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일러스트레이션.jpg


이즈미 지하루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jpg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 중인 한겨울 지나 봄 오듯세한(歲寒) 평안(平安)’ 특별전에 다녀온 후, 나는 세한도를 한때 소장했던 일본인 학자 후지쓰카 지카시(藤塚(,)·18791948)에 대해 흥미를 갖게 됐다.

 

전시는 지난해 손세기 선생의 장남 손창근 선생이 세한도를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한 경사를 기념해 열렸다. 길이 15m나 되는, 온전히 펼쳐진 세한도두루마리 전체를 볼 수 있는 귀중한 기회다. ‘세한도1844년 제주에 유배 갔던 당시 58세의 추사 김정희(17861856)가 한결같이 귀한 서적을 중국에서 구해준 역관(譯官) 이상적(李尙迪)에게 고마운 마음을 담아 붓을 든 서화다. 이 작품이 그려진 지 176년 만에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게 된 경위도 그려진 사연만큼이나 우여곡절이 많다.

 

전시장 일각에 김정희의 학문을 계승한 송백(松柏)의 마음을 지켜간 후학코너에 후학의 한 사람으로 후지쓰카가 소개되어 있어 걸음을 멈췄다. 후지쓰카는 도쿄제국대에서 중국철학을 공부한 학자로 19261940년 경성제국대에서 중국철학 교수로 재직했다. 특히 그는 연구 과정에서 알게 된 김정희에 천착해 김정희 연구의 일인자로 손꼽혔다. 193658세에 조선조에서 청조 문화의 이입과 김완당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 논문은 사후인 1975년 아들이 편집해 출판했고, 2009년 한국의 추사연구회에 의해 한글완역본이 나와 김정희에 대한 연구 보급에 일조하고 있다.

 

명지대 교수였던 미술사학자 유홍준 선생은 후지쓰카에 대해 나는 이국의 학자가 이국의 옛 학예에 이토록 절절한 존경을 보내면서 진실되고 열정적인 연구로 일생을 살아간 사실 자체에 깊은 존경과 함께 놀라움과 고마움과 두려움을 동시에 느끼게 된다고 말했다.

 

후지쓰카는 수많은 연구자료 수집으로도 이름을 떨쳤다. 그가 수집한 자료 중에 세한도가 있었다. ‘세한도의 표지를 쓰고 소장했던 김학준의 아들 김상준으로부터 19세기 역관들의 시문과 편지 등 일괄자료를 구입했고, ‘세한도는 당시 권력과 재력을 지녔던 민영휘가 소장하던 것을 경매를 통해 얻었다고 한다. 그는 경제적으로 풍족했지만 이런 자료수집 때문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다고 한다.

 

후지쓰카가 일본으로 귀국한 뒤 1944년 조선의 서예가 손재형은 그의 집을 무작정 찾아가 세한도를 청했다. 이후 두 달간 하루도 거르지 않고 방문했다. ‘세한도에 대한 후지쓰카의 사랑은 남달랐다. 1939년 자신의 회갑을 기념하며 100부를 영인해 자필서명하고 지인들과 세한도의 정신을 함께 나눌 만큼 각별했다. 그런 그가 자신을 찾는 손재형의 모습을 보며 송백과 같은 시들지 않는 마음을 읽은 듯 내가 세한도를 다시 조선으로 보내는 것은 조선의 문화재를 사랑하는 성심에 감탄함이요, 둘째로는 그대가 이것을 오래오래 간직하리라 믿기 때문입니다. 더구나 우리는 그분(김정희)을 사숙한 동문 아닙니까라고 얘기하며 아무 조건 없이 내줬다고 한다.

 

그리고 60여 년이 지나 2006년 그의 아들 후지쓰카 아키나오(藤塚明直·19122006) 선생은 아버지가 모은 추사의 친필 20여 점과 당대의 자료 2700여 점을 모두 경기 과천시에 기증했다. 아버지와 같이 아무런 대가를 요구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연구비로 200만 엔(당시 환율 기준 약 1600만 원)의 격려금을 함께 전달했다. 이렇게 추사의 친필 묵서와 연구자료들이 한국에 오게 됐고, 공적인 기관인 과천 추사박물관에 소장되며 연구를 위해 공개할 수 있게 됐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은 코로나19로 임시 휴관 상태다. 이 특별한 전시를 다시 관람할 날을 기다리며 한국 국내에서 구할 수 있는 후지쓰카 지카시와 그의 연구에 대한 자료를 찾아 고군분투하고 있다. 과천 추사박물관에도 가보았지만 아직도 내게는 그의 그림자조차 제대로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이 글을 준비하며 연구에 대한 진지한 태도, 맑은 정신을 가진 학자로서의 자세를 배울 수 있었다. 그의 진심이 지금까지 전해져 세한도를 온 국민이 만나 감동할 수 있게 일조했다. 이런 일본인이 있었다는 사실을 기억했으면 좋겠다.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일러스트레이션 출처>

