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이즈미 지하루 교수님.jpg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어릴 적부터 그림 그리기를 무척 좋아했다. 말은 겉보기에 화려하게 꾸밀 수 있지만, 그림은 말로 표현하지 못한 진실을 담을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산에 가서 떨어진 나무를 주워 무언가를 조각하기도 했고, 흙으로 조형물을 만들기도 했다. 나는 미술을 통해 창작하는 것을 즐거워했고, 미래에 화가가 되거나 미술관에서 일하는 것을 꿈꾸기도 했다.

 

하지만 대학입시가 벽이 됐다. 아버지가 미대 진학을 반대했다. 미술을 고수한 나는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도쿄에서 활약하는 기모노 디자이너 밑에서 3년간 일했다. 그 기간 동안에 많은 어른과 만났고 세상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많은 것을 배웠다. 무엇보다 나의 재능이 미술세계에서 살아남을 만큼 뛰어나지 못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것은 큰 수확이었다. 그리고 또 한 가지, 그동안 대학에 입학할 만큼의 돈을 모았다. 대학생활을 시작하며 사회학과 인연을 맺었다. 하지만 몇 년 뒤 나는 한국에 오게 된다. 한국에 오면서 그동안 공부했던 사회학을 뒤로하고 다시 미술에 빠져버렸다. 한국의 풍토와 자유로운 예술성이 터무니없이 매력적으로 다가왔기 때문이다. 옛 애인과 재회한 것 같기도 하고, 새로운 애인을 만난 것 같기도 했고, 그때부터 나에게 있어 미술은 영원한 짝사랑의 애인처럼 늘 함께하게 됐다.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일본어와 일본 문화를 가르치며 지내던 나는 이따금 칠판에 그림을 그리며 학생들과 소통하기도 했고, 작은 손작업을 하며 지내왔다. 그러다가 2004년부터 미술 작업을 전시장에 내놓고 세상 사람들과 소통하기 시작했다.

 

사실 처음에는 일과 육아, 그리고 학교생활에 바쁜 시기여서 전시회 개최를 도와주는 것에 급급했다. 작품도 은입사, 불화, 동양화, 목공예 등 생각 없이 이것저것 내놓았다. 그러다가 조금씩 오브제 작업을 시작했다. 테마는 소통이었다. 관람객들이 참여해서 완성해가는 작품이었다, 작품은 전시회가 진행돼가며 완성되어 갔고, 이렇게 관람객들과 소통하는 것에 매력을 느낀 나는 관람객과 함께 이뤄가는 작업에 한동안 몰입했다.

 

내게 있어 중요한 화두는 소통이었고, 어쩌면 미술 작업만큼 중요한 것이 소통이었는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전시를 기획하고, 참여할 사람들과 자료를 모으고, 이것을 토대로 리플릿을 만들거나 작품을 전시장에 걸어두고 관람객들에게 선보이는 작업이 무척 즐거웠다. 물론 그 안에 내 작품을 한쪽에 두고 관람객들과 소통을 지속적으로 시도해오면서 말이다.

 

이달 말 서울 일본공보문화원에서 열게 된 산수회도 소통의 일환이다. 나를 포함해 일본에서 태어나고 일본에서 자라 한국에 살고 있는 여성들이 한국 문화를 사랑하는 마음에서 시작했다. 한국 전통문화를 배우고, 자신의 삶과 생활 속의 한국 문화를 자신만의 작품으로 표현해 전시장에 내놓은 것으로 올해로 13번째 개최를 맞는다.

 

올해는 모두 7명이 참가한다. 각자의 인연에 따라 한국에 오게 된 사람들이다. 짧게는 3년에서 길게는 40년 이상 한국에서 살아왔다. 남편의 주재업무로 한국에 오거나 한국 남성과 결혼해서 사는 경우도 있다. 나이는 물론 거주하는 지역도 서울에서 제주까지 다양하지만 한국 문화와 예술, 그리고 한국의 자연과 이웃들을 사랑하고 배우며 지낸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각자의 삶터에서 작품 활동을 해가는 사람들이다.

 

작품 내용도 한국의 전통적인 민화에서부터 도예, 그리고 조금 생소한 보태니컬아트(, 과일 등을 주제로 다양한 기법으로 정교하게 표현하는 페인팅 예술), 비즈공예, 하와이안퀼트, 그리고 모빌까지 다양하지만 특히 한국살이(韓國らして)’라는 주제를 담아 한국과 일본의 깊고 오랜 역사적 교류의 뜻을 담았다. 몇 해 전 서울의 국립중앙박물관과 도쿄의 국립박물관에 함께 전시됐던 한국과 일본의 반가사유상을 모티브로 한 작품도 있다.

