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이즈미 지하루 교수님.jpg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어릴 적부터 그림 그리기를 무척 좋아했다. 말은 겉보기에 화려하게 꾸밀 수 있지만, 그림은 말로 표현하지 못한 진실을 담을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산에 가서 떨어진 나무를 주워 무언가를 조각하기도 했고, 흙으로 조형물을 만들기도 했다. 나는 미술을 통해 창작하는 것을 즐거워했고, 미래에 화가가 되거나 미술관에서 일하는 것을 꿈꾸기도 했다.

 

하지만 대학입시가 벽이 됐다. 아버지가 미대 진학을 반대했다. 미술을 고수한 나는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도쿄에서 활약하는 기모노 디자이너 밑에서 3년간 일했다. 그 기간 동안에 많은 어른과 만났고 세상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많은 것을 배웠다. 무엇보다 나의 재능이 미술세계에서 살아남을 만큼 뛰어나지 못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것은 큰 수확이었다. 그리고 또 한 가지, 그동안 대학에 입학할 만큼의 돈을 모았다. 대학생활을 시작하며 사회학과 인연을 맺었다. 하지만 몇 년 뒤 나는 한국에 오게 된다. 한국에 오면서 그동안 공부했던 사회학을 뒤로하고 다시 미술에 빠져버렸다. 한국의 풍토와 자유로운 예술성이 터무니없이 매력적으로 다가왔기 때문이다. 옛 애인과 재회한 것 같기도 하고, 새로운 애인을 만난 것 같기도 했고, 그때부터 나에게 있어 미술은 영원한 짝사랑의 애인처럼 늘 함께하게 됐다.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일본어와 일본 문화를 가르치며 지내던 나는 이따금 칠판에 그림을 그리며 학생들과 소통하기도 했고, 작은 손작업을 하며 지내왔다. 그러다가 2004년부터 미술 작업을 전시장에 내놓고 세상 사람들과 소통하기 시작했다.

 

사실 처음에는 일과 육아, 그리고 학교생활에 바쁜 시기여서 전시회 개최를 도와주는 것에 급급했다. 작품도 은입사, 불화, 동양화, 목공예 등 생각 없이 이것저것 내놓았다. 그러다가 조금씩 오브제 작업을 시작했다. 테마는 소통이었다. 관람객들이 참여해서 완성해가는 작품이었다, 작품은 전시회가 진행돼가며 완성되어 갔고, 이렇게 관람객들과 소통하는 것에 매력을 느낀 나는 관람객과 함께 이뤄가는 작업에 한동안 몰입했다.

 

내게 있어 중요한 화두는 소통이었고, 어쩌면 미술 작업만큼 중요한 것이 소통이었는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전시를 기획하고, 참여할 사람들과 자료를 모으고, 이것을 토대로 리플릿을 만들거나 작품을 전시장에 걸어두고 관람객들에게 선보이는 작업이 무척 즐거웠다. 물론 그 안에 내 작품을 한쪽에 두고 관람객들과 소통을 지속적으로 시도해오면서 말이다.

 

이달 말 서울 일본공보문화원에서 열게 된 산수회도 소통의 일환이다. 나를 포함해 일본에서 태어나고 일본에서 자라 한국에 살고 있는 여성들이 한국 문화를 사랑하는 마음에서 시작했다. 한국 전통문화를 배우고, 자신의 삶과 생활 속의 한국 문화를 자신만의 작품으로 표현해 전시장에 내놓은 것으로 올해로 13번째 개최를 맞는다.

 

올해는 모두 7명이 참가한다. 각자의 인연에 따라 한국에 오게 된 사람들이다. 짧게는 3년에서 길게는 40년 이상 한국에서 살아왔다. 남편의 주재업무로 한국에 오거나 한국 남성과 결혼해서 사는 경우도 있다. 나이는 물론 거주하는 지역도 서울에서 제주까지 다양하지만 한국 문화와 예술, 그리고 한국의 자연과 이웃들을 사랑하고 배우며 지낸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각자의 삶터에서 작품 활동을 해가는 사람들이다.

 

작품 내용도 한국의 전통적인 민화에서부터 도예, 그리고 조금 생소한 보태니컬아트(, 과일 등을 주제로 다양한 기법으로 정교하게 표현하는 페인팅 예술), 비즈공예, 하와이안퀼트, 그리고 모빌까지 다양하지만 특히 한국살이(韓國らして)’라는 주제를 담아 한국과 일본의 깊고 오랜 역사적 교류의 뜻을 담았다. 몇 해 전 서울의 국립중앙박물관과 도쿄의 국립박물관에 함께 전시됐던 한국과 일본의 반가사유상을 모티브로 한 작품도 있다.

