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탄소감축 정책에 수송 및 발전용 바이오연료 역할↑
미국·EU, 바이오에탄올 및 바이오가스 생산 확대


지앤이타임즈(1).jpg

▲ 18일 열린 한국바이오연료포럼 심포지엄에서 서경대 김기은 교수가 발표하고 있다.


세계적으로도 바이오연료의 중요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이산화탄소 감축의 주요수단으로서 그 역할은 더욱 각광받을 것입니다”.

 

18일 임피리얼 팰리스 서울호텔에서 개최된 한국바이오연료포럼 창립총회 및 기념 심포지엄에서 서경대 김기은 교수는 이 같이 주장하고, 온실가스 감축에 바이오연료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기은 교수는 국제에너지기구에서는 중국의 경우 바이오연료 수요가 2030년까지 2016년의 3, 2060년에는 10배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바이오연료의 중요성과 가능성을 계속해서 강조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세계적으로 2050년이되면 수송연료나 발전용연료 부문에서도 바이오연료가 중요한 자리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김 교수는 “2050년까지 전체 수송연료의 27%가 바이오연료로 대체 가능하다특히 등유나 제트연료 대체에 기여해 2.1기가톤 CO배출 억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전했다.

 

EU의 경우 발전용 바이오연료의 CO감축을 첫 번째 장점으로 꼽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우리나라 에너지정책에서도 바이오연료 보급은 CO감축이 주요목적이 될 것이라며 바이오연료를 사용할 경우 CO를 효율적으로 감축시킬 수 있으며 특히 잔류물의 정도가 없거나 비교적 적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수송용 바이오 연료에 대해서는 탄소감축 정책으로 2022년까지 수송용 바이오연료가 재생가능에너지 소비량의 9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특히 중국과 인도 등 아시아 국가에서 지속적으로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과 EU의 경우 바이오에탄올, 바이오디젤, 바이오가스 생산과 공급 인프라가 확대되고, 투자도 지속되고 있다고 김 교수는 밝혔다.

 

아울러 고급 바이오연료(Advanced Biofuel)의 상용화로 현재 전체 바이오연료 생산량의 1%에서 7배 증가가 예상되며, 탄소감축을 위한 환경정책으로 바이오연료 생산량은 13%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김기은 교수는 전기자동차의 경우 전기 생산량 증가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에너지 안보차원에서 바이오 연료의 중요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전했다.

 

이날 국내 바이오연료의 현황 및 전망을 주제로 발표한 한국과학기술원 서동진 박사에 따르면 바이오가스 생산량 중 83.5%는 이용되고 16.5%는 미활용되고 있다.

 

서 박사는 특히 음식물, 통합바이오 가스화 시설은 발전 및 외부 공급량이 높다음식물 바이오가스화 시설은 시설보완과 추가 수요 확보를 통해 이용률 제고를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국내산 바이오매스 원료확보를 위해 임도의 개발과 계획에 의한 체계적 접근을 통해 활용 가능한 산림 및 농업부산물 자원을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국내업체가 개발한 해외농장을 통한 바이오매스 원료 확보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밖에도 당질계 및 전분계 1세대 바이오매스 자원에 대한 제고 셀룰로오스계 바이오매스 확보를 통한 체계적 접근 바이오매스 원료로서의 해조류 양식 및 전환에 대한 중기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앤이타임즈(2).jpg

▲ 한국바이오연료포럼 창립총회 및 기념 심포지엄에는 

바이오연료 업계와 정부, 학계에서 약 250여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원문 출처>

지앤이타임즈 http://www.gne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3855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2534

‘서경대학교’ 라디오 CM 방송 예고 file

3월 1일(월)부터 대한민국 대표 음악방송인 CBS-음악FM 통해 전 국민에 ‘서경대학교’ 알려 서경대를 노래로 일반 국민들에게 알리는 서경대학교 라디오 CM 방송이 오는 3월 1일(월)부터 대한민국의 대표 음악방송인 CBS-음악F...

서경대, 2020년 졸업생 취업률 69.0%로 서울 4년제 주요 종합대학 중 ‘9위’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가 14일 대학알리미를 통해 공시된 '2020 고등교육기관 취업통계조사'에서 2020년 졸업생 취업률 '69.0%'를 기록하며, 서울지역 4년제 주요 종합대학 가운데 '9위'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2019년 70.2%, 5위...

‘텔레비전에 방영된 서경대 캠퍼스…얼쑤 좋다! 우리 학교’ #3 file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수업으로 학생들이 등교를 하지 않아 교정이 텅 빈 채 활력을 찾아보기 어려운 가운데에서도 서경대학교 캠퍼스에서는 TV 드라마 촬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북한산 국립공원을 곁에 둔 서경대...

세종대·명지대·서경대 등 5개 대학, 20일 대학혁신 우수사례 공유한다 file

‘2020년도 대학혁신지원사업 우수사례 성과포럼' 포스터 세종대와 명지대 등 5개 대학이 대학혁신지원사업을 통해 얻은 다양한 교육 운영의 노하우를 공유한다. 세종대(총장 배덕효) 대학혁신지원사업추진단은 명지대, 서경대, ...

세한도를 사랑한 일본인[이즈미의 한국 블로그] file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 중인 ‘한겨울 지나 봄 오듯―세한(歲寒) 평안(平安)’ 특별전에 다녀온 후, 나는 ‘세한도’를 한때 소장했던 일본인 학자 후지쓰카 ...

서경대학교, ‘금융전문가 양성과정’ 통해 금융산업 현장서 즉시 활용 가능한 실무형 금융전문가 양성에 박차 file

서경대는 '금융전문가 양성과정'을 개설하고 지난 8월과 11월 2차례에 걸쳐 AFPK 시험대비 특별반 프로그램을 운영한 데 이어 지난 11월 금융인의 날에는 현직자와의 대화 및 전문가 특강을 개최하는 등 금융 현장에서 즉...

주민 참여 이끌어 지역사회 문화예술 활성화 앞장 file

서경대학교 서경대(총장 최영철)가 지역 주민이 참여하는 문화예술사업을 통해 교육격차 해소, 미래인재 양성, 일자리 창출에 앞장서고 있다. 서경대는 2011년 교육부 주관 ‘대학 주도 방과후학교 사회적기업 육성사업’에 선...

서경대학교, 코로나 19 확산 및 장기화 속 ‘CREOS LMS’ 시스템 운영, 학생들에게 호평 받아 file

대학교육이 코로나 19의 확산 및 장기화로 비대면 수업이 주를 이루는 등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는 가운데 서경대학교가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운영해 오고 있는 ‘CREOS LMS’ 시스템이 학생들 사이에서 호평을 받고 있다. ...

서경대 ‘하이브리드 커리어 챌린지 프로그램’ 운영해 학생들의 취업준비에 대한 효능감 만족도 높여 file

서경대가 취업을 앞둔 4학년 재학생들의 취업준비 활동을 심도있게 밀착 지원하기 위해 지난해 11월25일부터 12월8일까지 2주간 온-오프라인을 병행해 진행한 하이브리드 커리어 챌린지 프로그램(CCC: Career Challenge Campus)이 취...

서경대학교 2021학년도 정시모집 경쟁률 8.81대 1 기록, 주요 대학 경쟁률 전년대비 일제히 하락 속 서울지역 4년제 주요 대학 중 2년 연속 1위 유지 file

서경대학교가 2021학년도 정시모집 경쟁률에서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서울지역 4년제 주요 대학 중 1위를 기록했다. 서경대학교는 1월 11일 2021학년도 정시 신입생 모집 원서 접수를 마감한 결과, 611명 모집(정원 내)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