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탄소감축 정책에 수송 및 발전용 바이오연료 역할↑
미국·EU, 바이오에탄올 및 바이오가스 생산 확대


지앤이타임즈(1).jpg

▲ 18일 열린 한국바이오연료포럼 심포지엄에서 서경대 김기은 교수가 발표하고 있다.


세계적으로도 바이오연료의 중요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이산화탄소 감축의 주요수단으로서 그 역할은 더욱 각광받을 것입니다”.

 

18일 임피리얼 팰리스 서울호텔에서 개최된 한국바이오연료포럼 창립총회 및 기념 심포지엄에서 서경대 김기은 교수는 이 같이 주장하고, 온실가스 감축에 바이오연료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기은 교수는 국제에너지기구에서는 중국의 경우 바이오연료 수요가 2030년까지 2016년의 3, 2060년에는 10배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바이오연료의 중요성과 가능성을 계속해서 강조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세계적으로 2050년이되면 수송연료나 발전용연료 부문에서도 바이오연료가 중요한 자리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김 교수는 “2050년까지 전체 수송연료의 27%가 바이오연료로 대체 가능하다특히 등유나 제트연료 대체에 기여해 2.1기가톤 CO배출 억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전했다.

 

EU의 경우 발전용 바이오연료의 CO감축을 첫 번째 장점으로 꼽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우리나라 에너지정책에서도 바이오연료 보급은 CO감축이 주요목적이 될 것이라며 바이오연료를 사용할 경우 CO를 효율적으로 감축시킬 수 있으며 특히 잔류물의 정도가 없거나 비교적 적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수송용 바이오 연료에 대해서는 탄소감축 정책으로 2022년까지 수송용 바이오연료가 재생가능에너지 소비량의 9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특히 중국과 인도 등 아시아 국가에서 지속적으로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과 EU의 경우 바이오에탄올, 바이오디젤, 바이오가스 생산과 공급 인프라가 확대되고, 투자도 지속되고 있다고 김 교수는 밝혔다.

 

아울러 고급 바이오연료(Advanced Biofuel)의 상용화로 현재 전체 바이오연료 생산량의 1%에서 7배 증가가 예상되며, 탄소감축을 위한 환경정책으로 바이오연료 생산량은 13%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김기은 교수는 전기자동차의 경우 전기 생산량 증가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에너지 안보차원에서 바이오 연료의 중요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전했다.

 

이날 국내 바이오연료의 현황 및 전망을 주제로 발표한 한국과학기술원 서동진 박사에 따르면 바이오가스 생산량 중 83.5%는 이용되고 16.5%는 미활용되고 있다.

 

서 박사는 특히 음식물, 통합바이오 가스화 시설은 발전 및 외부 공급량이 높다음식물 바이오가스화 시설은 시설보완과 추가 수요 확보를 통해 이용률 제고를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국내산 바이오매스 원료확보를 위해 임도의 개발과 계획에 의한 체계적 접근을 통해 활용 가능한 산림 및 농업부산물 자원을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국내업체가 개발한 해외농장을 통한 바이오매스 원료 확보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밖에도 당질계 및 전분계 1세대 바이오매스 자원에 대한 제고 셀룰로오스계 바이오매스 확보를 통한 체계적 접근 바이오매스 원료로서의 해조류 양식 및 전환에 대한 중기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앤이타임즈(2).jpg

▲ 한국바이오연료포럼 창립총회 및 기념 심포지엄에는 

바이오연료 업계와 정부, 학계에서 약 250여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원문 출처>

지앤이타임즈 http://www.gne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3855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2483

2022년 2학기, 도전해 볼 만한 대학생 공모전 및 대외활동 어떤 게 있을까? file

코로나 19 확산세가 줄어들고 있는 가운데 전면 대면 수업을 실시하는 2022학년도 2학기가 시작된 지도 2주일이나 됐다. 1학기를 만족스럽게 보낸 학우들은 2학기에도 열심히 학업과 자기계발을 할 것이고, 1학기에 아쉬움이 남은...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조성사업단, ‘2022 성북 캠퍼스타운 온라인 아카데미’ 2학기 참여 file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조성사업단, ‘2022 성북 캠퍼스타운 온라인 아카데미’ 2학기 참여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캠퍼스타운 조성사업단(단장 김범준)은 성북 클러스터 협력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2022 성북 캠퍼스타운...

서경대학교, 한국핀테크지원센터와 상호 교류 및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한국핀테크지원센터(이사장 변영한)와 8월 26일 상호 교류 및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핀테크산업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및 참여, 교육, 연...

서경대학교, 부천시청과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관리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추진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9월 7일(수) 오전 10시 부천시청 창의실에서,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세스코 등 관련기관 관계자 참석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부천시청(시장 조용익)과 9월 7일(수) 오전 10시 부천시청 창의실에서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

[서경대 카드뉴스] 공강시간 알차게 보내는법! file

논술우수자전형, 다양한 교육혁신 추진 file

[2023 대입수시 필승전략]  ‘홍익인간의 정신을 구현하고 인류공영에 이바지한다’는 건학이념 아래 설립된 서경대는 올해 창학 75주년을 맞았다. 서경대는 지(智), 인(仁), 용(勇)을 교육이념으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대입 내비게이션 2023 수시 특집] 실용교육의 새로운 대학모델로 자리매김 소프트웨어학과 정원 120명으로 늘어 file

서경대는 올해 융합대학에 아트앤테크놀로지학과와 스포츠테크놀로지학과를 신설했다. 사진은 본관 전경. 정한경 입학처장 서경대학교는 75년 전통의 명문사학으로 ‘실용이 최고의 가치’라는 기치 아래 실용교육의 새로운 대학...

[2023수시특집] 서경대 862명(65.8%) ‘확대’.. 논술우수자전형 신설 file

어학특기자 수능최저 변경..교과 38.4% '최대' 실기26.8% 서경대는 올해 수시에서 SKU논술우수자전형을 신설한다. 논술고사는 계열 구분 없이 공통 문제로 출제되며 국어/수학을 출제범위로 한다. 국어에서 9문항 내외, 수학에서 ...

‘폴링 월스 랩 서울 2022’ 개최...9월 17일(토) 오후 2시 한국외대서 오프라인 예선, 9월 7일까지 신청, 모든 전공분야 학생 참석 가능 file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주최하고 EURAXESS Korea, 주한 독일 고등교육 진흥원(DAAD)이 공동 주관하는 ‘폴링 월스 랩 서울(Falling Walls Lab Seoul 2022)’이 오는 9월 17일 오프라인 예선을 진행한다. 폴링 월스는...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코로나 이후 일본에서 인기 높아진 한국 식품[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오늘 저녁은 비빔밥!” 지난여름, 일본의 친정집에서 만 88세 된 어머니가 미리 주문한 ‘비빔밥 세트(ビビンバ정セット)’를 꺼내며 말했다. 나는 좀 불만스러운 표정으로 “2년 반 만에 왔는데 한국 음식?”이라고 투덜댔...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