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스윙플레인(Swing Plane)은 골프 클럽이 골퍼의 몸 주변을 이동하는 각도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이것은 타겟의 반대 방향에서 보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스윙플레인은 크게 원플레인과 투플레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면을 의미하는 플레인(Plane)이 골프스윙 중 몇 개로 이루어지는가에 따라 원플레인과 투플레인이 결정되는데, 이 두 가지 플레인에 대한 논쟁은 골퍼들 사이에서 끊임없이 이어져 왔다.

 

원플레인 스윙과 투플레인 스윙의 가장 큰 차이는 백스윙에서 만들어지는 어깨와 팔의 위치이다(그림 1의 노란선과 파란선).

 

원플레인 스윙에서는 <그림 1>과 같이 어께와 팔을 같은 면에 위치시키기 때문에 플렛한 스윙이 만들어지는 반면, 투플레인 스윙에서는 와 같이 어께와 팔이 다른 면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업라이트한 스윙이 만들어진다.

 

또한 원플레인 스윙에서는 하체의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해 투플레인 스윙보다 스텐스를 조금 더 넓게 하고 상체를 더 굽힌다. 원플레인스윙은 스윙이 한 개의 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타이밍의 문제가 적어지는 반면 비거리를 위해서는 근력과 유연성이 필요하다.

 

투플레인 스윙에서는 팔의 위치가 업라이트하기 때문에 원플레인 스윙보다는 더 많은 위치에너지를 만들어낼 수 있지만 두 개의 플레인으로 스윙하기 때문에 타이밍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림 1.png    

상완과 전완의 비율, 양팔을 폈을 때의 길이와 신장의 비율 등을 따져 각 골퍼들에게 적합한 스윙플레인을 제시하는 방법도 활용되고 있지만, 개인에 따라 발달된 근육과 운동범위가 다르고 골프에서는 그에 따른 보상동작이 작용하기 때문에 단순히 신체 비율만 가지고 스윙플레인을 결정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자신에게 적합한 스윙플레인을 찾기 위해서는 자신의 신체조건과 운동능력을 고려한 다양한 시도가 필요하다. 즉 스윙이 이루어지는 동안 만들어지는 에너지를 임팩트 시 볼에 가장 효율적으로 전달시켜줄 수 있는 스윙플레인이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스윙플레인이라고 할 수 있다.

 

골프스윙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또 만들어 내기도 한다. 골프스윙에서 필요한 에너지는 크게 포텐셜에너지(Potential Energy)와 키네틱에너지(Kinetic Energy)로 구분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물체를 움직이기 위해서는 포텐셜에너지가 필요하다. 포텐셜에너지는 우리의 일상에서 흔히 접하는 에너지로 롤러코스터가 정상에서 가지고 있는 위치에너지, 다이나마이트가 가지고 있는 화학적에너지, 새총의 고무줄을 당겼을 때 발생되는 탄성에너지 등이다.

골프스윙에서도 롤러코스터처럼 백스윙탑에서 클럽이 가지는 위치에너지, 다이너마이트처럼 꼬임으로 발생되는 화학적에너지, 새총의 고무줄과 같이 임팩트 시 샤프트의 밴딩과 볼의 압축에 의해 탄성에너지가 발생된다.

 

키네틱에너지는 물체가 움직일 때 발생되는 운동에너지로 대포에서 포탄이 날아갈 때 발생되는 에너지와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골프스윙에서 에너지는 <그림 2>와 같이 발생된다.


그림 2.png

백스윙을 시작하면 클럽의 움직임으로 인한 키네틱에너지가 발생된다.

 

백스윙 탑에 이르게 되면 클럽의 위치에서 발생되는 위치에너지와 백스윙의 꼬임으로 근육에 저장되는 케미컬에너지와 같은 포텐셜에너지가 발생된다.

 

다운스윙이 시작되면 포텐셜에너지는 키네틱에너지로 전환되며 키네틱에너지는 클럽을 통해 볼에 전달된다.

 

키네틱에너지가 볼에 전달되는 순간 아주 적은 양이지만 일부는 열과 소리로 소모되고 대부분의 키네틱에너지는 볼을 대기 중으로 띄우며 전진시킨다. 키네틱에너지가 볼을 띄우면서 위치에너지에 의한 포텐셜에너지를 발생시키고 포텐셜에너지는 다시 키네틱에너지로 전환됨을 반복하다 지면으로 낙하한다.

 

이처럼 골프스윙 중 에너지는 생성과 변환의 과정을 거치며 볼에 전달되기 때문에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의 효율적 에너지 생성과 전달이 골프스윙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어떤 스윙플레인이 좋다또는 나쁘다를 따지기 이전에 자신이 가장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생성하고 전달할 수 있는 스윙플레인이 무엇인지를 찾는 것이 우선 되어야 한다.

