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일러스트레이션.jpg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jpg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문명의 여명기부터 인류는 육로와 해로를 통해 활발하게 교류해 왔다. 동서양은 실크로드라는 초원길, 사막길, 그리고 바닷길을 통해 다양하게 교류했는데 이 중 바닷길은 규모와 경제적인 면에서 육로보다 효율적이었다. 이에 7세기 이후 점차 육로를 대신하는 해상무역의 시대가 열렸다. 특히 삼면이 바다인 한국과 사면이 바다인 일본에는 육로 이상으로 중요한 것이 바다의 길이었다.

 

최근 서울에서 출발해 광주, 부산, 경북 경주, 제주의 국립박물관들을 다니며 전시회를 보고, 바다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게 됐다. 도자기나 불상, 동전, 자단목(紫檀木), 그리고 유리 제품 등 많은 문물이 바다를 통해 교류된 흔적들을 만나게 됐다. 그중 특히 부산 영도 국립해양박물관이 지난해 12월 시작한 기획전시 불교의 바닷길은 신선한 감동을 일깨웠다. 이 전시는 해양과 관련된 불교 유산을 소개하고 있는데 특히 인상 깊었던 것은 3부에서 소개된 조선과 일본에서 비롯된 전시물과 에피소드 들이다.

 

조선시대에는 중국과 조선·일본 사이의 해상에서 사고가 빈번했다고 한다. 17세기 조선 숙종 때, 중국에서 일본으로 향하던 무역선이 전남 임자도에 표류하면서 가흥대장경(嘉興大藏經)’이 해안에 떠밀려와 유입되었고, 이를 목판으로 재판각하면서 조선 후기 불교계와 인쇄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바닷길의 표류 사고가 문화 교류로 이어진 또 다른 사례로 19세기 전남 해남 대흥사 천불상(千佛像) 이야기가 일본표해록(日本漂海錄)’ 등에 기록되어 있다. 이를 통해 조선과 일본의 표류 송환 네트워크 체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기록에 의하면 경주 지역 옥석으로 만들어진 천불이 완성되자 몇 척의 배에 나눠 싣고 울산을 거쳐 바닷길을 통해 대흥사로 향했는데, 도중에 한 배가 풍랑을 만나 표류하다가 일본 나가사키(長崎)현에 닿았다고 한다. 노스님이 눈물로 불상들이 돌아오기를 기다린다는 말을 전해 듣고, 나가사키현에선 이를 조선으로 돌려보냈다고 한다. 전시장에는 그렇게 바다를 건너 돌아온 불상 셋이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편안히 앉아 계셨다. 표면에 칠해진 흰색 호분(胡粉)과 노란색 의상이 너무 잘 어울려 보였고, 이를 보며 대흥사로 무사히 돌아온 것이 참 다행이라 생각됐다.

 

또한 해상과 관련이 깊은 관음보살 불화로 현등사 수월관음도’, 연화사 천수관음도’, 도갑사 삼십이관음응신도’(모사본) 등 쉽게 볼 수 없는 귀한 문화재들이 전시돼 감격할 수밖에 없었다. 바다를 통한 문화 교류를 불교문화에 초점을 맞춰 보여주는 것 같지만, 종교라는 테두리를 넘어 문물과 사상의 교류라는 보다 큰 스케일의 이야기로 꾸며졌기 때문에 관객들이 다가가기 쉬우면서도 깊이 있는 전시였다. 그래서인지 이 전시를 본 감동은 관람한 지 한 달이 지난 지금까지도 식지 않는다.

 

문득 내가 1980년대 초반 일본에서 대학을 다니던 시절, 한국 문화에 빠져버린 계기가 생각났다. 당시 나는 1310년에 그려졌다고 전해지는 높이 4m 넘는 고려시대 수월관음도(水月觀音圖)를 일본 사가(佐賀)현 현립박물관에서 직접 보았다. 그 순간 화려함과 섬세함, 그리고 무엇보다 고귀한 형상에 가슴이 철렁 내려앉았다. 이 신비한 미소의 연유를 알고 싶었다. 결국 그 보살상 그림에 이끌려 한국에 머무르게 됐다. 그리고 4년가량, 정신없이 고려불화를 보며 미친 듯이 도상을 재현해 보려 했다. 그리고 바닥에는 파도치는 물결을 그렸다. 그 보살의 발밑 바닥에 있는 것은 다름이 아닌 바다였다.

