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1).JPG


태풍 다나스가 오기 전까지 중부는 마른장마였다. 며칠 빗줄기가 비치더니 곧바로 폭염이 닥쳤다.

 

푸른 매실이 누렇게 익어가는 황매(黃梅)의 계절에는 큰비가 자주 온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장마를 梅雨 혹은 黃梅雨라고 부른다. 옛 중국 농부들은 장마 때 강수량을 어떻게 예측할 수 있었을까? 나름의 노하우가 있었다. 그들이 즐겨 불렀던 노동요(勞動謠)를 하나 보자. “도화(桃花) 물 넘치면 필시 마른장마(發盡桃花水 必是旱黃梅)로다.” 복숭아 꽃 피는 봄에 비 많으면 장마철에는 비가 적다는 얘기다. “봄날에 물 많으면 여름에 물 마르네(春水鋪 夏水枯)”라고도 노래했다.

 

이 같은 격언은 한둘이 아니다. “음력 정월 눈 내린다. 황매 때엔 물 들겠네(臘月里雪多 水黃梅).” 겨울에 강설량 많으면 장마 때 물난리가 난다는 얘기다. “동풍 불면 여름비 넘치니(行得春風 必有夏雨)”란 가사도 있다. 계절 간 날씨에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이들은 진작에 간파했다. 옛 중국 농부들이 장마에 대비할 수 있었던 이유다.

관찰과 추적이 필요한 게 어디 날씨뿐일까. 특히 국가 간 갈등 국면에선 관찰이 핵심이다. 세종실록을 보자. 세종은 붕어(崩御) 사흘 전인 1450(세종 32) 214일 동부승지 정이한에게 유언을 남겼다. “()와 야인(野人·북방 여진족)은 가볍게 대할 일이 아니다. 언제라도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

 

유언은 지켜지지 않았다. 조선 정부는 통신사 파견을 그만뒀고, 임란(壬亂) 직전 보낸 통신사들은 말이 엇갈려 도움이 되지 못했다. 징비록(懲毖錄)을 보면 통신사 김성일은 침략 징후가 없다고 말한 이유를 백성들이 동요할 것 같아서라고 답했다. 기가 막힌 일이다. 왜란 직전, 부산의 왜인들이 물에 씻긴 듯 사라졌을 때도 조정은 태평무사였다. 왜란은 인재(人災)였다.

 

요즘 일본과 불편하다. 시비(是非)는 일단 접어놓자. 외교 관계에서 잘잘못을 따지는 건 무의미하니까. 언제나 실익이 먼저다. 대의를 따질 때도 실익은 챙겨야 한다.

그런데도 우리 정부는 손을 놓고 있었다. 추적은커녕 관찰도 없었다. 대기업 총수를 줄줄이 청와대로 불러 총알받이 삼는 듯한 뒷북만 칠 뿐이다. 이제라도 늦지 않았다. 뒷북 아닌 앞북을 보고 싶다. 실사구시(實事求是)라는 평범한 진리를 아직도 되뇌어야 하는가?

 

진세근 서경대 겸임교수·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사무총장


<원문출처>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3530619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2998

서경대학교 국제비즈니스어학부 노어전공, 제1회 한·러 청년문화교류포럼 개최 file

11월 13일(수) 서경대 본관 8층 컨벤션홀서 서경대학교 국제비즈니스어학부 노어전공(주임교수 잔나)이 주관한 제1회 한·러 청년문화교류포럼이 지난 11월 13일(수) 서경대 본관 8층 컨벤션홀에서 개최되었다. 한국과 러시아 청년들 ...

서경대학교, Design Thinking 활용 창업캠프 운영 file

혁신에 도달하기 위한 방법론인 Design Thinking을 창업캠프에 접목 창업아이템 발굴을 위한 Ideation 능력 향상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SKU Design Thinking 창업캠프 운영을 통해 재학생들로 하여금 Design T...

투표합시다! 서경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생 여러분! - 11월 27일 ~ 28일 이틀간 치러진 투표 통해 ‘학생을 우선으로 생각하며 최고로 나아가는’ 제20대 ‘으뜸’ 사과대(정학생회장 군사학과 15학번 권순재 군, 부학생회장 글로벌경영학과 15학번 조하경 양) 당선 file

①즉각 소통을 위한 카카오톡 옐로우 아이디 개설 ②프로모션을 통한 각종 이벤트 ③간식 지원 ④보조배터리 및 우산 대여 ⑤프린트기 지원 ⑥개강 총회 및 소모임 지원 등 공약 내걸어 지난 11월 27일 월요일부터 28일 화요...

<2021 신춘문예> 아이들 행복한 세상위해 처음의 마음 잊지 않을 것 file

■ 동화 당선소감 2015년 봄으로 기억합니다. 아내가 수락산 둘레길에서 본 바위 사진을 하나 내밀며 말했습니다. “이 바위, 거인 손자국 같지 않아?” 번쩍 이야기 하나가 떠올랐습니다. 저는 신이 나서 들려주었고,...

성북구 정릉3동 고려대-국민대 등과 깨끗한 마을 조성 화제 file

동덕여대 서경대 등 지역 4개 대학 ASEZ 연합동아리와 같이 지역 가꾸기에 나서 성북구(구청장 이승로) 정릉3동이 주민들에게 맑고 깨끗한 환경을 조성하고 청소를 통해 골목자치 동네자치를 견인해 나가고 있어 눈길을 모은다....

서경대 '교육국제화 인증대학' 선정 file

서경대(총장 최영철)는 교육부가 주관한 '2020년도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IEQAS)' 평가에서 인증대학으로 선정됐다고 17일 밝혔다. 인증기간은 2022년 2월까지다.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IEQAS)는 대학의 국제학생 유치와 관리 ...

[디지털인문학] 대학입시와 서열화 file

반성택 서경대 철학과 교수 반성택 서경대 철학과 교수 대학을 둘러싸고 두 담론이 등장해 있다. 입학자 감소와 대학입시이다. 대개 수요가 감소하면 가격이 내린다는데, 줄어드는 지원자에도 불구하고 한 단계 상위권 대학으로...

서경대학교, ‘제4회 전국 뮤지컬 경연대회’ 개최 file

8월 4일(토) 오전 10시, 서경대학교 은주관서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오는 8월 4일(토) 오전 10시 교내 은주관에서 ‘제4회 서경대학교 전국 뮤지컬 경연대회’를 개최한다. 서경대학교 서경예술교육센터(센터장 김범준 부총장)와 ...

‘서경대 사람들’ 인터뷰: 총학생회 류기선 회장과 신지훈 부학생회장 file

학생들의 ‘의견’과 ‘참여’는 좋은 학교를 만들고 운영하는 원동력 45대 총학생회는 학생회의 이름을 ‘동행’이라고 지을 만큼, 학생회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파트너인 학우들의 역할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마치 수레의 두 바퀴...

[진세근 서경대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漢字, 세상을 말하다] 弔問<조문>

조문은 죽은 자를 찾아 명복을 비는 일이다. 문상(問喪)이라고도 한다. 중국에서는 조문 대신 조언(吊唁) 혹은 조상(吊丧)이란 표현을 더 많이 쓴다. 弔는 吊의 이체(異體)다. 글자 모양은 다르지만 같은 뜻이란 얘기다.중국의 장...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