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권재욱 교수.jpg


초저녁 바람이 차다.

 

황혼을 피해 갓 나온 별들이 이럴줄 몰랐다는 듯 추위에 슬몃 흔들린다. 골짜기 잔설을 비비며 내려 온 바람은 앙상한 나뭇가지 사이에서 가늘게 떤다. 낼 모레면 설날인데 아직도 익숙해지지 못한 한기에 가슴이 시리다.

 

설날을 앞둔 요 며칠이 항상 어려웠다. 그 시절에는. 운 좋으면 설빔 하나 건질지 모른다는 기대감과 먹거리와 놀거리가 쏠쏠한 설날을 기다리는 아이들은 벌써부터 들뜬 분위기지만, 어른들의 얼굴엔 그림자가 짙어 갔다. 설날 차례상을 위해 아껴둔 떡가래 뽑을 쌀 몇 되박과 고사리, 호박고지, 아주까리 등 나물거리에 더 이상 손 댈 수 없는 어머니는 만만한 방구석 콩나물 옹기항아리에 물을 퍼 부으며 심사를 달래곤 했다. 그때마다 겨우내 닳고 닳은 문풍지가 파르르 떨었다.

 

생각하면 아득히 먼 옛날 같지만 불과 한 세대 남짓 전 풍경이다. 생각하면 어떻게 그 딱딱하고 굴곡진 모개나무 옹이 같은 세월을 견디며 살아내었을까? 생각하면 서럽고, 다시 생각하면 감사한 시절이었다.

 

이맘때면 어머니는 나에게 안산 아래 종훈이 엄마에게 심부름을 보냈다. 방앗간에 같이 좀 가주면 어떻겠냐고. 당신이 허리가 성치 않아서라는 말을 빼먹지 말고 꼭 전하라며. 이튿날 두 어머니는 뽀얗게 물에 불린 쌀을 소쿠리에 나눠 이고는 방앗간으로 향했다. 저물녘 종훈이네 사립문 안으로 김이 모락모락 나는 소쿠리가 경쾌하게 흔들거리며 들어가는 것이 보였다.

 

서양인들은 우리의 정()이라는 말을 이해하기 힘들다고 한다. 모든 것이 눈에 보이고 손에 잡힐 듯 분명해야 끄덕이는 그들에겐 그럴 것이다. 정은 은근해야 맛이다. 서양인에겐 오른 손이 한 일을 왼 손이 모르게 하라는 말 정도가 정의 표현이라 할 만하나, 이는 내 마음의 기준일 뿐 상대편에 대한 배려가 없다. 상대가 민망해 하면 정이 아니다.

 

정은 서로 마주 본다고, 주고 받는다고 생기는 것이 아니라, 함께 보낸 사연으로, 그 느낌으로 깊어진다. 즐거운 일이면 즐거운대로, 슬픈 일이면 또 그것대로 저녁 노을같은 그림으로 곱게 그려진다. 그림 속에는 늘 사람이 있다. 그를 웃음지게 한 너스레가 있고 그녀를 토라지게 한 사건이 있다. 소소한 일상이라도 순수한 마음의 교감이기에 장면마다 아름답고 소중하다.

 

내 그대를 생각함은/ 항상 그대가 앉아 있는 배경에서/ 해가 지고 바람이 부는 일처럼 사소한 일일 것이나/ 언젠가 그대가/ 한없이 괴로움 속을 헤매일 때에/ 오랫동안 전해오던 그 사소함으로/ 그대를 불러 보리라.” 황동규 시인이 그의 아버지 황순원님이 쓴 소나기를 시로 환생시켰다는 소리를 듣는, “즐거운 편지속의 그대, 거리는 멀어도 오랜 기억 속의 사소함으로불러 보는 그대는 언제나 애틋하다.

 

종훈이에겐 어질고 예쁜 누나가 있었다. 그 누나는 동생의 학비와 가사에 보탬이 되고자 초등학교를 졸업하기가 무섭게 봉재 공장에 취직을 했다. 종훈이의 공고 진학을 앞두고는 더 나은 벌이를 위해 직장을 옮겨야 했고, 결국 미군과 결혼하여 미국으로 떠나갔다. 미국으로 가기 전 누나는 한 소꿉친구에게, ‘세상에는 죽는 셈치고 하는 결혼도 있고 다른 사람을 살리기 위해 하는 결혼도 있다.’라는 말을 흘렸다고 한다. 얼마 후 미국에서 종훈이의 장사 밑천이 부쳐져 왔다. 눈물 젖은 편지에는 엄마 아빠 잘 모시라는 부탁을 잊지 않았다. 하지만 종훈이의 사업은 그의 어리숙한 성정으로 끝내 성공하지 못하였고, 누나에 대한 죄스러움을 술로 달래다 거의 폐인이 되었다는 소문만이 들려 왔다. 그에 대한 소식은 더 이상 알지 못한다. 진작에 그를 찾아 야윈 어깨라도 한번 따뜻이 안아주지 못한 것이 못내 아쉽고 미안하다. 돌아가신 어머님이 아셨다면 나를 많이 나무라셨을 것이다.

 

설날이 다가오니 올해 따라 어린시절 설날 풍경과 어렵게 살아내던 이웃들의 선한 모습이 애련히 되살아 난다. 요즈음 부쩍 힘들어 하는 사람들의 한숨이 그 시절 증기기관차가 푹푹 내뿜던 더운 김을 닮아서인가? ‘거리두기로 호박떡 같은 인정을 이번 설날에는 오글오글 나눌 수 없기 때문인가?