 

전시를 보며 20대의 내가 겁도 없이 바다를 건너왔던 까닭을 이제야 알 것 같았다. 다른 문화를 접하며 느꼈던 두려움과 충격, 감동 때문이었다. 바다를 건너가려다 뜻을 이루지 못하고 바닷속에 사라져 간 수많은 옛 승려와 상인들의 열정을 전시를 보며 느낄 수 있었다. 이 전시는 하나의 종교 이야기를 넘어선 인류의 이야기다. 인류가 열정과 지혜를 가지고 문화적 기적을 이루는 역사를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원문출처>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10219/105490996/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1567

[2023수시특집] 서경대 862명(65.8%) ‘확대’.. 논술우수자전형 신설 file

어학특기자 수능최저 변경..교과 38.4% '최대' 실기26.8% 서경대는 올해 수시에서 SKU논술우수자전형을 신설한다. 논술고사는 계열 구분 없이 공통 문제로 출제되며 국어/수학을 출제범위로 한다. 국어에서 9문항 내외, 수학에서 ...

‘폴링 월스 랩 서울 2022’ 개최...9월 17일(토) 오후 2시 한국외대서 오프라인 예선, 9월 7일까지 신청, 모든 전공분야 학생 참석 가능 file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주최하고 EURAXESS Korea, 주한 독일 고등교육 진흥원(DAAD)이 공동 주관하는 ‘폴링 월스 랩 서울(Falling Walls Lab Seoul 2022)’이 오는 9월 17일 오프라인 예선을 진행한다. 폴링 월스는...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코로나 이후 일본에서 인기 높아진 한국 식품[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오늘 저녁은 비빔밥!” 지난여름, 일본의 친정집에서 만 88세 된 어머니가 미리 주문한 ‘비빔밥 세트(ビビンバ정セット)’를 꺼내며 말했다. 나는 좀 불만스러운 표정으로 “2년 반 만에 왔는데 한국 음식?”이라고 투덜댔...

서경대 학우들, 하계방학 어떻게 보냈나 file

하계방학 기간이 끝나고 9월 1일 2022학년도 2학기가 시작되었다. 서경대 학우들은 학기 중에 가지지 못했던 여유를 가지고 휴식을 취하거나 공부, 취미생활, 여행, 인턴, 알바 등을 하며 각자 자신만의 시간을 의미 있고 알차게...

서경대학교 교수학습원, 강의 질 향상 위한 우수강의 교원 선발 file

서경대학교 교수학습원(원장 이지나 교수)은 우수강의 교원 선발지침을 개정하고 2022학년도 1학기 10명의 우수강의 교원을 선발했다. 우수강의 교원 선발은 교수(Teaching) 질 향상의 일환으로 강의를 위해 노력한 교원을 격려하고자...

서경대학교 헤어디자인학과 이·미용 봉사팀 ‘아르케’, 2022년 농촌재능나눔 봉사활동 실시 file

서경대학교 헤어디자인학과의 11명의 학생들로 구성된 이·미용 봉사팀 ‘아르케’(대표 정현광 학생)는 진용미 학과장과 김선혜, 김유정 등 소속 교수진과 함께 지난 7월 11일부터 14일까지 나흘간 인천 옹진군 영흥면에서 2022...

논술우수자전형 신설… ‘특성화 명문 종합대학’ 부상 file

[2023 대학 가는 길] 서경대학교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2023학년도 수시모집에서 입학정원 1309명 중 정원 내 862명을 선발한다. 올해 전형의 특징은 ▲이공대학 소프트웨어학과 정원이 기존의 80명에서 120명으로 40명 ...

[전문가칼럼] 효율적 시장에서의 효율적인 투자전략 file

우리가 대학교에서 ‘투자론’이라는 과목을 배울 때 반드시 듣게 되는 이론이 있다. 바로 효율적 시장가설이라는 말이 있다. 효율적 시장 가설(EMH : Efficient Market Hypothesis)이란 가격은 상품에 대해 얻을 수 있...

서경대학교, 성북경찰서와 학생 생활 안전 위한 상호 협력 합의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8월 29일(월) 신임 인사차 본교를 방문한 정영오 성북경찰서장과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에서 2학기 전면 대면수업을 앞두고 학생들의 안전한 학교생활을 위해 양 기관이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서경대, 3년 연속 ‘정부초청 외국인 장학생(GKS) 한국어 연수과정 운영 대학’ 선정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가 교육부 산하 국립국제교육원이 주관하는 ‘정부초청 외국인 장학생 (GKS: Global Korea Scholarship) 한국어 연수과정’의 운영 대학으로 2020년, 2021년에 이어 2022년 3년 연속 선정됐다. 정부초청...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