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이즈미 지하루 교수 1.jpg


거실에서 창밖으로 북한산이 한눈에 보이는 것은 우리 집 자랑거리다. 설경과 석양이 아름답게 보이는 날도 있지만 산자락의 자태가 뿌옇게 보이는 날도 많았다. 하지만 최근에는 공기가 맑아져 흐린 날을 제외하곤 언제나 깨끗한 북한산을 만난다.

 

코로나19 확대로 우리 일상은 크게 변했다. 대학에서 근무하는 나는 늘 학생들과 접하며 지냈지만 올해는 온라인 수업으로 대체되며 대부분의 시간을 집이나 학교 연구실의 컴퓨터 앞에서 보내고 있다. 그런 나는 일하는 틈틈이 창밖 풍경을 보거나 밤늦게 연구실을 나서며 학교 운동장에서 하늘을 바라보며 위로를 받는다.

 

오랜만에 올려다보는 밤하늘은 어릴 적 일본 고향의 마당에서 올려다본 모습과 다르지 않았다. 북쪽 하늘에 보이는 북두칠성도 같은 자리에서 빛나고 있어 확실히 서울의 대기가 깨끗해졌음을 실감했다. 광활한 우주 속에 작은 행성인 지구, 그 지구에 살고 있는 작고 작은 나. 그런 작은 나에게 커다란 꿈을 주었던 깨끗한 밤하늘. 코로나 시대에 서울 한가운데서 보이는 별들은 바쁜 서울에서 빨리빨리, 정신없이 살아온 나에게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생각할 기회를 줬다.

 

지금까지 무차별적 자원 개발과 환경 파괴를 일삼은 인류에게 지구는 끊임없는 경고음을 울렸지만 이를 무시하며 살아왔다. 그 결과 난개발로 동물들의 서식지가 파괴됐고 동물에게 기생하던 각종 바이러스와 균들이 결국 인류를 위협하며 찾아온 것이다. 코로나19는 국제 교류를 차단하고 경제 활동을 정지시켜 일상을 빼앗아 갔으나 아이러니하게도 대기오염을 완화시키는 등 자연을 지구촌에 돌려주는 효과도 내고 있다. CNN에 의하면 세계 최고 수준의 대기오염으로 고민하는 인도의 델리에서 록다운(lockdown·도시 봉쇄)’이 시작된 325일 미세먼지(PM10)가 최대 44% 감소했고 인도 북부에서는 200km 떨어진 히말라야산맥을 수십 년 만에 볼 수 있었다고 한다


 이즈미 지하루 교수 2.jpg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이런 변화는 한국에서도 일어났다. 쓰시마섬에서 부산 해운대 해변의 모습이 또렷이 보였다고 한다. 며칠 전 전곡선사 박물관 인근 숲에서 만난 멸종위기종 1급 황금구렁이의 영상을 페이스북에서 봤다. 지난달 초 서쪽 하늘에서 금성과 플레이아데스성단이 만나는 작은 이벤트가 있었다. 사실 8년에 한 번씩 일어나는 현상으로 아름답게 빛나는 금성과 일곱 개의 별이 촘촘히 모여 있어 좀생이별이라 불리는 아름다운 별 무리가 이웃해 보이는 현상이다. 전에는 뿌옇게 하늘을 뒤덮는 연무 탓에 서울 시내에서 보기 힘들었지만 이번에는 우리 학교 운동장에도 별을 보는 사람들이 모여 이 현상을 관측하고 촬영했다. 올해는 특히 맑은 하늘이 이어져 더욱 아름다운 모습을 카메라에 담을 수 있었다. 나도 학교 운동장에서 금성과 플레이아데스성단 곁을 지나는 국제우주정거장(ISS)의 모습을 한꺼번에 보는 호사를 누렸다.

 

인내와 지혜로써 우리가 코로나19에 승리하는 날이 머지않아 올 것이다. 중요한 것은 그 후 많은 기업들은 과거의 영업 방식으로 돌아가려 하고 많은 사람들은 하루빨리 손실을 회복하기 위해 이익을 추구할 것이다. 그러나 먼저 생각해봤으면 좋겠다. 언제인지 모르겠으나 역병과 같은 재난은 우리 곁을 또 찾아올지도 모른다. 그것을 늦추거나 막을 수 있는 것은 우리가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달려 있다.