 

미술을 통해 한국에 살고 있는 기쁨은 물론 디아스포라로서의 아픔 등 여러 감성을 표현해 놓았다. 요즘처럼 얼어붙은 한일 간의 감정의 골을 따뜻하게 녹여볼 수는 없을까? 깊어가는 가을과 함께 작품을 감상하며 여러 사람과 많은 이야기를 나눠 보고 싶다.

 

 <원문 출처>

동아일보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91018/97932442/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3920

서경대 교수들,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교육 한계 뛰어넘은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교수법 선보여 ‘눈길’ file

공연예술학부 주지희 교수, ‘창작연극워크숍’ 수업에 이러닝(E-learning) 콘텐츠 활용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한영균 교수, ‘일본어’ 수업에 Zoom과 녹화강의 병행 산업경영시스템공학과 고현우 교수, ‘공급사슬경영’ 수업에 플립러...

2학기 대학생 대외활동, 어떤 게 있나 file

코로나 19로 인해 원격수업으로 진행되었던 1학기와 하계방학이 끝나고 2학기 개강을 맞은 지도 한 달이 지났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면서 생긴 ‘여유시간’을 보다 가치있고 알차게 보내려는 학우들이 적지 않다. 이러한 학...

공부와 취업, 한 번에 잡는 ‘슬기로운 대학생활’ 기획시리즈 <18> 인문과학대학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불어전공 편 file

코로나 19 확산 여파로 온라인 수업이 장기화 되면서 오랫동안 학교에 나오지 못하고 있는 학생들이 그동안 정상적인 대학생활에서 누리던 전공 관련 학습 노하우나 진로 및 취·창업에 도움이 되는 정보 등을 접할 수 없어 어...

서경대 환경보건센터, 환경부 환경보건 연구정보분야 환경보건센터 지정 file

서경대 환경보건센터가 환경부 환경보건 연구정보분야 환경보건센터로 지정됐다고 28일 밝혔다. 환경보건센터의 지정은 환경부가 환경보건 관련 분야의 경쟁력 강화와 과학적 근거기반의 환경보건정책의 추진 환경보건 관련 정책 ...

서경대 2021학년도 수시모집 최종 경쟁률 15.98대 1 file

1,060명 모집에 1만 6,944명 지원···최고 경쟁률은 실용음악학과 보컬전공 342.00대 1 서경대학교는 28일 2021학년도 대입 수시모집 원서접수 마감 결과, 1,060명 모집에 16,944명이 지원해 평균 경쟁률 15.98대 1을 기록했다. ...

2020년 10월 교육방송 edu TV 대학 방송 시청 안내 file

‘대교협’ 회원 대학교와 교육방송 edu TV가 공동 제작한 ‘대한민국 교육을 세우다’, ‘한국 지성인에게 듣는다’ , edu TV ‘공감’ 등 3개 프로그램 교육방송 edu TV가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이하 ‘대교협’)의 협력을 받아 ...

[진세근 서경대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 : 漢字, 세상을 말하다] 所望<소망> file

“우리의 所願(소원)은 통일, 꿈에도 所願은 통일.” 한자세상 지금은 거의 들을 수 없지만 1960~70년대 행사에서 자주 불렸던 ‘우리의 所願’이란 노래 가사다. 所願이, 간절하지만 이루기 힘든 목표를 상정하는 느낌이라면 所...

공부와 취업, 한 번에 잡는 ‘슬기로운 대학생활’ 기획시리즈 <17> 이공대학 소프트웨어학과 편 file

코로나 19 확산 여파로 온라인 수업이 장기화 되면서 오랫동안 학교에 나오지 못하고 있는 학생들이 그동안 정상적인 대학생활에서 누리던 전공 관련 학습 노하우나 진로 및 취·창업에 도움이 되는 정보 등을 접할 수 없어 ...

서경대학교 실용음악학과, 온라인 스튜디오 콘서트 전용공간인 ‘스콘’과 유튜브 채널 개설 file

온라인 스튜디오 콘서트 전용 공간 '스콘 실용음악계의 신흥강자인 서경대학교 실용음악학과(학과장 장웅상 교수)가 온라인 스튜디오 콘서트 전용공간인 ‘스콘’과 신규 유튜브 채널을 개설한다. 코로나 19의 재확산 및 장기화 여...

2020년 2학기 도전해 볼 만한 공모전, 뭐가 있을까? file

코로나 19로 인해 원격수업으로 진행되었던 1학기와 하계방학이 끝나고 2학기 개강을 맞은 지도 2주일이 지났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면서 생긴 ‘여유시간’을 보다 가치있고 알차게 보내려는 학우들이 적지 않다. 이러한 학...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