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권재욱 서경대 특임교수.jpg


여기 세 아이가 있다. 정직한 아이와 착한 아이, 그리고 예쁜 아이, 이 세 아이들 중 누가 더 많은 사랑을 받을까? 예쁜 아이, 착한 아이, 정직한 아이 순에 대다수가 동의할 것이다. 풋풋한 젊은이 셋을 두고 순위를 매긴다면 어떨까? 근소한 차이로나마 착한 청년, 잘 생긴 청년, 정직한 청년 순서가 아닐까?


그럼, 중년 이상의 성인들을 줄 세운다면? 아마도 정직한 사람, 착한 사람, 그 다음에 아름다운 사람이 오지 싶다. 어른들의 각종 경선에서 일등 이등 삼등 대신에 진(), (), ()로 갈음하는 경우가 많은 것을 봐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진이 성격이나 언행에서는 정직으로 나타나고, 선은 착한 태도로 나타나는 것을 이해하자.

먼저 아이들의 경우 그들의 말이나 행동이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이 아주 미미하므로 그저 보기에 좋은, 예쁘면 족하다. 다음으로 말 잘 듣고 온순한 아이가 귀여움을 받을 것이고, 거짓말을 조금 하는 것은 오히려 재미있는 애교점이니, 정직성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 젊은이들의 경우는 좀 복잡하다. 그들에게 어떤 덕성이 더 이목을 끄는 요소가 될지는 보는 사람들의 입장이나 기대치에 따라 선호가 많이 달라질 것 같기 때문이다. 사랑의 쓴 경험이 없는, 또래의 청춘에게는 아름다움이 우선일 것 같고, 세상 물정을 조금은 아는 사람이라면 착한 면을 높이 사지 않을까. 사회나 가정에서 착한 것만큼 두루 칭송되는 것은 없다. 선함은 부끄러움을 아는 마음과 가까우며 배려심과 이웃하고 있고 겸손하기까지 하니까. 이러니 착한 청년이 잘 생긴 청년보다 조금 앞설 것 같지 않은가. 정직함도 중요한 인성이기는 하나 그가 여러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위치에 있지 않는 한 선에게 살짝 밀리지 싶다. 바람을 피우고 거짓말 하는 배우자(不正直)’보다 바람을 피운 그 자체(非行)’가 더 싫은 것이 젊은 인정이 아닌가.


성인들, 크거나 작으나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끼치며 살아 갈 수밖에 없는 성인의 경우는 깊은 고민 없이 진()이 으뜸이다. 진리, 참됨, , ()에서부터 정직, 정의, 공정함까지가 모두 진의 영역이다. 자연의 원리가 진리이고 사회를 지탱하는 받침대가 공정이다. 자연과학은 물론 기독교, 불교, 유교를 비롯한 각종 종교와 철학, 윤리, 법률 등 모든 인문 사회과학 분야에서 진리 또는 정의를 최고의 가치로 내세우는 소이(所以)이다.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 “이 세상이 그렇게 되게끔 되어 있는 것, 그것이 법이다” “오늘 도를 깨치면 내일 죽어도 좋다” “기회는 균등하고, 과정은 공정하며, 결과는 정의롭게!”


지금까지 인류가 받아 든 그 많은 교훈 중에서도 가장 앞자리를 차지한 것은 모두 진 또는 정의에 관한 언급이었음이 그것의 가치를 입증한다. 문제는 진리와 정의가 종종 피를 부른다는 것이다. 그것을 믿는 이들에게는 최고의 진리인 성경과 코란의 이름으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어야 했던가.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피의 보복과 전쟁들은 하나같이 정의의 깃발 아래 자행된다. 진이 세상을 존재하게 하고 구색을 갖추게 하는 틀이라지만 믿을 게 못된다.


우리 사회도 으뜸 덕인 진실과 정의를 두고 몸살을 앓고 있다. 진실이 교언과 뻔뻔함에 묻혀지고 공정이 사술에 휘둘리고 있다. 어쩌면 사람이 저럴 수 있을까? 참으로 염치가 없다. 사람은 거창한 진실이나 정의보다 우선 착하게 사는 일이 먼저라는 사실을, 남의 기회를 가로채거나 특별 대우를 바라지 않는 것이 기본이라는 것을 깨닫는다. 착한 사람은 양심이라는 깨끗한 거울이 늘 앞에 버티고 있어 속 검은 짓을 할 수가 없다.


그런 중에 미, 곧 아름다움이 말석인 것은 유감이다. 이맘때면 생각나는, 달빛 아래 메밀꽃에 대한 이효석의 숨 막히는 문장, 외로운 가슴을 적시는 쇼팽의 즉흥 환상곡그리고 꿈결인 양 일렁이는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과 같은 위대한 예술이 선사하는 감동과 위로를 생각해 보라.


진실과 공정을 논하는 곳에는 싸움이 있으나 아름다움이 있는 곳엔 화합이 있다. 진과 선이 지배하는, 건조하고 재미없는 세상에 보기좋고 듣기 좋고 느끼기 좋은 것들로 촉촉히 스며들어서 사는 행복을 알게 해주는 참 좋은 친구인데, 억울하게도 조연 대접밖에 못받고 있다.


