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글로벌 혁신지수 8년 연속 세계 1위, 글로벌 기업가정신 지수 세계 2위, 매출액 또는 종업원 수 3년 연속 평균 20% 이상 고성장하는 ‘가젤형 기업’이 많고, 창업 기업의 82%가 1인 기업인 나라. 진출기업에 대한 차별이 없고, 낮은 법인세(14%) 정책지원으로 친기업적인 환경을 조성한 유럽의 기술 강국. 4차 산업혁명의 선두주자로 떠오른 알프스의 나라 스위스 이야기다.


스위스 추크시.jpg

스위스 추크시


블록체인의 메카 크립토밸리

스위스 스타트업은 지난 2015년 유로화 대비 환율 하한제를 폐지하면서 스위스프랑화 가치가 30% 이상 급등하는 등 급격한 경제 침체를 겪으면서 시작됐다. 스타트업 활성화는 디지털 허브화를 위해 기업 및 대학과 비정부기구(NGO), 지방정부 등 150여 회원사가 모여 만든 ‘디지털스위스’의 영향이 컸다.

정부 주도가 아닌 지형적 특성을 활용해 자연스럽게 성장한 22개의 클러스터도 도움이 됐다. 대표적인 것이 가상화폐인 블록체인 성지로 떠오른 ‘크립토밸리(Crypto Valley·암호화폐 도시)’다. 암호화폐를 뜻하는 ‘cryptocurrency’와 마을을 의미하는 ‘valley’의 합성어다. 미국의 실리콘밸리가 스타트업 성지라면 스위스 크립토밸리는 블록체인 메카다. 스위스가 처음부터 블록체인 클러스터를 표방한 것은 아니었다. 스위스는 가상화폐인 이더리움 등이 추크시에 들어올 때 신속한 행정지원으로 그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암호화폐 장려정책으로 전 세계 개발자들이 모여들면서 그로부터 4년 후 추크시는 세계적인 블록체인 메카로 성장하게 된 것이다. 시골이었던 이곳은 이제 글로벌 블록체인 회사 300여개가 들어서면서 세계적인 블록체인의 중심지로 탈바꿈했다. 기업 친화적인 지방정부가 우수한 산업 여건으로 전 세계의 블록체인 기업들을 이곳으로 끌어들이면서 인구 3만의 작은 도시에 수많은 일자리가 창출되고 있다. 특히 스위스가 금융 분야 감시가 매우 높은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일관된 혁신 및 블록체인 산업 조성을 위한 정책이 많은 블록체인 관련 기업들을 스위스로 몰려들게 했다.


플라이어빌리티가 자사 드론을 소개하는 사진 ].jpg

플라이어빌리티가 자사 드론을 소개하는 사진


마인드메이즈의 재활 치료용 AR·VR 솔루션 소개.jpg

마인드메이즈의 재활 치료용 AR·VR 솔루션 소개 사진

 

세계 최고수준의 공과대학


스위스의 대표적 스타트업인 ‘마인드메이즈’ ‘아바’ ‘베스트마일’ ‘가마야’ ‘플라이어빌리티’ ‘비키퍼’ ‘어드배넌’의 로고..jpg

스위스의 대표적 스타트업인 ‘마인드메이즈’ ‘아바’ ‘베스트마일’ ‘가마야’ ‘플라이어빌리티’ ‘비키퍼’ ‘어드배넌’의 로고.


글로벌 투자은행 크레디트 스위스 보고서에 따르면, 연간 약 4만개의 창업 기업 중 82%가 1인 기업이다. 또한 이들 기업 중에 약 400개는 매출액이나 종업원(10명 이상) 수가 3년 연속 평균 20% 이상 고성장하는 ‘가젤형 기업’이다. 스위스의 스타트업 생태계가 그만큼 우수하다는 것을 알려주는 통계다. 이 같은 영향으로 ‘Swiss VC Report 2019’ 자료를 보면 스위스 스타트업 대상 투자는 2018년 기준 대비 31.8% 증가한 약 123600만스위스프랑(약 1조4000억원)이 이루어졌다. 그중에서 정보통신기술(ICT) 및 핀테크 분야가 전체 자금 규모의 55%를 차지했다. 특히 2018년 기준 ICT 투자 비중은 201519%, 201630%, 201732%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산업 규모도 전체 국내총생산(GDP)의 4.5%, 종사자도 20만명이 넘는 주요 산업으로 성장했다.

취리히공대(9위), 로잔공대(18위) 등 세계 최고수준의 공과대학과 글로벌 ICT 기업이 다양하게 포진하고 있어 인재풀이 풍부한 것도 스위스 스타트업 성장의 기반이 됐다.


스위스의 혁신성·확장성·글로벌화도 창업에 유리했다. 혁신성 덕분에 웨어러블, AR(증강현실)·VR(가상현실), 자율주행 등 최신 및 미래 트렌드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었다. 확장성은 고기능성 제품의 제조에 그치지 않고 하나의 서비스 또는 종합 솔루션 제공업체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며 기반을 넓히게 했다. 글로벌화는 사업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해외로 나가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잡게 했다. 스위스 최초의 유니콘 기업 마인드메이즈(Mindmaze)는 글로벌화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다. 중풍 등 뇌질환 환자의 재활치료용 AR·VR 솔루션을 만드는 마인드메이즈는 2011년 스위스에서 창업했다. 2014년 기업의 장기 전략 차원에서 AR·VR 시장이 발달한 미국의 실리콘밸리로 제품 개발 장소를 옮겼다.

