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세계의 고등교육 - 중국 대학사이언스파크


구자억 서경대 대학원장.jpg

구자억 서경대 대학원장


중국을 어떻게 보아야할까? 미래기술을 선도하는 국가로 나가고 있다고 보아야 할까, 아니면 미국같은 선진기술국가의 뒤를 쫓거나 모방하는 국가로 보아야 할까. 이에 대한 정확한 대답을 내기는 어렵다. 다만 언론을 통해 혹은 객관적인 수치를 통해 중국의 기술이 꽤 높은 수준에 도달했다는 것은 알 수 있다. 이러한 기술발전은 해외인재 유치, 선진국가 기술 벤치마킹, 중국정부의 교육과 과학 우선발전 전략 추진 등 여러 가지 원인이 있다. 그중에서도 중국 대학 내에 설립된 사이언스파크는 중국기술발전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


대학사이언스파크는 중국에서 대학과기원이라 불린다. 이런 중국의 대학과기원은 대학에 조성된 산, , 연 연합체로 현재 110여개가 있다. 국가급과 성급이 있으며, 대부분이 중국내의 유수한 대학 내에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특이한 대학사이언스파크도 있다. 선젼에 설치된 대학과기원인 선젼버츄얼유니버시티 파크다. 이 선젼과기원은 60여개의 국내외 대학을 분교형태로 입주시켜 과기원으로 만든 경우다. 이곳의 특징은 산, , 연 클러스터를 만들고, 이를 통해 지역기술발전과 지역인재를 육성하도록 설계되었다는 점이다. 베이징대학, 조지아텍 등 국내외 유수한 대학들이 이곳에 연구소를 세우고,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한편으론 지역에 필요한 석박사 학생들을 교육시키는 역할도 하고 있다. 여기선 대학들이 연구한 결과가 곧바로 창업으로 연결된다. 인큐베이팅 과정을 거쳐 성과가 좋으면 외부로 진출해 더 크게 발전시킨다. 당연히 지원시스템이 필요한데, 정보공유를 위한 과기원내 정기교류장치가 있다. 공동실험실도 운영된다. 특히 창업자를 위해 투자회사를 운영함으로서 창업의 어려움을 해결하도록 하고 있다.


중국의 대학과기원은 이제 중국 기술발전의 견인차가 되고 있다. 앞에서 본 선젼과 같은 경우는 아예 다수의 유수대학을 유치해 대학과기원을 만든 경우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대학과기원은 지역 내 특정대학에 설치한다. 예를 들면 베이징대학 과기원, 저쟝대학 과기원 같은 형태다. 분명한 것은 이들이 지역기술발전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다. 또 창업의 산실이기도 하다. 과기원은 현재 인큐베이터기업 9972, 인큐베이터 기업의 수입 3012000만 위안, 인큐베이터 기업의 직원수는 163천여 명에 달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전에 이공계 연구소 클러스터가 있고, 판교밸리도 있다. 이들도 많은 성과를 내고 있는 것만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들은 연구소나 기업위주의 구조를 띠고 있다. , , 연이 일체가 된 모형이라고 보기에는 한계가 있다. 우리도 4차산업혁명시대를 맞아 대학의 산, , , 지역협력에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된다.


첫째, 대학이 지역 기술발전의 선도자가 되어야 한다. 대학이 산업발전의 모태가 될 필요가 있다. 중국의 대학과기원은 그런 측면에서 한 사례가 될 수 있다. 실리콘밸리를 탄생시킨 스탠포드대학 사례를 보아도 대학이 지역발전과 기술발전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알 수 있다. 둘째, 대학이 학생들의 창업 인큐베이팅 역할을 하는 것이다.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것은 바로 창업을 통한 지역발전이다. 중국의 대학과기원에서는 대학생 창업이 일상화되어 있다. 여기서 학생들은 새로운 생각에 몰두하고, 이를 통해 창업을 창조한다. 셋째, 대학이 지방경제 및 기술발전을 위한 고급인재 양성 및 기업인큐베이팅을 통해 상생의 고등교육 특성화 모델이 되어야 한다. 그래야만 지역소재 대학도 살고, 비장도 산다.


