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jpg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동아닷컴(1).jpg

올해는 3·1운동이 일어난 지 100년이 되는 해로 근대 서화를 소개하는 전시가 이어지고 있다.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에서 개최된 ‘자화상―나를 보다’, 갤러리현대에서 열리고 있는 ‘한국화의 두 거장―청전(靑田)·소정(小亭)’, 국립중앙박물관의 ‘근대 서화, 봄 새벽을 깨우다’ 등이 그것이다. 다음 달에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리는 ‘근대미술가의 재발견 1’도 마찬가지다. 보기 드문 작품들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인지라 나는 기꺼이 이들을 챙겨 보느라 바쁘게 지내고 있다.

지난달부터 이달 21일까지 진행된 ‘자화상―나를 보다’ 전시회는 전시 마지막 날에 겨우 다녀올 수 있었다. 지난달 대학이 개강해 바쁘게 지내다보니 놓칠 뻔했는데, 만약 안 갔더라면 크게 후회했을 것이다. 전시는 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념해 개최된 것이다. 의도가 분명하고 귀중한 작품들로 구성돼 설득력 있는 훌륭한 전시였다. 쉽게 다시 만나기 어려운 개인 소장품이 많이 전시됐다. 특히 원본이 최초로 공개된 만해 한용운의 ‘3·1독립운동 민족대표들의 옥중시(諸位在獄中吟·제위재옥중음)’가 인상적이었다. 당시 감옥에 수감됐던 독립운동가들이 그곳에서 지었던 한시를 만해가 모아 옮겨 적어 놓은 것이다. 갈색으로 변색된, 쭉 펼쳐진 작은 종이에는 붓으로 쓴 만해의 꼬장꼬장한 느낌의 글들이 가득했다.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던지고 조선총독의 암살을 계획했던 김상옥. 그 최후의 순간을 그린 구본웅의 작은 글과 그림을 보니 당시 상황이 실제로 상상되는 듯했다. 마음이 착잡해 한동안 멈춰 서서 볼 수밖에 없었다.

전시는 김옥균, 김구, 안중근, 이회영 등 개화파와 독립운동가 작품에서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나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 같은 일본인의 글씨와 그림도 포함돼 있어 흥미로웠다. 또한 얼마 전 영화를 통해 많이 알려진 박열이 일본어로 쓴 시도 있었는데, 어눌할 것으로 알고 있던 그의 일본어가 매우 유창해 깜짝 놀랄 수밖에 없었다.

한편 ‘근대 서화, 봄 새벽을 깨우다’ 전시회에서는 안중식과 서화미술회를 중심으로 당대 한국화의 명품들을 한자리에 모아 보여주었다. 안중식의 작품을 중심으로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반에 이르는 서화, 사진, 삽화 등 100여 작품을 만날 수 있다. 다양하고 체계적인 구성으로,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해주는 귀중한 자리다. 특히 관람객들을 상대로 체계적으로 준비된 도슨트의 훌륭한 해설과 설명을 들을 수 있어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이제 막 시작한 전시라서 천천히 몇 번이고 공부하듯 다녀 볼 생각이다. 

이 전시에서 인상적으로 본 작품은 안중식의 ‘백악춘효도(白岳春曉圖)’와 김은호의 ‘부감’ 초본이다. 백악춘효도는 전시를 대표하는 작품 중의 하나다. 중학교 국어시간에 암기했던 맹호연(孟浩然)의 ‘춘면불각효(春眠不覺曉)’로 시작하는 오언절구(五言絶句)의 시로 설명돼 있어 나라를 잃은 백성의 아픔을 은유적으로 표현하고 있었다. 실제로는 일제에 의해 사라진 경복궁 내 건물들이 마치 봄의 달콤한 꿈처럼 그려져 있다. 부감 초본은 김은호의 1927년 제7회 조선미술전람회도록에 수록돼 있는 그림의 초본으로 여겨진다고 한다. 일본 채색화 기법으로 완성된 일본색이 나는 출품작과 달리 서양화적인 구도와 묵으로 그려진 한국화적인 선의 담백한 맛을 자아내고 있다.
근대의 인물이나 작품들은 100년을 전후한 시간이 경과해 이제야 객관적인 연구와 평가가 시작될 시기에 이르렀다. 아직까지 수장고에서 잠자고 있는 많은 작품들이 세상으로 나와 연구되는 계기가 이번 전시들을 통해 마련되기를, 또한 이런 전시로 연구자뿐 아니라 우리 같은 일반인들도 직접 작품들을 만날 수 있기를 바란다.