이 같은 노력 덕분에 스위스는 기업가정신의 질과 그 생태계를 평가하는 글로벌 기업가정신 지수에서 2018년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에 올랐다. 또한 80개의 평가기준을 토대로 국가경제의 창의성 및 혁신성을 측정하는 지표로서, 유엔 산하기구인 세계지식재산권기구에서 매년 발표하는 글로벌 혁신지수(GII)에서 8년 연속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스위스의 대표적인 스타트업으로는 중소기업의 소액파이낸싱을 위한 핀테크 플랫폼 어드배넌(Advanon), 웨어러블을 통해 여성이 임신이 가능한 배란기를 알려주는 AVA, 실내비행이 가능한 산업 및 보안용 드론 플라이어빌리티(Flyability)가 있다. 또 PC 사용이 어려운 현장 근로자용 메신저 앱 비키퍼(Beekeeper), 소규모 사업체를 위한 비즈니스 소프트웨어 벡시오(bexio), 고해상도 카메라를 장착한 드론으로 농작물을 촬영하고 전용 소프트웨어로 농작물 상태를 분석하는 솔루션 가마야(Gamaya)도 스위스 스타트업이다. 무인 미니버스 운영 시스템인 베스트마일(Bestmile)도 많이 알려진 스타트업이다.

전규열 서경대 경영학부 교수, 취·창업센터부센터장


<원문 출처 >

주간경향 신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3/0000042363?sid=104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1200

서경대 2022학년도 수시모집 최종 경쟁률 16.29대 1 file

1,094명 모집에 1만 7,822명 지원···최고 경쟁률은 실용음악학과 보컬전공 351.60대 1 서경대학교는 14일 2022학년도 대입 수시모집 원서접수 마감 결과, 1,094명 모집에 17,822명이 지원해 평균 경쟁률 16.29대 1을 기록했다...

홍석천 "이젠 포차거리" 씁쓸한 글···이태원 '단밤' 찾아 가보니 file

'이태원 클라쓰'는 이태원 곳곳을 무대로 한다. 포차 '단밤'은 녹사평역 앞 언덕의 가게를 빌려 촬영했다. ‘이태원 클라쓰’ 오수아(권나라)의 대사를 빌리자면 이태원은 대략 이런 세계다. “해외여행 온 듯 착각하게 하는 예...

무명에서 무티의 프리마돈나로…"타고난 사람 아니예요" file

서울무대 데뷔 소프라노 여지원, 무티와 함께 '베르디 콘서트' 선보여 리카르도 무티와 한 무대 서는 여지원 (서울=연합뉴스) 이재희 기자 = 소프라노 여지원이 3일 오전 서울 종로구의 한 식당에서 열린 &apos;무티 베르디...

2020 외국인유학생을 위한 정부 지원정책 모음 file

정부초청장학생(GKS) 확대...유학생 다변화 추구  세계 각국은 유학생 유치를 위해 학습능력 위주의 평가방식을 수정해 다양한 선발기준을 도입하고 있다. 한국유학도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접근하는 국가적...

KBS 《안녕하세요》 359회 청춘특집 ‘서경대학교’ 편 4월 2일(월) 방송 file

서경대학교, 대한민국 ‘청춘’을 대표하다. - 서경대 학생 200명 방청석 메운 가운데 김해송 군(모델연기 전공), 소유진 양(문화콘텐츠학부), 서휘정 군(뮤지컬학과) 고민사연 주인공으로 출연, ‘공감’과 ‘감동’ 자아내 4월 2일...

‘2017 서경대 예술대학 해오름제’ 성황리에 마쳐 file

5월 2일(화) 저녁 7시 서경대 문예관 문예홀서 예술대학-미용예술대학 학생들 출연, 다채로운 공연 선보여 ▲ 디자인학부 학생들이 직접 제작한 해오름제 포스터  5월 2일(화) 저녁 7시 서경대 문예관 문예홀에서 ‘2017 서경...

언택트(Untact) 시대, 대학교육의 변화 file

지난 1월 말, 중국에서 시작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 19) 감염이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사회는 비대면, 비접촉의 언택트(Untact) 시대라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관중이 없는 스포츠 경기가 치러...

[2020정시특집] 서경대 가나다군 455명 모집.. 다군 비실기학과 수능100% file

정원내 일반전형으로만 선발.. 수험생 기회 확대  서울성북에 자리한 서경대는 올해 개교 72주년을 맞으며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살아갈 인재를 양성하는 데 한창이다. 특히 올해부터 3년간 100억원을 지원받는 대학혁신지원사...

고척 스카이돔서 ‘서경대 데이’ 이벤트 성황리에 열려 file

넥센 후원해 온 서경대, 6월 23일(금) 넥센 - 엘지 전 택해 개교 70주년 기념 다양한 행사 가져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지난 6월 23일(금) 오후 6시 30분 서울 고척 스카이돔에서 펼쳐진 넥센 히어로즈와 엘지 트윈스의 ...

학과 안내 <25> 미용예술대학 헤어·메이크업디자인학과 file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 헤어·메이크업디자인학과는 미용과학과 인체기술을 기초로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창조하기 위해 헤어, 피부관리, 메이크업 전반의 기술과 이론을 습득하고 심화된 실기교육 과정과 공연예...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