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일러스트레이션.jpg


이즈미 지하루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jpg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 중인 한겨울 지나 봄 오듯세한(歲寒) 평안(平安)’ 특별전에 다녀온 후, 나는 세한도를 한때 소장했던 일본인 학자 후지쓰카 지카시(藤塚(,)·18791948)에 대해 흥미를 갖게 됐다.

 

전시는 지난해 손세기 선생의 장남 손창근 선생이 세한도를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한 경사를 기념해 열렸다. 길이 15m나 되는, 온전히 펼쳐진 세한도두루마리 전체를 볼 수 있는 귀중한 기회다. ‘세한도1844년 제주에 유배 갔던 당시 58세의 추사 김정희(17861856)가 한결같이 귀한 서적을 중국에서 구해준 역관(譯官) 이상적(李尙迪)에게 고마운 마음을 담아 붓을 든 서화다. 이 작품이 그려진 지 176년 만에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게 된 경위도 그려진 사연만큼이나 우여곡절이 많다.

 

전시장 일각에 김정희의 학문을 계승한 송백(松柏)의 마음을 지켜간 후학코너에 후학의 한 사람으로 후지쓰카가 소개되어 있어 걸음을 멈췄다. 후지쓰카는 도쿄제국대에서 중국철학을 공부한 학자로 19261940년 경성제국대에서 중국철학 교수로 재직했다. 특히 그는 연구 과정에서 알게 된 김정희에 천착해 김정희 연구의 일인자로 손꼽혔다. 193658세에 조선조에서 청조 문화의 이입과 김완당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 논문은 사후인 1975년 아들이 편집해 출판했고, 2009년 한국의 추사연구회에 의해 한글완역본이 나와 김정희에 대한 연구 보급에 일조하고 있다.

 

명지대 교수였던 미술사학자 유홍준 선생은 후지쓰카에 대해 나는 이국의 학자가 이국의 옛 학예에 이토록 절절한 존경을 보내면서 진실되고 열정적인 연구로 일생을 살아간 사실 자체에 깊은 존경과 함께 놀라움과 고마움과 두려움을 동시에 느끼게 된다고 말했다.

 

후지쓰카는 수많은 연구자료 수집으로도 이름을 떨쳤다. 그가 수집한 자료 중에 세한도가 있었다. ‘세한도의 표지를 쓰고 소장했던 김학준의 아들 김상준으로부터 19세기 역관들의 시문과 편지 등 일괄자료를 구입했고, ‘세한도는 당시 권력과 재력을 지녔던 민영휘가 소장하던 것을 경매를 통해 얻었다고 한다. 그는 경제적으로 풍족했지만 이런 자료수집 때문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다고 한다.

 

후지쓰카가 일본으로 귀국한 뒤 1944년 조선의 서예가 손재형은 그의 집을 무작정 찾아가 세한도를 청했다. 이후 두 달간 하루도 거르지 않고 방문했다. ‘세한도에 대한 후지쓰카의 사랑은 남달랐다. 1939년 자신의 회갑을 기념하며 100부를 영인해 자필서명하고 지인들과 세한도의 정신을 함께 나눌 만큼 각별했다. 그런 그가 자신을 찾는 손재형의 모습을 보며 송백과 같은 시들지 않는 마음을 읽은 듯 내가 세한도를 다시 조선으로 보내는 것은 조선의 문화재를 사랑하는 성심에 감탄함이요, 둘째로는 그대가 이것을 오래오래 간직하리라 믿기 때문입니다. 더구나 우리는 그분(김정희)을 사숙한 동문 아닙니까라고 얘기하며 아무 조건 없이 내줬다고 한다.

 

