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jpg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동아닷컴(1).jpg

올해는 3·1운동이 일어난 지 100년이 되는 해로 근대 서화를 소개하는 전시가 이어지고 있다.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에서 개최된 ‘자화상―나를 보다’, 갤러리현대에서 열리고 있는 ‘한국화의 두 거장―청전(靑田)·소정(小亭)’, 국립중앙박물관의 ‘근대 서화, 봄 새벽을 깨우다’ 등이 그것이다. 다음 달에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리는 ‘근대미술가의 재발견 1’도 마찬가지다. 보기 드문 작품들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인지라 나는 기꺼이 이들을 챙겨 보느라 바쁘게 지내고 있다.

지난달부터 이달 21일까지 진행된 ‘자화상―나를 보다’ 전시회는 전시 마지막 날에 겨우 다녀올 수 있었다. 지난달 대학이 개강해 바쁘게 지내다보니 놓칠 뻔했는데, 만약 안 갔더라면 크게 후회했을 것이다. 전시는 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념해 개최된 것이다. 의도가 분명하고 귀중한 작품들로 구성돼 설득력 있는 훌륭한 전시였다. 쉽게 다시 만나기 어려운 개인 소장품이 많이 전시됐다. 특히 원본이 최초로 공개된 만해 한용운의 ‘3·1독립운동 민족대표들의 옥중시(諸位在獄中吟·제위재옥중음)’가 인상적이었다. 당시 감옥에 수감됐던 독립운동가들이 그곳에서 지었던 한시를 만해가 모아 옮겨 적어 놓은 것이다. 갈색으로 변색된, 쭉 펼쳐진 작은 종이에는 붓으로 쓴 만해의 꼬장꼬장한 느낌의 글들이 가득했다.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던지고 조선총독의 암살을 계획했던 김상옥. 그 최후의 순간을 그린 구본웅의 작은 글과 그림을 보니 당시 상황이 실제로 상상되는 듯했다. 마음이 착잡해 한동안 멈춰 서서 볼 수밖에 없었다.

전시는 김옥균, 김구, 안중근, 이회영 등 개화파와 독립운동가 작품에서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나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 같은 일본인의 글씨와 그림도 포함돼 있어 흥미로웠다. 또한 얼마 전 영화를 통해 많이 알려진 박열이 일본어로 쓴 시도 있었는데, 어눌할 것으로 알고 있던 그의 일본어가 매우 유창해 깜짝 놀랄 수밖에 없었다.

한편 ‘근대 서화, 봄 새벽을 깨우다’ 전시회에서는 안중식과 서화미술회를 중심으로 당대 한국화의 명품들을 한자리에 모아 보여주었다. 안중식의 작품을 중심으로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반에 이르는 서화, 사진, 삽화 등 100여 작품을 만날 수 있다. 다양하고 체계적인 구성으로,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해주는 귀중한 자리다. 특히 관람객들을 상대로 체계적으로 준비된 도슨트의 훌륭한 해설과 설명을 들을 수 있어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이제 막 시작한 전시라서 천천히 몇 번이고 공부하듯 다녀 볼 생각이다. 

이 전시에서 인상적으로 본 작품은 안중식의 ‘백악춘효도(白岳春曉圖)’와 김은호의 ‘부감’ 초본이다. 백악춘효도는 전시를 대표하는 작품 중의 하나다. 중학교 국어시간에 암기했던 맹호연(孟浩然)의 ‘춘면불각효(春眠不覺曉)’로 시작하는 오언절구(五言絶句)의 시로 설명돼 있어 나라를 잃은 백성의 아픔을 은유적으로 표현하고 있었다. 실제로는 일제에 의해 사라진 경복궁 내 건물들이 마치 봄의 달콤한 꿈처럼 그려져 있다. 부감 초본은 김은호의 1927년 제7회 조선미술전람회도록에 수록돼 있는 그림의 초본으로 여겨진다고 한다. 일본 채색화 기법으로 완성된 일본색이 나는 출품작과 달리 서양화적인 구도와 묵으로 그려진 한국화적인 선의 담백한 맛을 자아내고 있다.
근대의 인물이나 작품들은 100년을 전후한 시간이 경과해 이제야 객관적인 연구와 평가가 시작될 시기에 이르렀다. 아직까지 수장고에서 잠자고 있는 많은 작품들이 세상으로 나와 연구되는 계기가 이번 전시들을 통해 마련되기를, 또한 이런 전시로 연구자뿐 아니라 우리 같은 일반인들도 직접 작품들을 만날 수 있기를 바란다.