 

달이 가장 아름다운 순간은 구름과 함께 거닐 때이다. 바람이 존재를 알리는 것은 나뭇잎을 흔들 때이다. 사람은 사람과 공감할 때 사는 의미가 있다. 함께 느낀 것이 많을수록, 사심이 적을수록 그 사람이 더 소중하다. 조만간 추위도 가고 그 누님 같은 훈풍이 마지막 잔설마저 녹여 낼 것이다.

 

황 시인의 편지를 마저 읽는다. “밤이 들면서/ 골짜기엔 눈이 퍼붓기 시작했다./ 내 사랑도 어디쯤에선 반드시 그칠 것을 믿는다./ 다만 그때, 내 기다림의 자세를 생각하는 것 뿐이다./ 그 동안에 눈이 그치고 꽃이 피어나고 낙엽이 떨어지고/ 또 눈이 퍼붓고 할 것을 믿는다.” 아직, 바람이 차다.

 

(글 속의 이야기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가명을 썼고, 약간 각색하였음.)

 

<원문출처>

e대한경제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102070912561460525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2458

서경대학교 교내 봉사단체, ‘하계 농촌 봉사활동’ ‘관내 취약계층 어르신 여름보양식 제공’ 등으로 ‘구슬땀’ file

2022학년도 1학기가 끝나고 여름방학이 시작된 지 한 달 남짓 지났다. 학우들은 학기 중에 가지지 못했던 여유를 가지고 쉬거나 공부, 취미생활, 인턴, 알바 등을 하며 각자 자신만의 시간을 보내고 있을 것이다. 그 가운데, ...

[구병두 서경대 교수의 교육칼럼] 디펜딩 챔피언의 저주와 사즉생(死卽生)의 각오가 일구어낸 놀라운 성과 file

서경대학교 인성교양학부 교수 디펜딩 챔피언의 저주란 직전 대회에서 우승한 팀이 조별리그에서 탈락한다는 징크스를 말한다. 2014 브라질 월드컵 우승팀 독일도 이번 러시아 월드컵에서 디펜딩 챔피언의 저주를 피해가지 못했다...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의 한국 블로그]일본에 건너간 ‘택시운전사’ file

내 생일은 6월 6일, 현충일이다. 그리고 이날은 아버지의 기일이기도 하다. 그래서 6월은 나와 아버지를 생각하고, 아버지를 추모하는 달이며 한국을 위해 목숨을 바친 이들을 추도하는 달이다. 내 아버지는 지방공무원이셨고, ...

‘미디어 속 서경대’ 블로그 제작, 공개

세간의 화제 모았던 SBS 드라마 ‘펜트하우스’ 외에 JTBC 웹드라마 ‘라이브온’, 플레이리스트 디지털 드라마 ‘잘하고 싶어’, 강컨텐츠 뮤지컬 영화 ‘K스쿨‘ 등에 등장하는 서경대학교 캠퍼스 전경과 서경대 출신 연기자들의...

[2019정시특집] '현장중심 창작지향' 서경대 568명 모집.. 가/나/다군 분할 선발 file

K-뷰티, K-팝 관련 분야 학과 '강세' [베리타스알파=유수지 기자] 현장중심 교육을 실현하고 있는 서경대는 올해 정시에서 정원내 568명을 모집한다. 지난해 584명 모집에서 소폭 축소됐다. 올해부터 이공대학 컴퓨터과학과가 소프...

서경대학교 언어문화교육원, 영어실력 향상을 위한 겨울방학 특강 개설 file

서경대 학생과 지역주민 등을 위한 토익, 영어회화 등 다양한 강좌 운영 서경대학교 언어문화교육원은 서울 시민과 성북구 주민, 서경대 재학생 누구나 저렴한 비용으로 영어를 배울 수 있는 ‘겨울방학 특강’을 개설한다. 이...

서경대 진로심리상담센터, 코로나로 힘든 학생용 프로그램 운영 file

서경대 온라인 교육센터에서 외국인 유학생이 대인관계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모습과 만든 작품. 서경대 진로심리상담센터(센터장 민미희 교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으로 심리적 정서적 문제 등 다양한 스트...

[서경대] 정원내 862명 선발...SKU 논술우수자전형·재외국민 특별전형 신설 file

2023학년도 수시 모집_ 서경대 서경대 공연예술학부에서 진행한 2022 HUB 13(언택트 패션 갈라쇼)이다. 사진=서경대 서경대는 2023학년도 수시모집에서 입학정원 1천309명 중 정원 내 862명을 선발한다. 전년도와 비교해 달...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한중일 공통 콘텐츠 ‘서예’ 보급 확대되길[이즈미의 한국 블로그] file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중국에서는 서법(書法), 한국에서는 서예(書藝), 일본에서는 서도(書道).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벼루에 먹을 갈아 붓으로 화선지에 글을 쓰는 행위와 이를 작품으로 ...

서울 정릉을 넘어 전국으로 뻗어나가는 서경대학교 디자인학부, 전국 고등학교 디자인 실기대회 성황리에 마쳐 file

전국에서 모인 840명의 고등학생들, 이틀에 거쳐 본교에서 열린 대회에 참가 기량 겨뤄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센터(센터장 김범준 부총장)와 디자인학부(학부장 박혜신)가 주최하는 제7회 전국 고등학생 디자인 실기대회가 지난 5월 ...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