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조정근 서경대 경영학부 교수.jpg 

조정근 서경대 조교수.


1990년대 초 미국으로 건너간 A. 봉제인형 수출 사업으로 부를 쌓기 시작했다. 그는 본인이 대주주로 있는 홍콩법인에서 발생한 수익을 영국령 버진아일랜드(BVI)와 같은 조세피난처에 설립한 역외 법인(페이퍼컴퍼니)으로 귀속시키는 방식으로 돈을 벌었다.


그런데 A씨가 2011년 한국에서 불구속 기소되는 일이 벌어졌다. 2000~20081136억원의 소득 신고를 누락해 종합소득세 473억원을 포탈(逋脫)하고 947억원을 해외에 은닉·도피한 혐의다. A씨가 2000~2001년 국내에 머무르면서 수익을 거둔 것이 문제가 됐다. 그는 본인 명의로 구입한 국내 한 주택에서 2년간 연 평균 183일 이상을 체류했다. 그러면서 국내 부동산과 골프장을 다수 보유한 내국 법인의 대표이사를 지내면서 급여도 받았다. 현행 소득세법은 국내에 주소를 두거나 183일 이상 거소를 둔 개인에게 소득세를 부과한다.


국세청은 A씨를 '국내거주자'로 규정하며,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수익에 대해 정당하게 과세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반면 A씨는 아내와 공동 명의로 미국에 한 주택을 구입해 자녀들과 함께 거주하고 있었고, 미국에 연방소득세까지 납부한 미국거주자라고 주장했다. 실제로 그는2001년과 2002년을 제외하면 연 평균 330일 이상을 미국에 체류했다. 8년간 엎치락 뒤치락했던 형사·행정소송은 과연 어떻게 결론이 났을까.


조정근 서경대 경영학부 교수 칼럼 (1).jpg 

[땅집고] 국세청이 역외 탈세 혐의로 기소한 A씨의 세금 포탈 과정을 설명하는 화면. /조선DB


201811월 대법원은 특정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위반(조세) A씨 혐의에 대해 원심 판결 중 유죄 부분을 파기 환송했다. BVI 법인을 통해 해외 수익을 빼돌려 탈세한 혐의 역시 무죄로 판단했다. 대법원은 “A씨가 홍콩법인 대주주로서 정당하게 취득한 과세연도 배당소득은 한국의 종합소득세 부과 대상이 아니며, BVI 법인에 귀속된 소득에 대해서도 국세청이 세금을 부과할 수 없다고 판결했다. 쉽게 말해 조세협약상 '미국거주자'라고 인정한 것이다.


조정근 서경대 경영학부 교수 칼럼 (2).jpg 

[땅집고] 서울 서초동에 있는 대법원. /조선DB


대법원 최종 판결이 나기 8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보자. 먼저 국세청은 A씨를 기러기 아빠로 규정하며, 항구적 주거가 한국에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1심 판결은 A씨가 사업상 한국에 체류한 것일 뿐 업무를 마치면 미국으로 돌아가 가족과 함께 생활했기 때문에 항구적 주거가 미국에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


반면, 서울고등법원은 항소심에서 A씨의 미국 거주자 지위를 인정해 2000년 이전까지 발생한 소득에 대한 납세의무가 없다고 봤다. 하지만 2001~2002년 한국에 실제로 183일 이상을 거주했기 때문에 납세의무가 있고 역외탈세의 고의성도 인정했다.


A씨가 미국 연방소득세법상 미국 거주자로 봐야 할지, 한미조세협약상 한국의 거주자로 판단할 지가 재판 과정에서 최대 쟁점이었다. 항소심 재판부는 A씨의 국내 거주자 지위 A씨가 한국 내 생계를 같이 하는 가족이 존재하는지 국내 직업과 소득 현황, 국내 소재 자산 등을 고려해 미국 영주권자인 A씨를 소득세법상 한국 거주자로 판정할 수 있는지를 따졌다.


조정근 서경대 경영학부 교수 칼럼 (3).jpg


8년간의 소송 내용을 정리하면 이렇다. 우선 A씨의 국내 체류일이 쟁점 과세연도(2000~2001) 2년간 누적 일수가 1년을 초과하고 국내 법인 대표이사로 재직하며 급여를 수령한 점 A씨가 다수의 국내 자산을 보유한 측면에서 한국 소득세법상 A씨를 국내 거주자로 판단한 국세청의 주장이 타당할 수 있다. 반면 A씨가 적법한 미국 영주권자로 쟁점 과세연도 기간 중 연방소득세를 거주자지위에서 미국에 신고한 점 등을 고려하면 연방소득세법상 미국 거주자로 봐야 한다.


소득세법상 국내 거주자임과 동시에 연방소득세법상 미국의 거주자인 이른바 이중 거주자로서 양국의 내국세법상 거주자 지위 판정이 충돌하는 경우, 한미조세협약 제3과세상의 주소조항을 통해 그의 거주지 국가를 판정한다. 항구적 주거(Permanent Home), 중대한 이해관계의 중심(Center of Vital Interests), 일상적 거소(Habitual Abode), 납세자의 국적(Citizenship) 등의 요소를 순차적으로 고려한다.