 

미술을 통해 한국에 살고 있는 기쁨은 물론 디아스포라로서의 아픔 등 여러 감성을 표현해 놓았다. 요즘처럼 얼어붙은 한일 간의 감정의 골을 따뜻하게 녹여볼 수는 없을까? 깊어가는 가을과 함께 작품을 감상하며 여러 사람과 많은 이야기를 나눠 보고 싶다.

 

 <원문 출처>

동아일보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91018/97932442/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4425

서경대, 김용신 단국대 행정법무대학원 석좌교수 초청 ‘문화콘텐츠와 정신분석학’ 주제로 특강 개최 file

11월 7일(화) 오후 2시 45분 교내 혜인관 410호서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본 문화콘텐츠산업의 스토리텔링과 홍보마케팅 서경대학교 문화콘텐츠학부(학부장 이희주)는 전공역량 강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김용신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

[인사] 전규열 박사, 공감신문 대표 및 발행인으로 취임 file

전규열 공감신문 신입 대표 전규열 경영학 박사 겸 서경대 겸임교수가 1일 공감신문 대표 및 발행인으로 취임했다. 전 신임 대표는 청와대와 국회출입기자, 한국은행과 은행연합회 등 금융권 출입기자와 시사저널 객원논설위원...

서경인 인터뷰: 대만 명도대학에서 교환학생 과정 이수 후 귀국한 국제비즈니스어학부 중어전공 16학번 용연중 - 이지민 학생 file

서경대학교는 세계적 교양인 양성에 교육목표를 두고 해외 교환학생을 선발, 아시아, 미국, 유럽 등지에 파견하고 있다. 교환학생 제도는 국제화 시대를 맞아 학생들의 외국어능력 향상과 선진국 학생들과의 문화 교류, 친목을 통...

대입 적성고사 운영 9개 대학 ‘연합 입시설명회’ 개최 file

2020학년도 대입에서 적성고사전형을 운영하는 9개 대학이 적성고사 전형에 관심있는 수험생, 학부모 및 고교 교사를 대상으로 연합 설명회를 개최한다. 성결대 등 9개 대학은 22일부터 8월 18일까지 총 6회에 걸쳐 ‘전국 적성...

서경대 권현빈, 대학매거진 표지 장식…"여심도둑 스윗남" file

'프로듀스101 시즌2'에서 돋보이는 미모를 발산했던 권현빈이 대학매거진 표지를 장식했다. 매거진 대학내일은 10일 공식 SNS와 홈페이지에 "대학내일 823호 표지모델 권현빈"이란 글과 함께 권현빈의 화보를 공개했다. 화보 속 ...

은퇴 세대의 경험과 지혜를 나누는 ‘삼삼오오 인생나눔활동’ file

5개 권역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영남권, 호남권 주관 실시 ▲5개 권역에서 주관하는 '삼삼오오 인생나눔활동' 포스터./사진제공=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박양우 장관 , 이하 문체부)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박종관 위원장...

‘채널 CGV’서 서경대학교 홍보 CF 방영 file

11월 2일~12월 20일 두달 간 총 116회 영화를 전문으로 하는 케이블 TV 및 위성 DMB 방송인 ‘채널 CGV’가 서경대학교 홍보 CF를 11월 2일부터 12월 20일까지 두달 간 총 116회에 걸쳐 방영한다. 방영 시간은 매일 오...

우리도 한다! 서경인의 유튜브 #1. 예술대학편 file

전 세계 유튜브 이용자 19억 명, 채널 수 2,400만 개, 바야흐로 유튜브 전성시대다. 서경인들도 요즘엔 포탈 못지 않게 유튜브를 자주 클릭할 것이다. 실제로 개개인이 자유롭게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해 전 세계 모든 사람들...

2019년 콘텐츠 창의인재동반사업 서경대학교 오픈특강 file

<극한직업>의 베테랑 시나리오 작가 배세영 ‘스토리텔러, 스토리를 말하다-영화 시나리오의 모든 것’ 주제로 9월 26일(목) 오후 4시 서울 동대문구 홍릉콘텐츠인재캠퍼스서 강연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단장 이석형)은 9월 26일(목)...

서경대학교 예술종합평생교육원 홈페이지, K-디자인 어워드 위너 수상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예술종합평생교육원의 홈페이지가 ‘K-디자인 어워드’ 커뮤니케이션 부문에서 위너를 수상했다. 수상의 영예를 안은 서경대학교 예술종합평생교육원 홈페이지(https://lifeedu.skuniv.ac.kr/)는 기관의 우수함과 트렌...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