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진세근 서경대 겸임교수.jpg

진세근 서경대 겸임교수·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사무총장


스스로 있는 자

 

모세가 묻자 하나님 스스로가 밝힌 자신의 이름이다. 히브리어로 여호와’(혹은 야훼). 그리고 여호와를 우리 말로 풀면 자유(自由)가 된다. 스스로 말미암아야 스스로 존재할 수 있지 않겠는가? 하나님의 이름이 자유인 이유다.

 

옥스포드 대학교수를 역임한 저명한 신학자 C S 루이스는 하나님이 인간을 창조할 때 가장 고민한 것이 자유일 것이라고 말했다. 자유에는 하나님을 배신할 수 있는 자유도 포함돼야 하기 때문이다. 자유가 인간 본질의 핵심이라는 얘기다. 그럼에도 우리 인생은 자유 대신 매임으로 가득하다.

 

지난해만 봐도 그렇다. 코로나 궤적을 따라 시기별로 키워드를 뽑아보면 우리의 매임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코로나가 등장한 2월의 키워드는 창궐(猖獗)이다. 3월에는 격리(隔離)로 넘어간다. 4월에 접어들면 국민들의 고난(苦難)이 두드러진다. 마침내 대중은 확진자를 소외(疏外)시킨다. 이때부터 하자(瑕疵), 곧 상대의 흠결과 잘못을 찾아내기에 골몰한다. 코로나를 이용해 반대파를 공격하기 위해서다. 흡사 갱스터 같다. 매임은 이처럼 위기 속에서 강화된다.

 

이익집단 연구에 천착했던 맨슈어 올슨은 국가 역시 일종의 갱스터로 봤다. 갱스터가 금품을 갈취하고, 지주가 소작료를 걷듯이, 국가는 제복 입은 관리를 동원해 세금을 깔끔하게 걷고 치안을 매끄럽게 유지하는 꿈을 꾼다는 것이다. 이런 국가의 꿈이 가장 완벽하게 실현되는 순간, 곧 개인의 매임이 극대화되는 순간이 바로 위기의 때다. 전쟁 혹은 전염병 시기다. 이유는 간단하다. 사람들이 평소 이상의 통제를 갈구하기 때문이다. 국가는 신나게 자원을 징발하고 치안을 강화한다.

 

페스트 창궐 당시 프랑스 정부가 펴낸 페스트 행정 매뉴얼페스트가 발생하면 국가는 ^통금 실시 ^위반자 사형 ^유기묘 및 유기견 살처분 ^주택 열쇠 국가 관리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규정했다. 이런 상황에서는 오가작통(五家作統) 같은 상호 감시 시스템이 도입되기 십상이다. 오가작통은 춘추전국 시대를 거쳐 진나라 성립까지 중앙권력이 강화되는 과장에서 도입된 것으로 알려진다. 요즘 ()파라치가 기승이라고 한다. 상금을 노리고 5인 이상 모여 식사하는 장소만 찾아다니는 사람들이다. 우리 사회에도 이미 오가작통제가 작동 중인 셈이다.

 

매임을 끊고 자유를 얻기 위한 공자의 처방전은 성()이었다. 성은 자신에게 부과하는 가혹한 통제다. 제자 사마경(司馬耕)이 군자(君子)를 묻자 공자는 안으로 살펴 거리끼지 않으면, 무엇을 근심하고 무엇을 두려워하랴(內省不疚 夫何憂何懼)?”고 답한다. 못난 사람을 보면 자기에게도 이런 못남이 있지 않나 자성하라(見不賢而內自省也)는 말도 했다.

 

엔트로피는 시간이 흐를수록 에너지가 낮아져서 질서에서 무질서로, 부패로, 붕괴로 이어진다는 열역학 제 2법칙이다. 김영길 전 한동대 총장은 여기에 반기를 들었다. 생명체 내에선 에너지가 생성되고 흥왕하는 쪽으로 변한다고 말한다. 깨짐에서 복원으로, 다툼에서 화해로, 분열에서 화합으로 나간다는 얘기다. 김 전 총장은 이를 ()트로피라고 불렀다. 하나님의 사랑을 간직하면 사람은 엔트로피를 넘어 신트로피로 나갈 수 있다는 주장이다.

 

세상의 악을 어찌 일일이 상대할 것인가. 스스로를 살피면() 내가 변하고, 변한 마음으로 이웃을 대하면 그들도 변할 것이다. 새해다. 내가 먼저 매임에서 풀려나자. 그리고 우리를 자유케 하자.

