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블로그1.jpg


지난해 말 일본 도쿄 시부야에서 열린 영화 기생충의 기자시사회에서는 보기 드문 광경이 펼쳐졌다. 처음부터 웃음바다를 이뤘던 시사회는 영화가 시작하고 5분여 지난 뒤부터 그야말로 폭소의 도가니였고, 중반부에는 진지함이 그득해졌다. 마침내 참석자들은 역시 황금종려상감이었다고 평가하며 엄지 척을 들었다.

 

한국 블로그2.jpg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미국 아카데미 작품상 유력 후보작인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은 일본에서 10일에 공식 개봉해 3주째인 27일에 70만 명을 동원했고 흥행수입 10억 엔(109억 원)을 달성하며 일본을 기생충 월드에 빠뜨렸다. 일본에서는 파라사이트 반지하의 가족(パラサイト 半地下家族)’이라는 제목으로 개봉됐고, 28일 현재 일본 영화전문 사이트 영화닷컴에서 검색 1위에 오를 만큼 화제다.

 

파라사이트 아주 재미있다면서요, 어때요?” 일본에 머물고 있는 내게 40대 주부인 일본인 친구가 라인으로 연락해 왔다. 나는 기생충을 한국에서 세 번 봤지만 그녀와 함께 1900 (2만 원)이란 고액을 지불하고(일본어 자막을 읽으며) 일본에서 또 봤다. 영화를 관람한 26일 일요일 밤, 관객을 둘러보니 중고령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이 3분의 1 정도를 차지했고, 학생들도 적지 않았다.

 

영화를 보고나서 친구는 가슴에 가시가 박힌 듯해 계속 그 이유를 생각해 봤다. 빈부격차가 큰 사회 속에서 개개인은 악의는 없이 보이는데, 보다 아래층 사람을 차별한다. 웃으면서도 서서히 압박당한 기분이 들었다. 아버지(송강호)가 극단적인 행동을 하게 되는 심정에 공감이 가서, 마음이 아파 견딜 수 없었다고 했다. 흥행통신사(興行通信社) 조사에 따르면 일본 전국 관객 수가 11175, 18242, 2526일은 4위다. 개봉관도 당초 전국 131관에서 2주차에 218관으로 늘었다.

 

일본영화제작자연맹에 따르면 일본 개봉 한국 영화가 10억 엔을 넘은 것은 2004태극기 휘날리며’(감독 강제규)가 처음이었다. 제작, 주연 모두 한국이 맡은 영화가 흥행수입 10억 엔을 넘어선 것은 2005내 머리 속의 지우개이후 15년 만이다. 한류 팬들이 환호하는 미남 배우들이 출연했던 이전 흥행작들과는 달리 연기파 배우가 출연한, 장르도 멜로가 아닌 영화가 이렇게 흥행한 것은 한류의 개념을 뛰어넘는 일이었다.

 

기생충의 일본 흥행 요인을 살펴보면 첫째는 국제영화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고 작품성과 오락성을 겸비했다는 평가와 호소다 마모루 감독 등 일본 영화인들의 극찬과 입소문 때문이다. 둘째는 관객층의 확대다. 평소 극장에 가지 않던 중고령 남성들이 경제 매거진의 특집기사를 읽고 극장에 갔고, 젊은층은 유튜브 등에서 유명인의 추천을 보고 극장을 찾은 것이다. 셋째는 빈부 격차라는 글로벌한 주제와 한국적 소재의 어울림이다. 글로벌한 주제는 공감을 일으켰고, 한국적 소재는 한국 사회에 대한 관심의 확대와 반()지하, 대만 카스텔라, 제시카 송, 짜파구리 등 일본에 없는 것들을 알아가는 재미를 더했다. 넷째, 스포일러 방지 강조다. 봉 감독이 직접 강조한 부분인데 작품을 보고 난 뒤 유튜브 등을 보라는 권고에 관객들이 영화를 안 볼 순 없었던 것이다.

