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권재욱 교수.jpg

서경대학교 권재욱 특임교수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붉은색, 장미꽃의 화사함은 꽃자루에 붙어 있는 가시로 인해 훼손되지 않는다. 황량한 사막은 그 어디메쯤에 신선한 물과 야자수와 과일을 품고 있는 오아시스가 빛나도 그냥 사막일 뿐이다.

 

태풍이 불면 피해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하지만 태풍은 적도 지방의 열기를 완화시키고 지역별 강우량을 조절하며, 바닷속 퇴적물을 휘저어 플랑크톤을 끌어올려 분해시킴으로써 바다 생태계를 활성화시키기도 한다. 그렇다고 우리는 태풍에게 참 고맙다고, 자주 찾아와 달라고 하지 않는다.

 

우리가 잊고 있는 것 중에 세계 경제를 오늘날의 발전에까지 이르게 한 숨은 공로자가 있다. 기업과 자본주의의 성숙에 기여한 일등공신의 하나, 바로 복식 부기이다. 기술이 발달하고 회사 규모가 커지면서 복잡하고 다양한 활동과 성과를 어떻게 정리하고 인식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여간 어려운 숙제가 아니었다. 단순히 수입에서 지출을 뺀 잔액으로 살피던 금전출납장식 단식 부기로는 날로 증대하는 거래와 얽히고 설킨 경영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잘한 것은 무엇이며 어디에서 잘못이 있었는가? 향후 어느 부문은 피하고, 어느 방향으로 나아 갈 것인가? 이 문제를 쉽게 해결하게 해 준 것이 복식 부기이다.

 

복식 부기는 차변과 대변으로 구분하여 차변에는 재산 항목을, 대변에는 자산과 부채 항목을 기록하되 수익과 손실을, 업적과 과실을 서로 상쇄하거나 퉁쳐서 차감하면 안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경영활동과 재정상황을 있는 그대로 상세히 들여다볼 수 있음은 물론 일정 기간을 단위로 자기 검증이 가능하게 됐다.

 

장미와 사막을 볼 때처럼, 태풍을 생각할 때처럼 기업의 경영활동에 대해서도 잘한 것과 잘못한 것을 분별해 기록, 각각 사실 그대로 인식함으로써 오늘의 번영을 가능하게 했던 것이다. 자본주의의 발전 원인에 대해 깊이 연구한 경제학자 베르너 좀바르트도 복식 부기가 경영학과 경제학에서 가지는 중요성은 코페르니쿠스가 천문학에서 가지는 중요성에 견줄 수 있다고 했다.

 

그런데 왜 유독 사람에 대해서는 장점과 단점을, ()과 과()를 뭉뚱그려서 좋은 사람 아니면 나쁜 사람으로 결단 내는 것을 예사로 할까? 참으로 오묘하고 변덕스러우며 파고 또 파도 깊이를 알 수 없는 존재가 사람이 아닌가. 누구는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선하다 했고 누구는 악하다 했다. 지구의 생명붙이 중에서 오로지 선한 존재는 없으며 전적으로 악하기만 한 생명도 보지 못했다. 사람은 더욱 그렇다. 애국자가 매국노가 되기도 하며, 방탕에 침몰하던 이가 만인이 우러러보는 위인이 된 예도 흔하다.

 

어느 철인은 자연이 그러하듯 인간도 원래는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다며, 그저 자신과의 이해관계에 따라서 누구는 선하다 하고, 또 누구는 악하다고 한다고 했다. 그가 행한 일보다 훨씬 좋은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면 그로부터 무슨 이익을 얻었는가 살펴볼 일이다. 그가 저지른 일보다 혹독하게 비난하고 있는 자신이 보이면 그가 나의 심기를 불편하게 한 일은 없었는지 돌아볼 일이다. 살펴보고 돌아 보아도 별 일이 없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십중팔구는 그를 단식 부기 방식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과거의 업적으로 지금의 과오를 덮어버리거나, 과거의 잘못으로 지금의 선행을 감해버린 것은 아닌지 확인해 볼 일이다.

 

사람을 바로 보기 위해서도 복식 부기가 필요하다. 그가 잘한 일은 잘한 일대로 샅샅이 기록하여 상을 주고, 잘못한 일은 또 그대로 낱낱이 밝혀 내어 벌을 주어야 한다. 잘한 일은 널리 알려 본받게 하고, 나쁜 일은 엄히 다스려 다시는 그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세종대왕은 지금의 능력과 인품을 보고 자신의 세자책봉에 반대하다 유배까지 갔던 황희를 기용했고, 제갈공명은 가정(街亭) 전투에서 군령을 어겨 패한 마속을 그간의 전공을 봐서 참형만은 면하게 해 달라는 여러 참모들의 간언에도 불구하고 눈물을 흘리며 목을 벴다.