 

*칼럼니스트 김구선: 이학박사/MBA. 미국 위스콘신주립대에서 국제경영학을 전공했다. 현재는 서경대학교 경영문화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골프학회 부회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원문출처>

골프한국 https://golfhankook.hankooki.com/01_news/NewsView.php?category=13&gsno=10244009&s_ref=nv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1153

작년 신입생 경쟁률 TOP은 '서강대' file

28.7대 1로 가장 높아…중앙대, 한예종, 성균관대도 20대 1 이상 수도권 대학 평균 경쟁률 13.5대 1, 비수도권 7.0대 1과 큰 차이 서강대학교 (사진제공: 서강대) [대학저널 신효송 기자] 작년 대학 신입생 경쟁률이 가장 ...

2021학년도 수시 논술전형, 적성고사 모집인원 및 대책 file

논술전형 작년 대비 916명(7.6%) 감소…논술고사 비중 높아 적성전형 올해 홍익대(세종) 미실시…2022학년도 폐지 예정 2021학년도 각 대학별 전형계획에 따르면 2021 수시 논술전형 모집인원은 1만 1,140명(33개교)으로 작년 대비 9...

대만 중부 영동과기대, 서경대와 형제대학 됐다 file

자오즈양 총장, 서경대와 전방위에 걸친 협력관계 구축 희망 MOU 체결 직후 구체적 교류 방안 협의해 확정 영동대 학생들 서경대서 단기 연수 갖고 이 기간 중 양교 교수들 워크샵 개최키로 학생 교류 시행하고 석·박사 과정 공동운...

[조정근 서경대 경영학부 교수 조선비즈 국제세무칼럼] 한국 6개 연기금이 맨해튼에서 1600억원 말아먹은 이유 file

조정근 서경대 경영학부 교수 2007년 3월, 우정사업본부 등 한국의 6개 연기금(사학연금, 공무원연금, 지방행정공제회,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은 미국 부동산 투자에 나섰다. 특수목적 합자회사(SPC)의 유한책임사원으로...

서경대학교 뮤지컬학과 정기공연 ‘헤어스프레이’ ‘대성황’…문예홀 전석 매진 - 고품격 문화 예술 선사, 뮤지컬 스타들의 새로운 탄생. file

헤어스프레이 뮤지컬 무대 스틸컷 서경대학교 뮤지컬학과의 2017학년도 2학기 정기공연인 ‘헤어스프레이'가 12월 20일부터 24일까지 열렸다. 공연 전부터 입소문이 자자했던 뮤지컬 헤어스프레이는 김삼일 서경대 뮤지컬학과 교수가...

“머리 다듬고 金따면 다시 오겠다던 약속 지켰네요” file

美 크로스컨트리 선수 랜들 선수촌 미용실서 머리 손질 뒤 여자 팀스프린트 프리 금메달 헤어디자이너들과 기쁨 나눠 ▲ 미국 크로스컨트리스키의 키컨 랜들(왼쪽)이 24일 평창 선수촌 미용실에서 김유정 서경대 교수에게 금메달...

[인터뷰] ‘벤허’ 박민성(서경대 공연예술학부 졸업) “인정사정없는 노래, 올드보이 ‘장도리씬’ 생각날 거예요” file

데뷔 10주년, 이름 바꾸고 첫 무대…흔하지 않은 악역 ‘메셀라’로  ▲ 뮤지컬 ‘벤허(연출 왕용범)’에서 메셀라 역을 맡은 배우 박민성을 서울 흥인동 충무아트센터에서 만났다.(뉴스컬처) ©윤현지 기자 최근 공연계에서 활동...

서경대, 수시모집 경쟁률 22.02대 1로 전국 4년제 대학 중 9위 file

실용음악학과 보컬전공은 602.00대 1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경쟁률 기록 예술대학 전체 경쟁률도 68.51대 1로 매우 높아 화학생명공학과(36.33대 1), 문화콘텐츠학과(34.25대 1), 컴퓨터공학과(28.22대 1) 토목건축공학과(25.92대 1) 등...

코로나19 이후, 국내 대학 공간 대관 ‘뉴 노멀’ 주목

쉐어잇㈜, 스쿨쉐어링(School Sharing) 플랫폼으로 대학이 수익과 관리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도록 설계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국내 대학들의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위한 고심이 깊어지고 있...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일본에서도 ‘기생충’ 열풍 file

지난해 말 일본 도쿄 시부야에서 열린 영화 ‘기생충’의 기자시사회에서는 보기 드문 광경이 펼쳐졌다. 처음부터 웃음바다를 이뤘던 시사회는 영화가 시작하고 5분여 지난 뒤부터 그야말로 폭소의 도가니였고, 중반부에는 진지...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