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진세근 서경대 겸임교수.jpg

진세근 서경대 겸임교수·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사무총장


스스로 있는 자

 

모세가 묻자 하나님 스스로가 밝힌 자신의 이름이다. 히브리어로 여호와’(혹은 야훼). 그리고 여호와를 우리 말로 풀면 자유(自由)가 된다. 스스로 말미암아야 스스로 존재할 수 있지 않겠는가? 하나님의 이름이 자유인 이유다.

 

옥스포드 대학교수를 역임한 저명한 신학자 C S 루이스는 하나님이 인간을 창조할 때 가장 고민한 것이 자유일 것이라고 말했다. 자유에는 하나님을 배신할 수 있는 자유도 포함돼야 하기 때문이다. 자유가 인간 본질의 핵심이라는 얘기다. 그럼에도 우리 인생은 자유 대신 매임으로 가득하다.

 

지난해만 봐도 그렇다. 코로나 궤적을 따라 시기별로 키워드를 뽑아보면 우리의 매임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코로나가 등장한 2월의 키워드는 창궐(猖獗)이다. 3월에는 격리(隔離)로 넘어간다. 4월에 접어들면 국민들의 고난(苦難)이 두드러진다. 마침내 대중은 확진자를 소외(疏外)시킨다. 이때부터 하자(瑕疵), 곧 상대의 흠결과 잘못을 찾아내기에 골몰한다. 코로나를 이용해 반대파를 공격하기 위해서다. 흡사 갱스터 같다. 매임은 이처럼 위기 속에서 강화된다.

 

이익집단 연구에 천착했던 맨슈어 올슨은 국가 역시 일종의 갱스터로 봤다. 갱스터가 금품을 갈취하고, 지주가 소작료를 걷듯이, 국가는 제복 입은 관리를 동원해 세금을 깔끔하게 걷고 치안을 매끄럽게 유지하는 꿈을 꾼다는 것이다. 이런 국가의 꿈이 가장 완벽하게 실현되는 순간, 곧 개인의 매임이 극대화되는 순간이 바로 위기의 때다. 전쟁 혹은 전염병 시기다. 이유는 간단하다. 사람들이 평소 이상의 통제를 갈구하기 때문이다. 국가는 신나게 자원을 징발하고 치안을 강화한다.

 

페스트 창궐 당시 프랑스 정부가 펴낸 페스트 행정 매뉴얼페스트가 발생하면 국가는 ^통금 실시 ^위반자 사형 ^유기묘 및 유기견 살처분 ^주택 열쇠 국가 관리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규정했다. 이런 상황에서는 오가작통(五家作統) 같은 상호 감시 시스템이 도입되기 십상이다. 오가작통은 춘추전국 시대를 거쳐 진나라 성립까지 중앙권력이 강화되는 과장에서 도입된 것으로 알려진다. 요즘 ()파라치가 기승이라고 한다. 상금을 노리고 5인 이상 모여 식사하는 장소만 찾아다니는 사람들이다. 우리 사회에도 이미 오가작통제가 작동 중인 셈이다.

 

매임을 끊고 자유를 얻기 위한 공자의 처방전은 성()이었다. 성은 자신에게 부과하는 가혹한 통제다. 제자 사마경(司馬耕)이 군자(君子)를 묻자 공자는 안으로 살펴 거리끼지 않으면, 무엇을 근심하고 무엇을 두려워하랴(內省不疚 夫何憂何懼)?”고 답한다. 못난 사람을 보면 자기에게도 이런 못남이 있지 않나 자성하라(見不賢而內自省也)는 말도 했다.

 

엔트로피는 시간이 흐를수록 에너지가 낮아져서 질서에서 무질서로, 부패로, 붕괴로 이어진다는 열역학 제 2법칙이다. 김영길 전 한동대 총장은 여기에 반기를 들었다. 생명체 내에선 에너지가 생성되고 흥왕하는 쪽으로 변한다고 말한다. 깨짐에서 복원으로, 다툼에서 화해로, 분열에서 화합으로 나간다는 얘기다. 김 전 총장은 이를 ()트로피라고 불렀다. 하나님의 사랑을 간직하면 사람은 엔트로피를 넘어 신트로피로 나갈 수 있다는 주장이다.

 

세상의 악을 어찌 일일이 상대할 것인가. 스스로를 살피면() 내가 변하고, 변한 마음으로 이웃을 대하면 그들도 변할 것이다. 새해다. 내가 먼저 매임에서 풀려나자. 그리고 우리를 자유케 하자.