 

그 밖에 봉 감독에 대한 관심도 있다. 일본영화전문 채널에서는 봉 감독과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이전 칸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 감독)한일(韓日)에서 가족을 그리다를 주제로 대담 방송을 했다. 고레에다 감독은 대담에서 국경이 있어도, 없어도, 다투고 있어도, 완전히 다른 관계를 구축할 수 있다. 교류하고 있는 것 자체가 영화의 힘이라고 말해 봉 감독이 공감하기도 했다. 기생충을 통해 세계가 아시아 영화, 한국 영화를 발견하는 것처럼, 일본에서도 한국 영화를 새롭게 인식시키며 문화의 기록을 경신하고 있다. 비록 정치적인 문제로 인해 멀어져 가기만 하는 한국과 일본이지만, 이 작품을 통해 공통점은 인식하고 차이점을 이해하며 시간과 공감을 함께하고 싶다.


<기사 원문>

동아닷컴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200131/99473173/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4019

[음악학부]서경뮤직소사이어티 연주 홍보

우리대학교 서경뮤직소사이어티에서 아래와 같이 공연을 하니 학생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1. 용산 아트홀 - 일시 : 2012년 4/6(금) 19:00 - 장소 : 용산아트홀 대극장 미르 2. 예술의 전당 - 일시 : 2012년 4/7(토) 19:00 ...

음악학부 런치박스콘서트 공연 안내 file

전자공학과 임신일 교수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표창' 수상 file

본교 전자공학과 임신일 교수가 2014년 10월 23일, 서울 여의도 63시티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 제7회 반도체의 날 기념식’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표창을 수상하였다. 임신일 교수는 ‘차세대 신성장 동력사업 기획/추진’ 및...

성북구와 서경대학교가 함께하는 "재미있는 클래식" 참가자 모집 file

- 성북구와 서경대학교가 함께하는 - “재미있는 클래식”참가자 모집 우리 아이에게 음악의 재미를 느끼게 해 주세요 ~ 2011년 11월 26일부터 5주간 매주 토요일마다 서경대학교에서 음악놀이터가 열립니다. 프로...

대학생초청영화시사회-모비딕

우리 서경대학교에서는 학우들의 문화생활을 위해 씨네21과 함께 모비딕 영화 시사회를 준비했습니다. 본 행사는 본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초청이벤트로 학생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랍니다. - 다 음 - 1. 영화제목 ...

[무용예술학과]졸업작품 발표회 / 정기공연

본교 무용예술학과에서 졸업작품 발표회 및 정기공연을 하오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제 9회 졸업작품 발표회 - 일시 : 11월 17일(목), 오후 7시 - 장소 : 문예홀 제 12회 정기공연 - 일시 : 11월 24일(목), 오후 7시 - 장소 : 문예홀...

대학생 초청 영화 시사회

우리 서경대학교에서는 학우들의 문화생활을 위해 씨네21과 함께 영화 <코리아> 시사회를 준비했습니다. 본 행사는 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초청 이벤트로 학생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랍니다. - 다 음 - 1. 영화제목: 한반도...

추억을 남기며-2016년 모델학과 첫 졸업 패션쇼 file

‘추억을 남기며(Leaving Our Memories behind)’. 서경대 공연예술학부 모델연기전공 학생들이 그간의 배움을 담아 준비한 패션쇼의 주제다. 일자는 6월24일(금) 오후 7시. 장소는 본관 8층 컨벤션 홀이다. 주제를 효과적으로 ...

[음악학부]문화콘텐츠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와 전망 특강 file

- 특강 일시 : 2012년 3월 13일 화요일, 18:00~20:00 - 특강 장소 : 문예관L01 - 특강 대상 : 대학원생 및 학부생(청강 가능) - 특 강 자 : 박양우(전 문화부 차관, 현 중앙대 대외연구 부총장 및 예술경영학과 교수) 첨부파일 ...

공연예술학부 2013년 1학기 레파토리공연 뮤지컬 '빨래'

2013년 1학기 레파토리공연 뮤지컬 '빨래' ◎ 장 소 : 서경대학교 북안관 8층 북악홀 ◎ 날 짜 : 2013년 5월 23~24일 저녁7시 / 5월 25일 오후4시 ◎ 티켓비 : 5000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