그렇더라도 아름다움이 진실을 두고 벌이는 싸움을 말리지 못하니 선함이 나설 수 밖에 없다. 남에게 해가 되는 일을 하지 않는 것이 선의 최소한이고, 어려운 이웃을 도와주는 것이 선의 중간이며, 타인을 위해 희생할 줄 아는 것이 최선이다. 예수는 인류를 위해 십자가에 매달림으로써 최고의 선을 이루었다. 그리하여 길이 되고 진리가 되었다. 싸움 많은 이 세상은 정의롭게 사는 것보다 착하게 사는 것이 우선이다. 착하게 살 일이다.

 

<원문출처>

e대한경제: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010070958589420685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2561

[모델의 아틀리에: 김태연 외전] 슈퍼모델의 자긍심…“내 이름(My Name)” file

“‘나는 김태연이다’ 이 문장을 자서전의 첫 페이지로 장식하고 싶어요.” 국내최고의 엘리트패션모델 등용문은 자타공인 SBS엘리트슈퍼모델선발대회이다. 가끔 명칭이 바뀌지만 ‘슈퍼’ ‘모델’이란 이 두 키워드는 변경 불가다...

[미래 국방, 대한민국이 선도한다] 군사학사와 일반학사 2개 학위 수여…다양성 갖춘 전문장교 양성 file

서경대학교 군사학과 서경대 군사학과는 군 장교 및 군사전문가를 양성하는 민간사관학교다. 학생 전원이 적성에 따라 육·해·공군이나 해병대 장교로 임관한다. 미래 전쟁의 양상은 첨단 무기체계와 네트워크가 결합된 과학기술 전...

전규열 서경대 교수 “건보료 기준 재난지원금, 코로나19 피해 빠져 맹점…하우스푸어 고액자산가는?” file

*앵커: 배재수 사회부장 *출연: 전규열 서경대 경영학부 교수 *프로그램: BBS뉴스파노라마 [인터뷰 오늘] 긴급재난지원금, 한은 양적완화 시행 [배재수 앵커] 전문가분과 함께 이슈를 분석해보는 인터뷰 오늘 시간입니...

[모델의 아틀리에 3편] 김태연⑤ “패션유토피아-나의 별을 찾아서” file

슈퍼모델 김태연은 별을 찾는 방랑자다. 별들이 잠긴 저 은하수, 어딘가 있을 패션유토피아로 이끌 나의 별을 꿈꾼다. ■ 모델이 옷에 생명을 불어넣기 위한 조건 ▲ 패션모델 김태연은 모델의 화려한 스킬에 앞서 기본기를...

‘인서울’ 대학 학생부교과전형은 바늘구멍? “오히려 전략적 선택지” file

동아일보DB 이른바 ‘인서울’로 불리는 서울 소재 대학의 경우 수시 학생부교과전형으로 선발하는 인원이 적은 편이다. 이들 대학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이 학생부교과전형보다 수시 학생부종합전형 또는 정시 수능 위주 전형에 ...

학생부교과 많이 뽑는 `IN서울`은?

서경대, 836명중 627명 선발 고려대, 758명 늘려 1158명 모집 대학마다 성적산출 방법 달라 대학별 점수 유불리 따져봐야 서울권 대학 진입을 희망하는 수험생이라면 학생부교과전형에 주목할 만하다. 서울권 대학의 학생부교과전형...

서경대학교 영화영상학과 오현도 학우 외 3명의 출품작 <주희에게> 제21회 전주국제영화제 한국단편경쟁부문 진출…오현도 감독 등 제작진 인터뷰 file

서경대학교 영화영상학과 오현도 학우 외 3명의 출품작 <주희에게>가 제21회 전주국제영화제 한국단편경쟁부문 본선에 진출했다. 제21회 전주국제영화제 집행위원회는 지난달 서경대학교 영화영상학과 오현도 학우 외 3명의 작품 <주...

권재욱 서경대 특임교수 칼럼:[시론] 풀잎이 바람에게 전하는 말 file

권재욱 특임교수 거친 봄바람에 풀이 눕는다. 바람의 세기가 여린 풀잎이 버티는 힘보다 세기 때문이다. 바람이 지나가면 풀은 다시 일어선다. 바람은 잠시 스쳐 지나가지만 풀잎은 계속 생명을 이어가야 하기 때문이다. 살...

온라인 강의로 바뀐 대학가 file

서경대학교 전경 코로나19 확산으로 대학가가 대면수업 시작일을 다시 한 번 연기하고 있다. 상당수의 대학들이 5월 이후로 대면수업 개시일을 연장하거나 아예 한 학기 전체를 온라인 강의로 대체하겠다는 학교도 생겨나고 있다...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2020 콘텐츠 창의인재동반사업 창의교육생(시나리오 작가) 모집 file

영화 <백두산>, <암수살인>, <불한당: 나쁜 놈들의 세상>, <아이 캔 스피크>, <변신>, <리틀 포레스트>, <수상한 그녀> 등 흥행영화 제작자 및 프로듀서 군단, 최강 멘토진으로 참여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 김영준)과 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