흔히 사람들은 나를 일본 사람으로만 보는 것 같다. 하지만 나는 스스로 일본인이라고 의식하며 살지 않는다. 한국이나 세계 어디에서든 일본과 관련된 작품을 접할 때도 그저 그 자체를 바라본다. 아름다운 것이 있다면 감동하고, 추악한 현실이나 역사에 대해서는 분노하고 가슴 아파한다. 이렇듯 특별한 의도를 지니고 전시와 작품들을 만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줬으면 좋겠다. 이번 주말에도 박물관이나 미술관을 찾아 천천히 발걸음을 옮겨볼 생각이다. 

<원문출처>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2784

‘서경대 사람들’ 인터뷰: 한국무역보험공사 공모전 대상 수상 - 나유진 서경예술종합평생교육원 시각디자인학전공 3년 file

“더 크게 성장하여 사람들이 많이 공감할 수 있는 작품 만드는 브랜딩 디자이너 될 것” 지난 7월 28일 한국무역보험공사가 개최한 ‘제7회 한국무역보험공사 대학(원)생 인쇄광고 공모전’에서 금상을 수상한 나유진(서경예술종...

서경대 사람들 :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 왕 청 학생, 국제미용기능경기대회 고용노동부 장관상 수상 file

K-Pop을 좋아하던 소녀, K-Beauty 베테랑이 되다 지난 제15회 KASF 2017 국제미용기능경기대회 시상식에서, 1,500여 명의 참가자 중 단 3명만 받을 수 있는 최고상인 고용노동부장관상에 왕 청 학생이 선정되었다. 기술인들이 실...

구자억 서경대 인성교양대학장 출연 : [KBS 공감토론] 한중 수교 25주년, 양국관계 진단 file

지난 8월 23일 오후 7시 구자억 서경대학교 인성교양대학장이 KBS방송사의 라디오 프로그램 [KBS 공감토론]에 패널로 출연했다. [KBS 공감토론]은 한 주간 주요 이슈를 중심으로 한 가지 이상의 주제를 다루는 프로그램으로...

김유경 서경대 교수의 ‘드라마 속 뷰티’ 따라잡기 - ① file

“아름다움을 위한 거짓 볼륨은 이제 통하지 않는다” 김유경 교수 [한강타임즈] ‘우아하고 지적인 사람이 섹시하기까지 하다?’ 이 말을 듣는 순간 ‘예쁜 사람이 착한사람’이라고 통칭하는 근간의 말보다 더 어이없고 기막...

이승주 서경대 도시공학과 교수 서울시 도시재생 정책관련 인터뷰 : “도시정책 대부분 5~6년짜리 치적 쌓기...장기 계획 세워야” file

“단기성과를 보여주는 데 치우친 측면이 있다.” 이승주(54·사진) 서경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서울시 도시재생 정책에 대해 이같이 진단했다. 그는 “관 주도의 도시재생에서 민간과 마을 주민이 모두 참여하는 지속 가능한 재생...

[2018 대입수시 필승전략]서경대, ‘CREOS형 글로벌 리더’ 양성…특성화-실용화-국제화 강조 file

1947년 창학한 서경대는 지혜와 용기, 어진 품성을 갖춘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그동안 국가에 기둥이 되고 사회에 힘이 되는 많은 인재를 배출해 왔다. 서경대의 강점은 ‘실용’과 ‘혁신’, ‘글로벌’로 집약된다. 사회와...

적성고사, 고교 교육과정 내에서 출제 file

[우리 대학 이렇게 뽑는다] 서경대학교 정한경 교무처장 1947년 창학해 올해 개교 70주년을 맞은 서경대학교는 지혜와 용기, 어진 품성을 갖춘 인재 양성을 목표로 그동안 국가의 기둥이 되고 사회에 힘이 되는 많은 인재를...

[특성화]서경대 미용예술대학, 뷰티 산업 발전에 기여할 글로벌 인재 양성 file

/ 서경대 제공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은 15년 이상 축적한 미용 예술 경험과 교육, 연구, 지식을 바탕으로 국내 최고 수준의 커리큘럼과 다양한 교육 콘텐츠를 갖추고 있으며, 학부·석사 과정은 물론, 국내 최초로 박사 과정...

서경대학교, 디자인·미용 등 관련과 실기비율 조정 file

서경대는 2018학년도 수시모집에서 학생부(교과), 실기 위주 전형으로 총 809명을 선발한다. 학생부(교과)위주전형에는 일반학생①·교과성적우수자·사회기여자·군사학과·자격증소지자(뷰티테라피)·미용고출신자·농어촌학생·특성화고 졸업재직자...

서울여대, 서울시 동북4구 대학 산학협력단장 포럼 개최 file

서울여대는 “서울시 동북4구(강북·노원·도봉·성북구) 대학 산학협력단장 포럼을 서울여대 행정관 중회의실에서 지난 29일 개최했다”고 30일(수) 밝혔다. 서울시 동북4구 대학 산학협력단장 포럼은 서울 △강북구 △노원구 △도봉구 ...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