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서경대 권재욱 특임교수.jpg

권재욱(서경대 특임교수)


대개 모든 인연은 우연이거나 의지에서 시작된다. 원하던 것은 아니나 뜻하지 않은 순간 찾아든 인연이 있는가 하면, 원하는 것을 위해 피와 땀으로 만든 인연이 있다. 인연은 아름다운 과정이거나 의미 있는 결실이다. 그것은 선한 사람일 수도 있고 귀한 기회일 수도 있으며 부귀와 권세 같은 세속적 위치일 수도 있다. 우연히 찾아든 길손 같은 만남을 정성으로 맞아들이고 사랑으로 갈무리하면 인연이 된다. 애써 궁리하거나 한 걸음 한 걸음 밟아 나가 드디어 쟁취하는 인연도 있다. 전자 쪽에 가까우면 소극적인 사람이라 하고 후자 쪽 취향이면 적극적인 사람이라 편하게 부른다.

 

뜻밖의 조우(遭遇)이든 의도된 길에서든 작은 아름다움도 의미도 발견할 수 없을 때, 우리는 인연이 아니라고 말하는데, 기껍지 않은 인연, 피하고 싶은 인연, 곧 악연이다. 하지만 아주 나쁘지만 않으면 그것도 인연이라 부른다. 사람은 생존에 유리한 본능적 기제(機制)로 인해 지나간 일에는 어진 누님처럼 너그러워지기 때문이다. 인연인가 아닌가는 그리움에 달려 있다. 세월이 흐른 뒤 뒤돌아 보았을 때 그리움으로 남아 있으면 그것은 인연이다. 기억의 창고, 저 어두침침한 구석에 넣어 두고 다시는 꺼내 보고 싶지 않은 사연이면 그건 악연이다. 그저 잊어버리고 싶은 흉물 같은 것이다.

 

모임 중에 가장 허물 없고 언제나 흔쾌한 자리는 초등학교 동창회다. 우등생이던 철이도 꼴찌를 헤매던 석이도, 지주 딸 순이도, 도시락도 못 싸오던 혁이도, 모두 모두 달려 나와 그 시절의 건강한 유치함 속에 풍덩 뛰어들어 시간 가는 줄 모른다. 그런데 유독 한 친구가 나오기를 꺼려 했다. 친구들이 보고 싶다며 꼭 나오라고 해도 애매한 답변으로 피하기 일쑤였다. 알고보니 어린 시절, 동네 제일 부자에 유지(有志)이던 아버지 위세를 등에 엎고, 아이들에게 휘두른 횡포 때문에, 그 죄책감 때문에 모임에 나오지 못한다는 것이었다. 우리에게는 그런 일들까지도 특별한 추억거리로 이미 그리움의 대상이 되었지만, 그는 여태껏 그 계면쩍음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었던 것이다.

 

어느 정도 살아보면 알게 된다. 남는 것은 그리움뿐이라는 것을. 참으로 나약하고 대책없는 단어, 그리움은 이런 저런 인연으로 만나고 어울리며 울고 웃다가, 못내 떠나 보낸 다음 찾아오는, 여름날 저녁의 으스름 같은, 강물에 비친 달빛 같은 것이다.

 

행복이나 사랑, 희생이나 정의 같은 인상 좋은 단어들, 그 의미 심장한 무게에도 불구하고 흔들리지 않는 것은 없으니, 쉽게 떠나 가나니, 떠나 온 뒤엔 에우리디케를 애타하는 오르페우스처럼 결국은 돌아보고야 마는 애틋한 마음, 그곳이 그리움의 어깨이다. 그리움의 어깨는 인상 나쁜 말(言語)들에게도 빌려 준다. 빈곤, 아픔, 번민, 갈증, 외로움 등 두 번 다시는 맞닥뜨리고 싶지 않은 경험조차도 영원하지 않음은 마찬가지이니, 지나고 나면, 지나고 새로운 계곡에 접어들면, 그때 보이기 시작한다. 아련한 재회의 설렘으로. 그러나 안다. 다시는 같은 감정에 물들 수 없음을. 그래서 그리운 거다. 그러니 모든 지나간 것은 그리워진다.

 

지나고서 그립지 않은 것이 있기는 하다. 다른 사람을 힘들게 한 업보(業報)가 그렇다. 타인을 모함하거나 괴롭히거나 고통을 준 경우이다. 사람이 존엄한 것은 너와 내가 다르지 않으니, 사람이 사람을 힘들게 하는 일만큼 씻을 수 없는 죄는 없다. 스스로 아파하고 홀로 외로워하며 더불어 곤궁한 것은 지나가면 그리워지지만, 누구를 아프게 하고 너를 왕따시키며 나의 탐욕을 주체하지 못해 그를 모욕하였다면, 아무리 뻔뻔한 인간이라도 그런 일은 다시 생각해 내고 싶을 리가 없다. 많은 시간이 흐르고 교묘한 언사와 화려한 수사로 치장하여도 부끄러움으로 남을 뿐, 때로는 죽음으로도 다 갚을 수가 없다.

