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유럽 바이오디젤 혼합률 7~9%, 한국도 더 높여야

원유 100% 수입하듯 바이오에탄올도 해외수입 필요

기술·자본 갖춘 정유사 진출하면 기존업체 힘들어져

대기업이 중소·중견기업 육성하는 모델 만들어야


김기은 서경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교수.jpg 

김기은 서경대 화학생명공학과 교수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바이오디젤 등 바이오연료 사용을 보다 확대할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달 초 정부는 수송용 경유에 섞는 친환경 연료인 바이오디젤(BD)의 의무혼합률을 현 3%에서 2030년까지 5%로 상향하는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의 시행령 일부 개정령을 입법 예고했다. 오는 73.5%로 상향하고 3년 단위로 0.5%p씩 높여가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는 유럽 등 선진국에 비하면 적은 수준이다. 독일 등 유럽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바이오디젤 혼합률을 7~9%로 높게 정하고 휘발유에 혼합하는 바이오에탄올을 사용하는 국가도 많다.

 

국가의 ‘2050 탄소중립비전을 실현하기 위해선 바이오연료를 더 적극적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업계에서 나오는 이유이다.

 

바이오디젤 혼합률이 상향됨에 따라 현재 연간 7000억원 규모의 시장 규모는 2030년까지 1조원가량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오히려 바이오디젤 업계는 울상을 짓고 있다. 시장이 커지니 현대오일뱅크를 비롯한 정유사들이 직접 시장 진출을 준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는 정유사 한 곳만 진출해도 수 개의 기존 사업자가 시장에서 퇴출될 것이라며 정유사 직접 진출 반대 및 정부의 대책마련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김기은 서경대 화학생명공학과 교수는 오랫동안 바이오연료를 연구하고 오스트리아 정부의 연구기술개발자문위원회(RFT) 위원으로도 활동했다.

 

김 교수는 탄소중립 실현과 친환경 연료의 다양성 차원에서 바이오연료를 보다 적극적으로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대기업과 중소중견기업 간의 상생발전이 반드시 필요하고 국내 업계의 세계 최고 폐식용유 재활용 기술을 통해 세계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정책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정부가 바이오디젤 의무혼합률을 현 3%에서 2030년까지 5%로 상향하기로 했다. 어떻게 평가하나.

 

부족하다고 본다. 독일 등 유럽에서는 바이오디젤 의무혼합률을 7~9%로 정하고 있으며 그 이상도 하고 있다.

 

바이오디젤협회(biodiesel.org) 웹사이트 자료를 보면 BD7(7%)이 일반적이고 해운, 화물차 일부에서는 BD100(100%)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우리도 혼합률을 7~9%로 올릴 필요가 있다고 본다. 바이오디젤은 배기가스 및 탄소배출 감소에 효과적이다. 바이오디젤 사용 확대는 그린뉴딜 정책에도 부합할 것이다.”



정부의 에너지전환과 그린뉴딜 정책에서 바이오연료는 소외돼 있는 것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나.

 

우리나라와 유럽이 그린뉴딜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다. 그 수단으로 신재생에너지, 전기차, 수소차 보급을 확대하고 있는데 방향성은 맞다고 본다.

 

다만 친환경연료의 다양성이 필요하다고 본다. 절대적으로 하나만 갖고는 탄소 억제가 불가능하다.

 

바이오연료가 중요한 점은 자체적으로도 탄소 감축에 효과가 있지만 폐기물을 활용함으로써 폐기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또 한번 감축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휘발유에 섞는 바이오에탄올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 기후, 원료 수급, 식량과의 조화 등에서 맞지 않은 것인가.

 

그렇지 않다. 우리나라도 휘발유 차에 섞을 수 있다. 단지 정책상 바이오에탄올을 채택하지 않고 있을 뿐이다.

 

정부는 그 이유로 바이오에탄올의 원료인 옥수수, 콩 등 농산물 재배에서 오는 원료 수급과 가격 등의 문제에 포커스를 맞추고 있다.

 

하지만 원점에서 보면 원유를 100% 해외에서 수입하듯 바이오에탄올 원료도 수입하면 가격을 차별화 할 수 있고 그린뉴딜 및 탄소 감축 목적에도 부합할 수 있다고 본다.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바이오에탄올 도입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바이오디젤.jpg


바이오디젤 혼합률 확대에 맞춰 현대오일뱅크 등 정유업계도 직접 진출을 준비하고 있다. 어떻게 평가하나.

 

대학시절부터 유럽에서 공부했고 이후에도 유럽을 오래 경험하면서 가장 크게 느낀 것은 중소기업이 1세대에서 끝나지 않고 2, 3, 4대 등 계속해서 발전해 나간다는 것이었다.

 

우리나라와 유럽의 가장 큰 차이점을 꼽으라면 중소, 중견기업의 육성에 있는 것 같다.

 

우리나라는 중소, 중견기업이 1세대에서 대기업에 M&A 되면서 그대로 끝나는 것을 많이 봤다.

 

정유사가 후발주자로 바이오디젤 시장에 진출한다면 최신 기술과 최신 설비, 연구인프라도 갖췄기 때문에 경쟁력에서 상당히 앞설 것이다.

 

대기업의 진출로 인해 기존의 작은 업체들은 힘들어 질 것이 뻔하다.