 

<원문출처>

경북일보 https://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65266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0686

'이응복 픽' 김남희, '도깨비' 단역→'미션' '스위트홈' 까지 괴력배우의 등장 file

2020년 연말 넷플릭스 최고 화제작으로 떠오른 한국형 크리쳐물 '스위트홈' 시즌1의 실질적 주인공은 김남희(34)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듯 하다. 옆집 남자1, 행인2의 얼굴을 가진 김남희는 정재헌이라는 '평범함 속에 ...

성봉근 서경대 교수, ‘국외 소재 우리 문화재 효율적 활용 방안’ 주제로 국회서 열린 정책 토론회서 ‘선(先)전시 후(後)환수‘ 해결책 제시 file

토론회 포스터 최근 국민의 문화 수준이 높아지면서, 해외에 흩어져 있는 우리 문화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해외 우리 문화재’를 즉각 환수해야 한다는 게 국민의 여론이지만, 외교적 정치적인 문제가 복잡하게 얽...

[진세근 서경대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 : 漢字, 세상을 말하다] 所望<소망> file

“우리의 所願(소원)은 통일, 꿈에도 所願은 통일.” 한자세상 지금은 거의 들을 수 없지만 1960~70년대 행사에서 자주 불렸던 ‘우리의 所願’이란 노래 가사다. 所願이, 간절하지만 이루기 힘든 목표를 상정하는 느낌이라면 所...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과 학부 · 대학원 재학생, 3개 국내외 유수 무용경연대회에 참가해 ‘대상’ ‘금상’ ‘은상’ 등 최고상 잇따라 수상하는 등 큰 성과 일궈 file

장윤희, 장현순 학부생, 제5회 한가람 전국무용경연대회 참가 ‘대상’과 ‘금상’ 수상 권은지, 장윤희, 이슬, 김시진, 이주현, 장현순 등 학부생 6명, 제5회 국제춤축제연맹 아시아본부 전국무용경연대회' 참가 각각 ‘대상’과 ...

서경대, 2022학년도 학과 개편 및 학생정원 조정 file

- 2022학년도 신입생부터 적용 - ‘변화하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다’는 위기의식 속, 사회수요 및 시대요구 선제적 대응 - ‘대입 신입생 미달 쇼크’,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사회적 변화’ 추진 배경으로 작용 - 대학들, ...

[기고]아름다운 노년을 이끌 ‘2등주의’

인생은 흘러가는 것이 아니라 채우고 또 비우는 과정의 연속이라고 한다. 무엇을 채우느냐의 따라 가치가 달라진다. 이런 이유로 필자도 노년에 접어들었지만 매일 2개의 일간지를 정독하고 있다. 시시각각 변하는 사회문화 현상을...

서경 체육인들의 축제, 제2회 서경대학교 총장배 스쿼시대회 개최 file

9월 16일(일) 오전 9시~오후 5시 서경대 유담관 3층 서경스포렉스 스쿼시장서 182명의 동호인 및 생활체육인 참가해 열정과 환호 속에 진행돼 서경대학교가 주관하는 제2회 서경대학교 총장배 스쿼시대회가 지난 9월 16일(일) 오전...

인문대여! 고개를 들어라, 인문대의 반란 <2> 아동학과편 -을지로푸르니하나금융어린이집 김지연 원장 file

인문학의 사전적 정의는 ‘언어, 문학, 역사, 철학 등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그러나 인문학을 전공하는 사람이라면 “인문대는 취직이 안 된다.”, “인문학을 전공해서 어디에 쓸 수 있냐?”라는 이야기를 한 번쯤은 들었을 것...

[진세근 서경대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 漢字, 세상을 말하다] 轉嫁<전가> file

轉嫁는 대개 부정적 의미로 쓰인다. 자신이 마땅히 짊어져야 할 부담, 손실, 罪(죄) 등을 무고한 사람에게 돌리는 행위다. 당초는 再婚(재혼)하다는 의미였지만 요즘은 거의 쓰이지 않는다. 이기적이고 방어적인 인간 속성 때문에...

서경대 교육혁신센터, 새로운 형태의 혁신적인 교수법 개발 file

‘CREOS Enter 교육 모형’ 등 4개 모형, ‘학생 중심’ 수업이 특징 자발적인 수업 참여 유도…전공·교양 역량 높이고 CREOS형 실무역량 강화 위해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교육혁신센터(센터장 윤영란 교수)가 학생들의 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