4차산업혁명은 대학운영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다. 새로운 패러다임은 대학운영, 교육, 사회네트워킹 등 다양한 측면에서 새로운 접근을 말한다. 중국의 대학과기원은 4차산업혁명시대 대학이 어떤 모습으로 생존해야 할지 보여주는 모델이 될 수 있다.


<원문출처>

교수신문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43998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1323

성북구 정릉 마을장터 ‘개울장’, 20일 개장 file

성북구(구청장 이승로) 정릉의 명물 '마을장터 개울장'이 5월 20일에 다시 돌아온다. '마을장터 개울장'은 인근 전통시장 상인과 주민이 서로 소통하고 화합하여 골목상권과 지역공동체를 활성화하고자 2014년 시작한 성북구 대표 ...

서경대학교 신문 569호 file

발로 뛰는 지성 언론, 서경대 신문 569호입니다.

서경대, 최영희 국회의원에게 명예미용예술학박사학위 수여 file

학위수여식 후 재학생 대상 ‘강점에 집중해 앞서가라-나만의 차별화 전략’ 주제로 특강 개최 서경대학교(총장 직무대행 김범준)는 5월 16일(화) 최영희 국회의원(비례대표/국민의힘, 제21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청원심사소위원회...

동작구, 서경대와 조례 제·개정 연구 돌입…"구민 복리 증진 힘쓸 것“ file

지난 11일 동작구 조례 제·개정을 위해 모인 '동작구 조례 연구회'와 연구책임자인 한기영 서경대 교수 등 연구진이 토론회를 가진 뒤 기념촬영하고 있다. 서울 동작구의회 의원연구단체 ‘동작구 조례 연구회’(이하 연구회)...

2023년 서경대학교 이공대학 체육대회 ‘이공체전’ 성료 file

종합우승 소프트웨어학과, 준우승 나노화학생명공학과, 3위 전자컴퓨터공학과 차지 7개 학과 참여, 5월 8일(월)부터 12일(금)까지 닷새간 스콘 스퀘어 등서 8개 종목 열전 펼쳐 서경대학교 제32대 ‘바다’ 이공대학생회가 주최하는...

서경대학교 진로심리상담센터, ‘찾아가는 일상회복’ 마음건강 캠페인 전개 file

5월 9일(화) 교내 북악관 건물 앞과 로비서 마음건강 점검과 건강한 캠퍼스 생활 영위토록 다양한 체험활동 제공 ▲찾아가는 일상회복 마음건강 캠패인 원예프로그램- 화분만들기 서경대학교 진로심리상담센터(센터장 민미희 교...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조성사업단 ‘성북 문화예술 아카데미 (1학기)’ 발표 공연 file

4월 22일부터 진행된 ‘바로크 악기 연주 강좌’ 발표 연주회, 5월 12일(금), 낮 12시 유담관 로비층서 공연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조성사업단(단장 김범준)은 대학의 자원을 활용해 지역 주민들의 문화예술분야 전문역량을 ...

서기수 서경대 금융정보학과 교수 칼럼:금융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 file

서기수 교수의 디지털금융 이야기① 서기수 금융정보공학과 교수 얼마 전 모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서 핀테크와 디지털 세상에 대해서 의견을 얘기하던 중 '앞으로 금융이라는 용어 자체가 사라질 것이다'라고 언급한 ...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 실용무용전공 멘토스팀(지정빈, 윤지환, 김민재, 손정현, 박진우) 전국청소년통일댄스퍼포먼스대회에 출전해 ‘금상’(2등) 차지 file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 실용무용전공 재학생들이 지난 4월 8일(토) 전주 풍남문 광장 야외 특설무대에서 열린 전국청소년통일댄스퍼포먼스대회에 참가해 ‘금상’(2등)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뤘다. 올해로 제10회를 맞이한 전...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 한국무용전공 4학년 조은서 학생,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최고의 경연대회인 (사)대한무용협회가 주최하는 ‘제60회 전국 신인무용경연대회’ 참가해 ‘동상’ 수상 file

조은서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 한국무용전공 4학년에 재학 중인 조은서 학생이 대한민국 차세대 신인 무용스타의 등용문인 전국 신인무용경연대회에 참가해 ‘동상’을 수상했다. 조은서 학생은 지난 3월 30일(목) 대한민국 ...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