흔히 사람들은 나를 일본 사람으로만 보는 것 같다. 하지만 나는 스스로 일본인이라고 의식하며 살지 않는다. 한국이나 세계 어디에서든 일본과 관련된 작품을 접할 때도 그저 그 자체를 바라본다. 아름다운 것이 있다면 감동하고, 추악한 현실이나 역사에 대해서는 분노하고 가슴 아파한다. 이렇듯 특별한 의도를 지니고 전시와 작품들을 만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줬으면 좋겠다. 이번 주말에도 박물관이나 미술관을 찾아 천천히 발걸음을 옮겨볼 생각이다. 

<원문출처>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1286

임성은 서경대 공공인재학부 교수 기고: 의정 갈등, 실손보험 비급여 개혁으로 풀자 file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 대강당의 적막한 모습. 뉴시스 필수 진료과와 지방병원의 의사 구인난. 대한민국 의료의 당면한 가장 큰 문제이자 의정 갈등의 배경이다. 이 갈등을 푸는 핵심 방안으로 실손보험의 조정을 제안하고...

서경대, 교육부 ⌜2024년 농어촌 우리동네 예술학교⌟ 전문기관 선정 file

올해 세종특별자치시 21개 초중등학교 40여 개 분야 문화예술교육 4,660여 차시 운영 서경대학교(총장 김범준) 문화예술센터(센터장 최은정)는 교육부 ⌜2024년 농어촌 우리동네 예술학교⌟ 사업의 전문기관으로 선정돼 세종특별자...

[서경대 MFS] 영국의 디지털 자산 관리 Moneyfarm file

서경대학교 MFS(Mobile Financial Service) 연구회는 금융정보공학과 서기수 교수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연구모임으로 세계적으로 급변하는 핀테크시장의 흐름과 동향파악을 통해서 국내 금융시장의 발전에 조금이라도 기여하기...

[서경대 카드뉴스] 2024년도 단과대별 체전 file

<홍보실=이세인 학생기자>

오은영 서경대 영화영상학과 교수 등 국내 프로듀서 5인, 사상 첫 칸 영화제 네트워킹 무대 선다 file

프랑스 칸 국제영화제가 오는 15일부터 20일까지 열리는 가운데 사상 최초로 오은영 서경대 영화영상학과 교수 등 우리나라 영화 프로듀서 5인이 필름마켓 프로그램 공식 협력사로 초청됐다. 13일 영화진흥위원회에 따르면 칸 필...

서경대학교, 성북구 · 구내 대학교와 함께 이육사 탄생 120주년 기념 문화제 ‘Re:육사’ 개최 file

5월 18일(토) 길음로 꿈빛극장서, 창작뮤지컬 ‘육사, 그 씌어지지 않는 편지’ 선보여 서경대학교(총장 김범준) 문화예술센터(센터장 최은정)는 성북구(구청장 이승로), 성북문화원(원장 김영일), 동덕여자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

고운실 서경대학원 경영학과 외래교수 기고 : ‘자연치유’가 시사하는 ‘ESG 경영’ file

고운실 서경대 대학원 경영학과 외래교수 소나무 숲에 송충이가 창궐해 온 산의 소나무를 갉아 먹어 고사시킬 것 같지만, 자연은 송충이의 천적이 바로 번식해 송충이를 잡아먹기 때문에 자연성을 회복하고 숲속 자연의 평...

"랭키파이가 알려드립니다"···국내 대학교 트렌드지수 file

4월 5주차 기준 국내 대학교 트렌드지수 순위를 랭키파이가 알아봤다. 현재 국내 대학교 부문은 최근 많이 언급되어 대중들의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트렌드지수는 전주 키워드 검색량과 구글 트렌드점수를 합산해...

2024 서경대학교 대동제, ‘For:rest’ 주제로 5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3일간 교내 스콘 스퀘어 등지에서 성황리에 열려 file

한숲 총학생회 주최 아래, 학과별 다양한 컨셉의 부스 운영 동아리·소모임 공연 및 아티스트 축하공연 등 이어져  서경대학교 제52대 한숲 총학생회(총학생회장 김종휴,부총학생회장 서재완) 주최로 지난 5월 8일(수)부터 10...

‘서경대학교 산학협력활동 우수 교원’ 기획시리즈 ② - 나노화학생명공학과 서성철 교수 file

서경대학교는 산업 발전 및 기업과의 상생, 새로운 미래가치 창출을 위해 정부와 지자체, 국책 연구기관, 기업 등과 130여 건의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다양한 정책사업 유치 및 공동연구 기술개발, 전문 인재 양성 사업 등을 수...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