그리고 60여 년이 지나 2006년 그의 아들 후지쓰카 아키나오(藤塚明直·19122006) 선생은 아버지가 모은 추사의 친필 20여 점과 당대의 자료 2700여 점을 모두 경기 과천시에 기증했다. 아버지와 같이 아무런 대가를 요구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연구비로 200만 엔(당시 환율 기준 약 1600만 원)의 격려금을 함께 전달했다. 이렇게 추사의 친필 묵서와 연구자료들이 한국에 오게 됐고, 공적인 기관인 과천 추사박물관에 소장되며 연구를 위해 공개할 수 있게 됐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은 코로나19로 임시 휴관 상태다. 이 특별한 전시를 다시 관람할 날을 기다리며 한국 국내에서 구할 수 있는 후지쓰카 지카시와 그의 연구에 대한 자료를 찾아 고군분투하고 있다. 과천 추사박물관에도 가보았지만 아직도 내게는 그의 그림자조차 제대로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이 글을 준비하며 연구에 대한 진지한 태도, 맑은 정신을 가진 학자로서의 자세를 배울 수 있었다. 그의 진심이 지금까지 전해져 세한도를 온 국민이 만나 감동할 수 있게 일조했다. 이런 일본인이 있었다는 사실을 기억했으면 좋겠다.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일러스트레이션 출처>

권기령 기자 beanoil@donga.com

<원문출처>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10115/104931765/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2533

2022년 2학기, 도전해 볼 만한 대학생 공모전 및 대외활동 어떤 게 있을까? file

코로나 19 확산세가 줄어들고 있는 가운데 전면 대면 수업을 실시하는 2022학년도 2학기가 시작된 지도 2주일이나 됐다. 1학기를 만족스럽게 보낸 학우들은 2학기에도 열심히 학업과 자기계발을 할 것이고, 1학기에 아쉬움이 남은...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조성사업단, ‘2022 성북 캠퍼스타운 온라인 아카데미’ 2학기 참여 file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조성사업단, ‘2022 성북 캠퍼스타운 온라인 아카데미’ 2학기 참여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캠퍼스타운 조성사업단(단장 김범준)은 성북 클러스터 협력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2022 성북 캠퍼스타운...

서경대학교, 한국핀테크지원센터와 상호 교류 및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한국핀테크지원센터(이사장 변영한)와 8월 26일 상호 교류 및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핀테크산업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및 참여, 교육, 연...

서경대학교, 부천시청과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관리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추진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9월 7일(수) 오전 10시 부천시청 창의실에서,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세스코 등 관련기관 관계자 참석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부천시청(시장 조용익)과 9월 7일(수) 오전 10시 부천시청 창의실에서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

[서경대 카드뉴스] 공강시간 알차게 보내는법! file

논술우수자전형, 다양한 교육혁신 추진 file

[2023 대입수시 필승전략]  ‘홍익인간의 정신을 구현하고 인류공영에 이바지한다’는 건학이념 아래 설립된 서경대는 올해 창학 75주년을 맞았다. 서경대는 지(智), 인(仁), 용(勇)을 교육이념으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대입 내비게이션 2023 수시 특집] 실용교육의 새로운 대학모델로 자리매김 소프트웨어학과 정원 120명으로 늘어 file

서경대는 올해 융합대학에 아트앤테크놀로지학과와 스포츠테크놀로지학과를 신설했다. 사진은 본관 전경. 정한경 입학처장 서경대학교는 75년 전통의 명문사학으로 ‘실용이 최고의 가치’라는 기치 아래 실용교육의 새로운 대학...

[2023수시특집] 서경대 862명(65.8%) ‘확대’.. 논술우수자전형 신설 file

어학특기자 수능최저 변경..교과 38.4% '최대' 실기26.8% 서경대는 올해 수시에서 SKU논술우수자전형을 신설한다. 논술고사는 계열 구분 없이 공통 문제로 출제되며 국어/수학을 출제범위로 한다. 국어에서 9문항 내외, 수학에서 ...

‘폴링 월스 랩 서울 2022’ 개최...9월 17일(토) 오후 2시 한국외대서 오프라인 예선, 9월 7일까지 신청, 모든 전공분야 학생 참석 가능 file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주최하고 EURAXESS Korea, 주한 독일 고등교육 진흥원(DAAD)이 공동 주관하는 ‘폴링 월스 랩 서울(Falling Walls Lab Seoul 2022)’이 오는 9월 17일 오프라인 예선을 진행한다. 폴링 월스는...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코로나 이후 일본에서 인기 높아진 한국 식품[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오늘 저녁은 비빔밥!” 지난여름, 일본의 친정집에서 만 88세 된 어머니가 미리 주문한 ‘비빔밥 세트(ビビンバ정セット)’를 꺼내며 말했다. 나는 좀 불만스러운 표정으로 “2년 반 만에 왔는데 한국 음식?”이라고 투덜댔...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