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미용은 하나의 예술이자 스포츠'헤어아트로 인정받고 싶어


권기형 교수 1.jpg

권기형(58·미용) 대구시 달구벌명인이 22일 대구 수성구 두산동에 위치한 자신의

헤어샵에서 헤어 디자인을 하고 있다.


처음 미용사로 일할 때 동물원 원숭이 보듯 저를 봤어요. 인사를 하면 엄마야하고 도망치기도 했죠

 

()대한이용사회 국가대표로 발탁돼 10여 년 동안 각종 세계무대를 휩쓸었던 권기형(58·미용) 대구시 달구벌명인이 미용사로 첫발을 내디뎠던 순간을 전했다. 한때 미용사 국가대표 선수·지도자로서 세계로부터 화려한 조명을 받았고 현재 후학양성과 헤어아트’(머리카락으로 만든 작품) 예술인으로 미용업계에 한 획을 그어나가고 있지만, 첫 시작은 동네 사람들의 구경거리에 불과했다는 것이다.

 

19877월 미용사 자격증을 취득한 권 명인은 대구 수성구 상화로에 자신의 가게 문을 열 당시, 미용실 창문 너머로 자신을 쳐다보던 수많은 동네 사람들의 눈을 떠올렸다. 남성이 미용 일을 하는 것을 두고 괄시나 무시하는 사회 분위기가 있어 남성 미용사의 존재 자체가 희귀했기 때문이다.

 

실제 권 명인도 큰 누나로부터 미용을 처음 권유받았을 때 솔직히 미쳤느냐고 대답했다. 1980년대 당시에는 남자가 미용하는 것은 상상도 못 할 일이었다누나가 이제 남자가 해도 괜찮다고 설득해서 학원을 등록해 다녔고 이후 미용에 재미를 가지게 됐다. 지금은 고맙게 생각한다고 웃음을 지었다.

    

권기형 교수 2.jpg

 권기형 명인이 2016년 OMC 헤어월드 서울대회에서 월드챔피언 트로피를 쥐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국내 헤어월드컵 관전 후 국가대표 선수·지도자로 20년 맹활약.

 

권 명인에게 미용사 국가대표는 안중에 없었다. 오로지 기술을 갈고 닦아 돈을 많이 벌겠다는 꿈만 키웠다. 그러던 중 헤어월드컵을 처음으로 보게 됐다. 새로운 목표를 품게 된 계기다. 그는 “1990년대 말에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헤어월드컵이 열렸는데, 우리나라에도 국가대표가 있는 것을 알게 됐다각 나라 국가대표가 와서 경기하는 모습을 보고 어떻게 사람 머리가 저렇게 변할 수 있지라는 생각을 했다. 그 길로 저것(국가대표)을 꼭 해야겠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길은 험했다. 스승 없이 독학으로 국가대표 수준까지의 미용기술을 키워나가는 것이 여간 힘든 일이 아니었다. 실력을 끌어올린 이후에는 정치가 발목을 잡았다. 권 명인은 모든 게 정치적으로 가면 힘들다. 숲을 볼 때는 서로 받쳐주는 것 같은데, 숲보다 높이 솟으면 바람을 많이 맞는다꼿꼿하게 버텼고 우여곡절 끝에 2000년대부터 국가대표로 활동을 시작했다고 회상했다.


권기형 교수 3.jpg

권기형 명인(왼쪽 두 번째)이 2001년 국가대표로 선발됐던 당시 모습.

지난 2001년 오스트리아 유럽 비엔나 챔피언십에 권 명인이 첫 출전 했다. 세계이·미용협회(OMC, Organization Mondial Coiffure)가 주최한 세계대회다. 61개국에서 3명씩 대표로 나서서 자웅을 겨루는데, 권 명인이 출전할 당시에는 총 160명의 국가대표가 참가했다.

 

권 명인은 처음 출전한 이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그는 앞서 미용사 선배들이 세계대회에서 메달을 따기도 했지만, OMC 주최 대회에서 메달을 따는 것은 극히 드문 일이라고 강조했다.

 

일 년 후 2002년 한·일 월드컵이 열릴 당시 우리나라 미용사 국가대표도 4강이라는 기적을 일으켰다.

 

권 명인은 대륙(아시아)에서 1등하고, 전 세계에서 4등을 했다. 그때 우리도 4강만 하면 원이 없겠다고 했는데 정말 소원이 이뤄졌다. 기적이었다고 환한 미소를 지었다.

 

국가대표 미용사로 왕성한 활동을 펼쳤던 권 명인은 2014년부터 우리나라 월드컵 국가대표 지도자를 맡았다. 2016년 독일 프랑크푸르트 월드컵에서는 한국 역사상 처음으로 챔피언 자리에 오르는 영예를 안기도 했다. 권 명인은 첫 챔피언에 등극한 이후 4연패를 달성했다큰 업적이자 영광이다고 힘줘 말했다.


