자공이 물었다. “말씀을 안 하시면 저희들은 무엇을 배워 말한단 말인가요?” 선생께서 말씀하셨다. “하늘이 무엇을 말하더냐. 사계절이 운행하고 만물이 생장한다. 하늘이 무엇을 말하더냐.(天何言哉 四時行焉 百物生焉 天何言哉.”<논어(論語) 양화(陽貨)편>』

중국 주(周)나라 선왕(宣王)은 투계(鬪鷄)를 좋아했다. 기성자(記?子)란 투계 훈련사를 불러 싸움닭 한 마리를 주며 최고의 투계로 만들라고 명했다. 열흘이 지난 뒤 선왕이 물었다.

“충분히 훈련시켰는가?”

“아직 멀었습니다. 허황되고 교만하여 자신이 최고인 줄 압니다.”

다시 열흘 뒤 선왕이 또 물었다. 기성자가 대답한다.

“교만함은 버렸으나 상대방 소리만 들어도 짖고, 그림자만 봐도 뛰어오릅니다.”

또 열흘 뒤 선왕이 다시 묻자 기성자는 대답한다.

“아직 멀었습니다. 여전히 상대방을 보자마자 달려듭니다.”

마지막 열흘이 지난 뒤 선왕이 묻자 기성자는 대답한다.

“대략 된 듯합니다. 상대방이 소리 질러도 반응하지 않고, 평정을 유지합니다. 마치 나무로 만든 닭(木鷄)처럼 됐습니다.”

장자(壯者) 달생편(達生篇)에 나오는 이야기다. 이 고사에서 ‘목계지덕(木鷄之德)’이란 말이 나왔다. 침묵할 줄 알고, 매서운 눈초리를 보여 주지 않아도 상대방이 쉽게 접근할 수 없는 카리스마를 지닌 경지다.

목계가 주는 메시지는 3가지다. 첫째, 교만한 자는 하수다. 둘째, 상대의 도발에 쉽게 화를 내면 하수다. 셋째, 싸우고 경쟁하려는 모습을 과다하게 드러내면 하수다.

최근 보궐 선거에서 야당이 완승, 압승했다. 그렇다고 교만하면 하수 된다. 잘 나고 예뻐서 시민들이 표를 준 게 아니다. 상대방을 혼내주려고 밀어줬을 뿐이다. 이 점을 명확하게 알고 침묵으로 깊이를 더하고 겸허로 섬기면 반사적 지지를 내재적 지지로 바꿀 수 있다.

여당도 마찬가지다. 반성하는 척만 하고, 다시 교만해지면 내년에는 기둥이 뿌리까지 뽑힐지도 모른다. 국민들은 매눈임을 잊지 말자. 교만하면 하수 된다.

<원문출처>
경북일보 https://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74348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1685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사업단, 2021 창업입주팀 대상 ‘실전창업교육’ 성료 file

사업의 자생력 확보를 위한 역량 강화 및 사업화 노하우 등 전수 투자유치 및 파트너 발굴기회 제공 등 지속적인 후속 지원 계획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캠퍼스타운 사업단(단장 김범준)은 서울시 캠퍼스타운 사업의 일...

서경대 2022학년도 수시모집 최종 경쟁률 16.29대 1 file

1,094명 모집에 1만 7,822명 지원···최고 경쟁률은 실용음악학과 보컬전공 351.60대 1 서경대학교는 14일 2022학년도 대입 수시모집 원서접수 마감 결과, 1,094명 모집에 17,822명이 지원해 평균 경쟁률 16.29대 1을 기록했다...

서경대학교, ‘디지털 트윈 기반 실감공연 제작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최 file

비교과 워크숍 형식의 3개 과정 진행, 코로나 펜데믹 시대 공연예술 전문인력 역량 강화 지원 2021 문화콘텐츠 R&D 전문인력양성 역량강화 프로그램 포스터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콘텐...

서경대학교 뮤지컬학과, ‘제9회 현대자동차그룹 대학 연극·뮤지컬 페스티벌’ 뮤지컬부문 ‘대상’과 ‘연기상’ 수상 file

서경대학교 뮤지컬학과(학과장 황태율)가 국내 차세대 공연예술인들의 축제인 '제9회 현대자동차그룹 대학 연극·뮤지컬 페스티벌'에서 뮤지컬부문 ‘대상’과 ‘연기상’(18학번 조하영)을 수상했다. 금번 '제9회 현대자동차그룹 대학...

서경대학교, 「2021년 인생나눔교실」 수도권지역 ‘삼삼오오 인생나눔활동’ 본격 시작 file

9월 중순부터 11월까지 약 3개월간 중장년 주도 인문활동 통해 세대 간 소통과 교류의 가치 지역 내 확산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문화예술센터(前 예술교육센터, 센터장 한정섭 교수)가 주관하는 ⌜2021년 인생나눔교실⌟의...

서경대학교 현장실습지원센터가 운영 중인 ‘국가근로장학 취업연계 중점대학’ 프로그램에 참여해 ‘실무경험 쌓고 취업도 앞당기자!’···‘국가근로장학 취업연계 중점대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 릴레이 인터뷰 <1> ‘미용예술 분야’ file

코로나 19 펜데믹이 2년째 지속되면서 구직활동과 같은 여러 사회활동이 크게 위축되었고 침체된 경제마저 회복세가 더디기만 하다. 기업들도 공개채용을 줄이거나 아예 폐지하고 상시채용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이 마저도 경력자만...

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김수현 학우(19학번), 과학기술통신부 주최 [2021 LMO 안전관리 콘텐츠·아이디어 공모전]서 ‘우수상’ 수상 file

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김수현 학우(19학번)가 2021년 4월 5일부터 6월 30일까지 약 3개월간 진행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최 [2021 LMO 안전관리 콘텐츠·아이디어 공모전]에 ‘희망을 낳을 것인가, 재앙을 낳을 것인가’ ...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동네 문화공간에서 만난 최만린과 이육사[이즈미의 한국 블로그] file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강의가 없는 금요일, 나는 가을바람에 이끌려 집을 나서 동네 작은 문화공간을 찾아간다. 비라도 내린다면 콸콸 쏟아지는 정릉천변을 따라 오르기도 하고, 물길...

서경대학교 현장실습지원센터가 운영 중인 ‘국가근로장학 취업연계 중점대학’ 프로그램에 참여해 ‘실무경험 쌓고 취업도 앞당기자!’···‘국가근로장학 취업연계 중점대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 릴레이 인터뷰 <2> '디자인 분야' file

코로나 19 펜데믹이 2년째 지속되면서 구직활동과 같은 여러 사회활동이 크게 위축되었고 침체된 경제마저 회복세가 더디기만 하다. 기업들도 공개채용을 줄이거나 아예 폐지하고 상시채용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이 마저도 경력자만...

전규열 서경대 경영학부 겸임교수 칼럼:유럽의 실리콘밸리? ‘창업천국’ 프랑스 file

청년창업비율 57%, 국민 2명 중 1명이 창업에 관심을 가진 나라. 정권이 바뀌어도 스타트업 정책이 바뀌지 않는, 창업자 81%가 석·박사 학위 소유자로 실리콘밸리에 버금가는 우수한 연구인력을 가진 나라. 연구·개발 활동 세계...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