OECD 모델협약 주석서 제412장에 따르면 항구적 주거는 일시적이 아닌 일정 기간 개인이 가족과 함께 언제든지 거주 목적으로 계속 사용할 수 있는 장소를 의미한다. 하지만 그 거주 요건은 항구적 생활을 이루고 있는 근거지를 판단하는 부가적 요인으로 해석해야 한다. 따라서 실제로 거주하는 것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점이 핵심이다.


대법원 판결은 그가 2년간 가족과 떨어져 한국에서 지낸 것도 사업 목적상 일시적일 뿐, 항구적으로 한국에 머무른다는 의도로 보기 어렵다고 봤다. A씨의 수입만으로 가족이 생활하는 것을 고려할 때 A씨의 항구적 주거는 미국에 형성되어 있다고 보는 것이 합당하다는 결론이다. 이처럼 항구적 주거를 통해 납세자의 거주지 국가가 판정되면, 차순위인 중대한 이해관계의 중심지, 차차순위인 일상적 거소 등의 판정 요건들은 고려하지 않는다.



<원문 출처>

조선닷컴 http://realty.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1/28/2020012803195.html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3126

군산시‧서경대, 화학사고 예방 연구사업 MOU체결

군산시와 서경대는 13일 시청에서 화학사고 예측 및 리스크 평가 기술 개발 업무 협약식을 가졌다. 화학사고 예측 및 리스크 평가 기술 개발 사업은 화학사고 사례에 대한 체계적인 DB구축 및 분석시스템을 통해 화학사고 리...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사업단,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한 온라인 ‘데모데이(Demoday)’ 성료 file

IR피칭 통한 캠퍼스타운 우수 기업 소개···투자유치 및 파트너 발굴 기회 제공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캠퍼스타운 사업단(단장 김범준)은 서울시 캠퍼스타운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2021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데모데이...

류병목 서경대학교 군사학과 초빙교수 칼럼 :[류병목 기고] 고객의식과 군 리더십 file

류병목 서경대학교 군사학과 초빙교수 필자는 의무복무를 하는 부하들에게 어떻게 복무 의욕을 키우고 가치를 부여해 동기유발을 시킬 것인가를 고민해왔다. 야전부대 지휘관(자) 시에는 목표와 비전의 명확한 제시 및 공유, 구...

권재욱 서경대 특임교수 칼럼:[시론] 바람이 불어 오는 곳 file

바람이 분다. 맑은 바람이 분다. 회색빛 먼지를 밀어 내고 솜털 같은 구름 한자락 동무 삼아, 몸 가벼웁게 바람이 분다. 뜨거운 햇볕을 견뎌내며 타 들어간 속내는 아직도 열기가 남아 있는데, 때가 되니 바람이 분다. ...

김기은 서경대 화학생명공학과 교수칼럼: 바이오연료와 에너지 안보 file

김기은 서경대 화학생명공학과 교수 바이오 연료란 유기물에서 추출하거나 공정을 거쳐 생산된 액체와 기체 연료로 정의되며, 발전과 운송 부분에서 화석에너지원과 비교해 CO₂ 배출을 65-70%까지 줄이면서 동시에 안정적으로...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 2022년 시즌2 ‘성북 피플 인사이드’ 시리즈 두 번째 영상 ‘동선동 2가 빈칸 살롱편’ 성북구청 공식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 돼 큰 관심 끌어 file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이하 청문단, 운영위원장 방미영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교수) 의 성북구 알리기 두 번째 프로젝트가 2022년 5월 20일 업로드 돼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이번 5월 영상은 힐링과 치유를 주요 키워드...

[MODU가 주목하는 대학] 창의융합형 인재 앙성 위한 실용중심의 교육혁신 추진, 서경대학교 file

서경대학교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다양한 실용중심의 교육혁신을 추진하고 있다. 교양 및 전공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질 관리 시스템 고도화, 티칭이노베이션 스페이스를...

[서경대 카드뉴스] "어서와! 우리 학과는 처음이지?" 2022 서경대학교 학과(부) 홍보 영상 공모전 안내 file

<관련 공지> https://www.skuniv.ac.kr/index.php?mid=notice&document_srl=210765

서경대학교 디자인학부 비주얼디자인전공 과동아리 ‘보이드(VOID)’, ‘rabbit hole’ 주제로 작품 전시회 개최 file

서경대학교 디자인학부 비주얼디자인전공 과동아리 ‘보이드(VOID)’가 ‘rabbit hole’을 주제로 한 작품 전시회를 3월 14일(화)부터 19일(일)까지 6일간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대학로에 위치한 서경대학교 공연예술센터 ...

서경대, 3년 연속 ‘정부초청 외국인 장학생(GKS) 한국어 연수과정 운영 대학’ 선정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가 교육부 산하 국립국제교육원이 주관하는 ‘정부초청 외국인 장학생 (GKS: Global Korea Scholarship) 한국어 연수과정’의 운영 대학으로 2020년, 2021년에 이어 2022년 3년 연속 선정됐다. 정부초청...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