권기령 기자 beanoil@donga.com

<원문출처>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10115/104931765/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0837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교수의 한국 블로그]한국 돼지, 일본의 멧돼지… 아무튼 복돼지! file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새로운 해가 시작됐다. 올해는 기해년(己亥年)으로 십이지의 마지막 동물인 돼지의 해다. 돼지저금통, 돼지꿈, 꽃돼지, 복돼지…. 한국에서 돼지는 ‘다산으로 재산을 불러...

한국헌법학회, 한국형 지방재정조정제도 학술 심포지엄

[천지일보=명승일 기자] 김관영·심상정 의원, 한국헌법학회(회장 고문현)가 주최하고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위원장 송재호)가 후원한 ‘한국형 지방재정조정제도 모색’ 학술 심포지엄이 최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 강당에서 ...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얼어붙은 정치 아래 흐르는 따뜻한 우정 file

“글들을 읽다 보면 한일 관계는 아무런 문제가 없고 좋기만 한 것 같지 않아요?” 8월 5일 공모작 합동심사 날, 어느 심사위원의 발언에 나머지 심사위원들은 모두 마스크로 가려져 반밖에 보이지 않는 서로의 얼굴을 보면...

서경대학교 ‘여름 코딩영재교실’ 열어 file

2017년 8월 7일~10일 4일간, 서경대 북악관 6층 컴퓨터과학과 실습실서 삼각산초교 4, 5학년 28명 참가···코딩과 소프트웨어 흥미 높이고 컴퓨팅 사고역량 배양 서경대학교 컴퓨터과학과(학과장 민미경)는 8월 7일(월)부터 8월 ...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서울의 흔적을 더듬다 file

나에게 서울에서 눈에 띄게 아름다운 곳은 한양도성이다. 특히 은은한 조명이 켜진 야경은 일품이다. 한양도성은 태조 5년인 1396년부터 조성하기 시작하여 600년 이상 수리를 거듭하며 지금까지 우리와 함께 지내왔다. 남산, 인...

여성 정치가·어머니였던 조선의 왕비…명성황후 평전 file

명성왕후 평전 조선을 망하게 한 권력의 화신. 시아버지 대원군과 권력투쟁을 한 여성. 일본의 칼에 생을 마감한 비운의 왕비. 몰락해가는 조선을 마지막까지 살려보려 헌신한 애국자. 명성황후(1851~1895)의 삶은 격동의 시...

[구병두 서경대 교수 교육칼럼] 노벨상 수상, ‘백약이 무효’인 이유 file

올해도 온 국민이 염원하는 노벨상수상자 명단에 우리나라는 그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이 노벨평화상을 수상한지 이십 성상이 다되어 가고 있지만 그 이후 과학상, 경제학상 그리고 문학상 부문에서 여태껏 수...

‘보컬플레이2’ 서경대 염지호, 자작곡 ‘떠도는 말’ 열창…훈훈 비주얼 file

서경대 테리우스 염지호의 무대가 공개된다. ‘보컬플레이2’에서 서경대학교 학생 염지호가 러브송을 선보인다. 채널A의 대학생 뮤지션 발굴 프로젝트 ‘보컬플레이: 캠퍼스 뮤직 올림피아드(이하 ‘보컬플레이2’)’제작진은 17일 ...

[바이오연료 릴레이 발언대②] 김기은 서경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교수 file

"정부, 국가경쟁력 위해 바이오연료 확산기반 구축해야" 폐식용유 바이오디젤, 완벽하고 모범적인 순환경제의 예 김기은 서경대 교수 장마가 거세다. 올해 여름 장마가 예년보다 유독 길게 이어지면서 비 피해가 쉼없이 발생하고 있...

[반성택 서경대 교수 칼럼: 디지털인문학] 이제 `SKY캐슬` 너머를 보자 file

반성택 서경대 철학과 교수 반성택 서경대 철학과 교수 1년 전 평창 올림픽을 기점으로 한반도 분위기는 달라져 있다. 여전히 조심스러운 판세이기는 하나, 평창 올림픽 이전으로 되돌릴 수 없는 시점인 것은 분명하다. 북핵의...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