 

우리는 앞으로 어떤 세상에서 살고 싶은 걸까. 우리는 자손들에게 어떤 세상을 물려주고 싶은 것일까. 미세먼지에 마음 졸이는 일상은 아닐 것이다. 깨끗한 하늘, 그리고 아름다운 밤하늘을 전해주고 싶지 않을까. 아름다운 세상을 후손들에게 전해주기 위해 조금은 불편하더라도 자연과의 공존을 염두에 둬야 한다. 불법적이고 무분별한 산림 벌채를 자제하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화석연료의 소비를 줄이고 저탄소 연료로 바꿔야 할 것이다. 미래를 위해 장기적이고 지속 가능한 결단을 내려야 한다.

 

<원문 출처>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00515/101053316/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2531

‘모델되는 법’... 노하우 집약된 서경대 평생교육원 모델학전공 file

▲ ‘모델되는 법’... 노하우 집약된 서경대 평생교육원 모델학전공(사진제공=서경대학교 평생교육원) 장래 희망으로 모델을 꿈꾸는 학생들 사이에서 서경대학교 평생교육원 모델학전공이 주목받고 있다. 대형 기획사 오디션과 유명...

서경대, ‘제16회 KASF 2018 국제미용기능경기대회’서 다수의 최상위권상 수상과 함께 대회종합우수상 수상 쾌거 이뤄 file

미용예술대학 외국인학생반, 역대 최다 137명 참가, 2년 연속 최고 성적 거둬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 외국인학생반(지도교수 이지안, 박은준, 최민령, 임희경) 학생들이 ‘제16회 KASF 2018 국제미용기능경기대회’에 참가해 다수...

[2017 대한민국 혁신대상] '인간 중심' 혁신이 기업의 성패 좌우 file

이상복 심의위원장 < 서경대 산업경영시스템공학과 교수·품질경영학회장 > 한국이 세계 10위권 경제 대국이 된 데에는 국내 기업이 기존 제품과 생산 프로세스를 혁신하고 신제품을 개발한 공이 크다. 선진국 문턱에 선 우리의 ...

진세근 서경대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아침광장] 디테일인가, 끈기인가 file

진세근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사무총장· 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세상이 참 불공평하다고 불평할지 모른다. 아프리카 세렝게티 초원의 초식동물 입장에서는 말이다. 누구는 맹수로 태어나 쫓으면서 살고, 누구는...

JTBC 주최 밴드결성 프로젝트 ‘슈퍼밴드 2’에 서경대학교 실용음악학과 양장세민 · 정나영 학우 출연, 파이널 라운드 공연까지 성황리에 종료 file

JTBC '슈퍼밴드 2' 포스터 지난 6월 28일부터 10월 4일까지 100일 가까이, JTBC에서 방영되었던 밴드결성 프로젝트 ‘슈퍼밴드 2’에 서경대학교 실용음악학과의 양장세민 · 정나영 학우가 출연해 프로그램 마지막 공연인 결...

학과 안내 <14> 이공대학 토목건축공학과 file

서경대학교 이공대학 토목건축공학과는 첨단산업 사회의 지지 기반인 국가기간 시설 및 인간중심의 국토환경을 조성하는 기술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현대 고도산업사회가 요구하는 첨단 분야의 토목건축공학 이론 및 실무는 물론 인...

대구가톨릭대, 원주시·연세대·서경대와 환경보건사업 협약 체결 file

환경보건 관련 기술 확보·개발, 교육, 홍보 등 협력 대구가톨릭대 전경. 대구가톨릭대학교(총장 우동기)는 1월 29일 원주시, 원주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세대 원주연세의료원, 서경대 산학협력단과 환경보건기술개발사업 지원과...

우리도 한다! 서경인의 유튜브 #2. 문화콘텐츠학과편 file

전 세계 유튜브 이용자 19억 명, 채널 수 2400만 개의 시대. 서경인들도 캠퍼스 안팎에서 다양한 유튜브를 접해 봤을 것이다. 실제로 개개인이 자유롭게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하여 전 세계 모든 사람에게 노출시킬 수 있다는...

서경大 봉사단, 지역사회 독거 어르신들 찾아 봉사활동 펼쳐 file

서경대학교 교직원 및 대학생 봉사자 30여명은 지난15일 무더운 여름 어르신들의 건강한 여름나기를 위해 굵은 땀방울을 흘려가며, 영양 낙지 갈비탕과, 김치를 만들어 저소득 독거어르신 130명에게 전달했다.(사진제공=길음사회복지...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X성북TV’의 성북구 알리기 프로젝트 ‘성북구에서 살아남기’ 시리즈 두 번째 영상 ‘성북구 삼선동편’ 성북구청 공식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 돼 ‘큰 인기’ file

첫 번째 시리즈 영상 ‘성북구 성북동 편’도 ‘화제’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 유튜브 영상 ‘성북구 삼성동 편’ 스틸컷(1)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이하 ‘청문단’, 운영위원장 방미영 광고홍보콘텐츠학과 ...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