권기형 교수 4.jpg

권기형 명인과 미용국가대표단이 2019년 OMC 헤어월드 프랑스 파리대회에서

 4연패를 달성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헤어디자인도 세계적인 종목스포츠 올림픽 수상자와 대우 같아.

 

세계대회 수상경력을 자랑하던 권 명인에게 가장 아쉬운 점은 미용에 대한 국내 관심도가 낮은 것이다. 우리나라가 세계대회뿐만 아니라 기능올림픽에서도 정상을 많이 차지했지만, 국가나 지자체에서 적극적인 홍보가 없어 헤어 디자이너라는 매력적인 직업을 제대로 알릴 기회가 적다고 토로했다.

 

권 명인은 만 23세 이하 미용사가 출전하는 기능올림픽은 스포츠에서 메달을 딴 것과 같은 대우를 받지만, 이에 대한 정보가 없거나 관심이 적은 점을 특히 아쉬워했다.

 

그는 우리나라가 기능올림픽에서 정상을 많이 자치했으나 이제는 힘들어질 것이라며 중국이 국가적 지원을 아끼지 않기 때문인데, 국가대표 미용팀의 지도자가 되면 그 국가의 고위 공무원급이다. 중국에서 치고 올라오고 있어 우리 스스로 많이 노력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능올림픽에서 수상하면 국가연금부터 훈장까지 스포츠에서 메달을 딴 것과 똑같은 대우를 받지만, 홍보창구가 없어 일반인들이 잘 모른다우리도 국가적인 관심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권 명인은 국가대표 미용사라는 목표를 둔 이들에게 기능올림픽 준비를 우선 순위로 내세웠다.

 

자격증을 취득한 미용사와 대학에서 미용을 전공한 미용사들도 있지만, 기능올림픽을 준비했던 미용사가 실제 현장에서 사용하는 기술을 가장 빨리 습득한다는 것이다.

 

권 명인은 기능경기대회를 마친 미용사들과 일반 자격증을 취득하거나 대학을 나온 미용사 간에 격차가 있다기능경기대회를 준비하면서 체계부터 잡히기 때문인데, 미용을 꿈꾼다면 기능경기대회를 준비하는 것이 낫다고 조언했다.

 

국내에 대구광역시장배 미용경기대회 등 각 지자체에서 열리는 미용대회가 있고, 국제한국미용페스티벌(IKBF)과 같은 국제대회가 있다며 미용사 꿈을 키우는 이들이 향할 수 있는 다양한 길을 제시했다.


권기형 교수가 만든 헤어아트 작품 1.jpg

권기형 명인 만든 헤어아트 작품

 

재능기부봉사와 후학양성 그리고 예술가의 꿈을 향해 달려갈 것.

 

권 명인은 현재 대한미용사회 대구시협의회장·수성구지회장으로 활동하면서 대한미용사회 국제분과위원장과 이사까지 맡고 있다. 서경대학교 교수로 헤어디자인을 교육하고 각 지역을 돌며 재능기부봉사와 후학양성을 위한 다양한 활동도 병행한다. 앞서 국가대표 미용사, 미용월드컵 코치·감독, 지난 2008년부터 12년 동안 기능올림픽 헤어디자인 전문 지도자로 활동한 경력을 바탕으로 아낌없는 나눔을 실천하고 있는 것이다.


권기형 교수가 만든 헤어아트 작품2.jpg
권기형 명인의 헤어아트 정물화 작품.

 

권 명인은 현재 국가대표 미용사 코치 등 지도자로 활동하는 이들도 대부분 저를 거쳐 간 제자들인데, 이제 국가대표와 연관된 일은 제자들에게 물려주고 자문 정도만 해주는 역할을 해야겠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스스로 말하기 그렇지만, 전국에 있는 미용인들이 저를 많이 사랑해준다. 전국 11곳 지역에 팬클럽도 있다그동안 과분한 사랑을 받았는데, 이제는 그 사랑을 돌려줄 때인 것 같다. 가진 재능으로 기술전수봉사를 하고 싶다고 했다.


권기형 교수가 만든 헤어아트 작품 3.jpg

권기형 명인의 헤어아트 한국화 작품.

사람의 머리카락으로 민화작품을 만들어 2000년대 후반부터 전시회를 열었던 지난 일화를 소개하면서 자신만의 헤어아트를 발전시켜나갈 의지도 드러냈다.

 

권 명인은 봉산갤러리에서 첫 작품전시회를 열 때 헤어아트를 예술로 인정을 받지 못했다당시 알고 있던 대학교수의 이름을 빌려 전시회를 열었는데, 지금은 경력이 쌓여 어디서든 전시회를 개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의 최종 목표는 예술계와 학회에서 헤어아트가 인정을 받고, 다양한 헤어디자인 기술을 연구해 후배들에게 물려주는 것이다.