 

정유사의 직접 진출은 시장경제와 규모의경제 차원에서 당위성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전체 국가경제에서 봤을 때 어떤 것이 더 유익한지, 미래 가능성을 봤을 때 어떤 것이 전체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생각해 봐야한다.

 

바이오연료 시장에서 대기업과 중소중견기업의 상생이 필요하다고 본다. 정유사가 바이오연료 최적화 기술을 개발해 중소기업에 이전하고 투자까지 해서 그 기업을 성장시킨다면 모범적 케이스가 될 것이다.

 

이 모델이 미국과 유럽에서는 있고 이것이 가장 이상적인 모델이라고 생각한다.”



바이오연료 시장에서 정부의 어떤 역할이 필요하다고 보는가.

 

우리나라는 바이오연료에 관한 기술 및 인재 인프라가 뛰어나 세계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이 분야를 육성하면 국가 경제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다. 내수시장만 볼 게 아니라 세계시장을 보고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 대기업이 상생분야에 관심을 갖고 투자하면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김기은 서경대 화학생명공학과 교수 프로필>

-고려대 식품공학과 학사


-독일 베를린 공대 생물공학과 석사·박사


-환경정책학회 상임이사


-오스트리아 RFTE 위원


-한독기술협력위 위원


-ADeKo(한독네트워크) 사무총장


-한국바이오연료포럼 부회장


<원문출처>

전기신문 http://www.electimes.com/article.asp?aid=1614154693213045033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1134

[발언대] 한국판 千人계획이 필요하다 file

구자억 서경대 인성교양대학장 중국 항저우에 있는 저장대학 부총장 쑹융화(宋永華)는 영국 리버풀대 부총장으로 있다가 2009년 천인계획에 의해 중국에 초빙됐다. 쑹 교수는 영국 사상 최연소 공대 교수로 유명하다. 중국엔 이런...

2학기 대학생 대외활동, 어떤 게 있나 file

코로나 19로 인해 원격수업으로 진행되었던 1학기와 하계방학이 끝나고 2학기 개강을 맞은 지도 한 달이 지났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면서 생긴 ‘여유시간’을 보다 가치있고 알차게 보내려는 학우들이 적지 않다. 이러한 학...

서경대학교, 2020년 수시 합격자 조기 발표 file

서경대학교가 2020년 수시(수능 미적용) 합격자를 31일에 조기 발표했다. 서경대학교 응시생들은 해당 홈페이지에서 이름과 생년월일, 수험번호를 입력한 뒤 합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개인정보가 원서접수시 입력한 정보와 ...

2021학년도 적성고사 전형 총정리 file

중위권 학생 in 서울 기회 ‘적성고사’ 내년부터 폐지 기말고사가 남아있기는 하지만 중간고사로 대략의 내신 등급이 결정된 수험생들은 자신에게 맞는 수시 전형 전략을 세우는데 한창이다. 실제 분당과 수지지역 고교에서 내신...

[KTV 국민방송] 대학 상담센터 확산..대기시간 단축 필요 file

<영상 보기> http://www.ktv.go.kr/content/view?content_id=534302 앵커> 최근 상담 공간을 새로 마련하거나 상담 분위기를 학생 맞춤형으로 바꾸는 대학이 늘고 있는데요. 문제는 상담 대기 시간이 너무 길다보니 학생들이 불편...

학과 안내 <26> 미용예술대학 뷰티테라피&메이크업학과 file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 뷰티테라피&메이크업학과는 인간 내·외면의 조화로운 아름다움을 구현하기 위해 예술적 토대 위에 실용적인 뷰티 지식과의 균형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K-Beauty 산업의 흐름을 주도할 수 있는 학문...

[카드뉴스] 띵언 뺨치는 대학 슬로건 file

#우리학교_슬로건은_뭐지? 띵언 뺨치는 대학 슬로건 경희대학교 그대 살아 숨쉬는 한 경희의 이름으로 전지하라 고려대학교 너의 젊음을 고대에 걸어라, 고대는 너에게 세계를 걸겠다. 목포해양대학교 To the sea, to th...

서경대 정시 경쟁률 11.22대 1…전년 비해 대폭 상승 file

서경대학교는 9일 마감한 정시모집 원서접수 결과, 총 754명 모집에 8463명이 지원해 평균 11.2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도 8.19대 1에 비해 크게 올랐다. 정시모집 '가'군 일반학생 전형은 100명 모집에 277...

담임교사추천자전형, 학생부 100%-조선일보 2007. 8. 29

담임교사추천자전형, 학생부 100% [서경 대학교] 서경대학교는 수시 2학기에서 총 297명을 선발한다. 전형별 선발인원은 일반학생전형 4명, 담임교사추천자전형 231명, 특기자전형 62명이다. 담임교사추천자전형은 수험생들의 부담을 ...

SBS ‘일요일이 좋다-런닝맨: 서경대편’ 3월 31일(일) 오후 5시부터 80분간 방영 예정 file

유재석, 송지효, 김종국, 이광수, 하하, 지석진, 전소민, 양세찬 등 고정 출연진과 배우 장희진, 가수 우주소녀 보나, 배우 김재영 등 특별 게스트, 지난 3월 11일(월) 서경대 캠퍼스 곳곳 누비며 학생들과 미션 수행하고 레이...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