 

우리 헌법도 과거의 공적으로 이후의 과실을 함부로 상쇄시키지 말 것을 선언하고 있다. 헌법 제113항은 훈장 등의 영전은 이를 받은 자에게만 효력이 있고, 어떠한 특권도 이에 따르지 아니 한다고 명시, 국가 유공자에게 수여하는 훈장과 포장조차 과거의 업적에 대한 칭찬이자 명예일 뿐, 그 외 특별한 신분이나 자격 또는 권리도 인정되지 않음을 분명히 하고 있다.

 

기업과 자본주의가 복식 부기 덕에 발전했듯이 우리도 사람을 평가할 때 복식 부기 식으로, 공은 공대로, 과는 과대로 평가하면 훨씬 더 공정한 사회가 되지 않을까. 석양이 비끼는 산길에 유월의 장미가 현란하다. 꽃의 유혹에 손을 내밀다 가시에 찔리고 만다. 아프다. 장미는 여전히 아름다우나 가시에 찔린 손이 더욱 아려온다.

 

권재욱(서경대 특임교수)

 

<원문 출처>

건설경제 http://www.cnews.co.kr/uhtml/read.jsp?idxno=202006031734464930023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1786

[청년발언대] 화물연대는 왜 파업 했나 file

▲ 청년서포터즈 6기 박세본 [서경대학교 산업경영시스템공학과 4학년] 지난해 11월 17일 화물 연대가 2차 총파업을 실시했다. 같은 해 6월 이미 1차 파업을 진행한 끝에 잠정 합의안이 도출됐지만 결과적으로 큰 성과가...

서경대학교, ‘2022 정부초청 중국 한국어과 대학생 방한연수 수료식’ 가져 file

2023년 1월 11일(수) 교내 문예홀서, 수료자 33명에게 수료증 및 소정의 기념품 수여 서경대학교는 2023년 1월 11일(수) 교내 문예홀에서 ‘2022 정부초청 중국 한국어과 대학생 방한연수 수료식’을 가졌다. 교육부 산하 ...

[2023정시경쟁률] 전국 4.6대1 ‘상승’..GIST 에너지공대 DGIST UNIST KAIST 톱5 file

강서대 홍익대 서경대 동덕여대 안양대 ‘이공특제외 톱5’ [베리타스알파=김하연 기자] 2023정시모집에서 전국 대학의 정시경쟁률을 분석한 결과 4.6대1(10만8458명/49만8545명)로 지난해 4.47대1(11만6184명/51만9573명)보다 상승했다. ...

[서경대 MFS] Stock Investment 트렌드 및 캐시앱 분석 file

서경대학교 MFS(Mobile Financial Service) 연구회는 금융정보공학과 서기수 교수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연구모임으로 세계적으로 급변하는 핀테크시장의 흐름과 동향파악을 통해서 국내 금융시장의 발전에 조금이라도 기여하기 ...

한기영 서경대 공공인재학부 교수 칼럼: 진화하는 서울시 청년정책, 실효성 높이려면 file

서울시는 아무도 청년을 ‘정책의 대상’으로 바라보지 않던 때부터 청년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시도를 해왔다. 2013년 ‘청년의 문제는 청년이 잘 안다’는 취지에서 청년참여기구(서울청년정책네트워크, 이하 서울청정...

서기수 서경대 금융정보학과 교수 칼럼 : 모바일 금융의 편리함과 위험이라는 ‘양날의 칼’ file

‘손안의 은행’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은행 영업점을 방문하지 않고 PC나 노트북 및 스마트폰으로 금융거래를 진행하는 ‘모바일 금융’의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상반기 중 국내은행...

플루트 선율로 만나는 김혜경 독주회 file

13일 유·스퀘어 금호아트홀 김혜경플루트 독주회가 13일 오후 7시 30분 유·스퀘어 문화관 금호아트홀에서 열린다. 제58회, 61회 호남예술제에서 금상을 수상한 김혜경은 광주예술고를 졸업한 뒤 현재 서경대에 재학 중이다. ...

서경대학교 대학혁신추진사업단, 6개 대학연합 우수사례 성과공유포럼 참여 file

1월 5일(목) 오후 2시 세명대학교 학술관 제1컨퍼런스홀서, ‘학생 참여형 Global Program’ 발표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1월 5일(목) 오후 2시 충북 제천에 소재한 세명대학교에서 전주대학교, 서원대학교, 명지대학교, 세...

서경대학교, ‘2022 교양 스키&스노보드 캠프’ 성료 file

김재환 스포츠앤테크놀로지학과 교수진, 지난 12월 21일(수)부터 23일(금)까지 3일간 횡성군 웰리힐파크서 스키&스노보드 캠프 열어 2학기 교양 스키1, 스키2, 스노보드 수강생 136명 대상  서경대학교 스포츠앤테크놀로지...

[서경대 MFS] 핀테크 대출 시장의 트렌드 file

서경대학교 MFS(Mobile Financial Service) 연구회는 금융정보공학과 서기수 교수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연구모임으로 세계적으로 급변하는 핀테크시장의 흐름과 동향파악을 통해서 국내 금융시장의 발전에 조금이라도 기여하기 ...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