 

권 명인은 머리카락으로 예술을 한다는 것이 아직 예술 쪽에서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는 분위기다과거 미용이 먹고살기 위한 기술이었다면 이제는 하나의 예술이자 스포츠다. 다양한 활동으로 예술계와 학회에서 인정받도록 노력하고 나름대로 연구한 기술들을 후배들에게 전수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원문 출처>

경북일보 https://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38216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1230

법무부·교육부, 국제화 역량 인증대학 발표… 비자 발급 제한도 40개교 file

법무부와 교육부가 2023년 ‘교육국제화역량 인증대학’으로 학위 과정 134개교, 어학연수 과정 90개교를 확정했다고 7일 밝혔다.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는 대학의 국제화 역량을 심사해, 기준을 통과하면 인증대학으로서의 지위를 ...

[서경대 카드뉴스]2024년도 1학기 수강신청 중요 변경사항 안내 file

<홍보실=최대한 학생기자>

제3회 서경대학교 총장배 골프챔피언십 태국 대회 성료...대학 동아리 대거 참여 file

5일 방콕 타냐시티CC에서 신페리오, 스트로크 방식으로 펼쳐져 시상식 맡은 김범준 서경대 총장, "골프발전 지원 아끼지 않겠다" 제3회 서경대학교 총장배 골프챔피언십대회 참가자들이 힘차게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태국 방콕의 ...

구자억 서경대 혁신부총장, ‘양계초론 : 양계초사상과 교육관’ 출간 file

서경대 혁신부총장인 구자억 교수가 최근 저서 ‘양계초론: 양계초사상과 교육관’을 펴냈다. 신정에서 출판된 이 책은 양계초의 사상적 배경과 교육구국론을 고찰하고, 양계초 사상이 가진 의미를 현대적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2024년 새롭게 시작하는 한 해, 더 힘차게 출발할 수 있게 해줄 자격증은 뭐가 있을까? <4>‘예술대학’ file

12월 22일까지 진행된 기말고사를 끝으로 2023학년도 2학기가 마무리되고 새로운 한 해가 시작되었다. 코로나 19사태가 종식되고 모든 행사가 재개되어 이전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였던 2023년, 크고 작은 일이 많았던 지난 한 ...

2024년 새롭게 시작하는 한 해, 더 힘차게 출발할 수 있게 해줄 자격증은 뭐가 있을까? <3>‘이공대학’ file

12월 22일까지 진행된 기말고사를 끝으로 2023학년도 2학기가 마무리되고 새로운 한 해가 시작되었다. 코로나 19 사태가 종식되고 모든 행사가 재개되어 이전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였던 2023년, 크고 작은 일이 많았던 지난 한 ...

2024년 새롭게 시작하는 한 해, 더 힘차게 출발할 수 있게 해줄 자격증은 뭐가 있을까? <2> ‘사회과학대학’ file

12월 22일까지 진행된 기말고사를 끝으로 2023학년도 2학기가 마무리되고 새로운 한 해가 시작되었다. 코로나 19 사태가 종식되고 모든 행사가 재개되어 이전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였던 2023년, 크고 작은 일이 많았던 지난 한 ...

2024년 새롭게 시작하는 한 해, 더 힘차게 출발할 수 있게 해줄 자격증은 뭐가 있을까? <1> ‘인문과학대학’ file

12월 22일까지 진행된 기말고사를 끝으로 2023학년도 2학기가 마무리되고 새로운 한 해가 시작되었다. 코로나 19 사태가 종식되고 모든 행사가 재개되어 이전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였던 2023년, 크고 작은 일이 많았던 지난 한 ...

[서경대 MFS] ETF 분산투자에 도사린 옵션이란 가시 [MZ투자레터] file

더스쿠프 대학생 기사취조단 서경대 ‘금융투자연구회’의 MZ세대 실제 투자 보고서 건전한 투자 위한 지침서 김성욱 · 윤소연 학생의 투자레터 ETF 투자 빛과 그림자 분석  주식보다 안정적이라는 이유로 ETF에 투자하는 ...

서경대학교, 성북구 ‘뮤지컬 영어캠프’, 서울시 ‘청소년 동행캠프’ 성황리에 마쳐 file

서경대학교(총장 김범준)는 겨울방학을 맞아 서경대 문화예술센터(센터장 최은정)와 서울시립청소년음악센터(센터장 심해빈)에서 ‘뮤지컬 영어캠프’와 ‘청소년 동행캠프(영어특화)’를 개최했다. 서경대학교와 함께하는 뮤지컬 영어캠프...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