 

그리움은 그런 것이다. 사람의 선한 삶은 모두 그리움으로 각색된다. 우정도 미움도 배려도 질투도 모두 그리움으로 승화된다. 그대가 부딪치는 높은 파고도 내가 감내하는 숱한 정서도 그러하니, 우리가 살아간다는 것은 그리움을 쌓아가는 일이다. 우연에서 시작된 만남이든, 착한 의지와 나비의 날개짓 같은 행운으로 입은 인연이든, 삶의 곳간을 그리움으로 아름답게 채워가는 일이다.

 

살면서 듣게 될까/ 언젠가는 바람의 노래를/ 세월 가면 그때는 알게 될까/ 꽃이 지는 이유를/ 나를 떠난 사람들과 만나게 될/ 또 다른 사람들/ 스쳐가는 인연과 그리움은/ 어느 곳으로 가는가소향이 부르는 바람의 노래가 빗물에 젖어 애잔하다. 그래 나의 한 마디 말과 한 걸음의 발자국에 그리움이 고이게 하자. 그것이 어디로 가는지는 알 수 없으나,


<원문 출처>

건설경제신문 http://www.cnews.co.kr/uhtml/read.jsp?idxno=202008101807124390910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2372

서경대학교 예순 아홉번째 졸업사진 촬영 행사 진행 file

5월 17일, 18일 이틀간 졸업예정자 대상…액자 제작, 개인 앨범도 만들어 그들의 장도 축하하고 꿈과 미래 응원 서경대학교에서는 2018년 5월 17일부터 18일까지 이틀간에 걸쳐 졸업을 앞둔 학생들의 졸업사진 촬영이 있었다. 17...

‘서경대 사람들’ 인터뷰: 김한림(서경대학교 예술대학 영화영상학과 4학년) 군의 ‘러시아 여행기’

어릴 적 꿈이었던 ‘해외 원정 월드컵 직관 가기’ 결행 국제비즈니스어학부 노어전공 잔나 교수의 도움으로 본교와 교류협력 관계 맺고 있는 라네파 아카데미도 방문 러시아 로스토프 등 여행하며 다양한 경험 쌓아 하계 방학...

인문대여! 고개를 들어라, 인문대의 반란 <1> 아동학과 편 - 지예슬어린이집 김지은 원장 file

인문학의 사전적 정의는 ‘언어, 문학, 역사, 철학 등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그러나 인문학을 전공하는 사람들이라면 “인문대는 취직이 안 된다.”, “인문학을 전공해서 어디에 쓸 수 있냐?”라는 이야기를 한 번쯤은 들었을 ...

공부와 취업, 한 번에 잡는 ‘슬기로운 대학생활’ 기획시리즈 <13> 미용예술대학 뷰티테라피&메이크업학과 편 file

코로나 19 확산 여파로 온라인 수업이 장기화 되면서 오랫동안 학교에 나오지 못하고 있는 학생들이 그동안 정상적인 대학생활에서 누리던 전공 관련 학습 노하우나 진로 및 취·창업에 도움이 되는 정보 등을 접할 수 없어 어...

[구병두 서경대 교수의 교육칼럼] 저출산 문제, 그대로 둘 것인가? file

서경대학교 인성교양학부 교수 (사)한국빅데이터협회 부회장 우리나라는 이 지구상에서 출산율이 가장 낮은 나라 가운데 하나지만 한 때는 다산(多産)국가였다. 이는 산업화가 시작되었던 1960년대만 하더라도 출산율이 6.20명이었다는...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 뷰티테라피&메이크업학과, 국내 최대 규모의 미용성형 전문기관인 아이디병원과 산학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 뷰티테라피&메이크업학과(학과장 김은숙 교수)는 2월 4일(목) 오전 11시 교내 유담관 5층 뷰티아트센터에서 국내 최대 규모의 미용성형 전문기관인 아이디병원(병원장 박상훈)과 산학협력을 위한 업무협...

㈜에듀넷·서경대학교 아동학과 ,간접실습 지원을 위한 MOU체결 file

보육교사 온라인특별직무교육기관 에듀케어아카데미에서 운영하고 있는 ㈜에듀넷은 지난 9일 서경대학교 아동학과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관계자에 따르면 이번 협약은 보건복지부의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보육교사 양성교육...

[LCB 윈터] 8강 대진 확정! 겨울 LoL 최강 대학 팀 타이틀은 누구에게? file

11일 성신여대입구역 세븐 PC방에서 라이엇 게임즈가 주최하고 인벤이 주관하는 '2018 리그 오브 레전드 대학생 배틀(이하 LCB) 윈터' 32강/16강 경기가 진행됐다. 치열한 승부 끝에 본선 8강 대진이 정해졌다. 32강/16강 경...

최영철 서경대 총장 “실용학문의 ‘요람’ 서경대, ‘실패 교육’으로 미래 인재 키운다” file

서울 성북구 서경대 총장실에서 최영철 총장이 실용학문에 특화된 글로벌 중심대학으로 가기 위한 ‘서경비전 2025’를 설명하고 있다. 김경제 기자 kjk5873@donga.com 《1947년 최초 정규 야간 4년제 대학인 한국대로 출발한 서경...

서경대학교 미래국방기술창업센터, 외국군교환장교협회 한국지부와 파트너십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11월 13일(금) 오후 7시 서경대 유담관 세미나실서 서경대학교 미래국방창업센터(센터장 조동연)는 11월 13일(금)오후 7기 교내 유담관 세미나실에서 외국군교환장교협회 한국지부 (지부장 Jacob kim)와 파트너십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