 

<원문출처>

경북일보 https://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65266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2871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센터, 지역 아동·청소년의 예술교육 활성화에 앞장서 file

서경대학교와 성북구청이 손잡고 제8회 ‘뮤지컬 드림캠프’ 개최 뮤지컬 앙상블 통해 화합과 소통의 장 마련, 아동의 자아실현에도 도움 서경대학교의 예술자원을 활용해 지역 단위학교의 예술교육 활성화에 앞장 서경대학교(총장...

[김종훈 칼럼] 결핍이 풍요를 섭리할 때 file

- 서경대학교 나노융합공학과 학과장 ▲ 김종훈 박사(서경대학교 나노융합공학과 학과장) 30년 전 공대생이 되면서 배운 전공서적 어느 구석에도 없었지만, 본격적으로 공돌이가 되기 시작한 3학년, 1992년 즈음, 반도체공학을 가르...

서경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30년의 IT 경험 공유하기' 주제로 전공탐색 1차 특강 성황리에 열어 file

5월 16일(화) 오전 11시 서경대 북악관 107호서 서경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학과장 민미경)는 모바일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업체인 네무스택(주)의 이승종 대표를 초청, 5월 16일(화) 오전 11시 서경대 북악관 107호에서 '30년의 IT ...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무용예술학과 제17회 창작발표회 및 제20회 쇼케이스 개최 file

5월 23일(목) 오후 7시 교내 문예관 문예홀서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무용예술학과(학과장 전순희)의 제17회 창작발표회 및 제20회 쇼케이스가 5월 23일(목) 오후 7시 교내 문예관 문예홀에서 개최된다. 무용예술학과 특성화 방안의 ...

‘2019 SEOKYEONG WIND ORCHESTRA CONCERT’ 및 ‘2019 SEOKYEONG STRING ORCHESTRA CONCERT’ 잇따라 개최 file

2019년 5월 22일(수)과 5월 23일(목) 오후 7시 서울 대학로 서경대학교 공연예술센터 대극장서 서경대학교가 주최하고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부와 (사)서경뮤직소사이어티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2019 SEOKYEONG WIND ORCH...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뮤지컬학과 2019년 1학기 정기공연 <지붕 위의 바이올린> 성황리에 막 내려…공연 연출 맡았던 뮤지컬학과 이종석 교수 인터뷰 file

▲서경대 문예관 문예홀에서 공연한 뮤지컬 <지붕 위의 바이올린>의 한 장면 ‘실용이 최고의 가치다’라는 슬로건 아래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뮤지컬학과는 커리큘럼 자체를 재학생들이 졸업 후 진출할 산업 현장과 동일하게 구성...

국내 최초 <2019 클래식 기타 박람회> 5월 25일 오후 1시부터 6시까지 서경대학교 공연예술센터서 개최 file

<2019 기타박람회>가 5월 25일(토) 오후 1시부터 6시까지 서울 혜화동 대학로 서경대학교 공연예술센터 지하 1층에서 열린다. 한국기타제작협회가 주최하고, 서경대학교가 후원하는 이번 박람회는 클래식 기타 프로 제작가와 기타관...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센터 ‘2019 인생나눔교실’ 기획사업 ‘삼삼오오 인생나눔활동’ 지역거점 운영기관(단체) 공모 file

서울·경기·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밀착 <삼삼오오> 그룹을 구성해 운영할 수 있는 기관(단체) 모집 장년·노년 세대가 주체가 되어 지식·재능·지혜를 나누는 소규모 인문활동 지역 특성에 기반한 인생나눔교실의 사업가치 확산 ...

서경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신한은행 빅데이터센터 본부장 김철기 박사 초청, 'Big Data & Artificial Intelligence in Finance' 주제로 특강 개최 file

5월 22일(수) 오후 2시 서경대 북악관 107호서 서경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학과장 민미경)는 신한은행 빅데이터센터 본부장인 김철기 박사를 초청, 지난 5월 22일(수) 오후 2시 서경대 북악관 107호에서 'Big Data, AI & D...

[반성택 서경대 철학과 교수의 디지털인문학] 패스트트랙의 역사성 file

반성택 서경대 철학과 교수 우리의 5월은 기념하는 날로 가득하다. 어린이, 성년, 부모를 생각하고, 스승과 노동자도 챙긴다. 또한 4·19와 5·18로 시작되는 우리 사회의 봄은 노무현과 6·10 항쟁으로 치닫는다. 이처럼 우리의 ...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