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이즈미.jpg
3월, 신학기가 시작됐다. 나는 대학에서 일본어와 일본문화를 가르치고 있다. 매년 1학년 일본전공 강의실에서는 ‘아이우에오(あいうえお)’부터 시작한다. 알다시피 ‘아이우에오’는 한국어의 ‘가나다’에 해당하는 일본어 학습의 첫걸음이다. 어학은 문자 쓰기, 읽기, 발음하기, 리듬을 몸에 익히는 것부터 시작한다.

아직 쌀쌀한 강의실에서 ‘아이우에오’라는 내 목소리에 힘차게 따라하는 학생들의 목소리가 이어진다. 반짝반짝 빛나는 1학년 학생들의 눈동자를 보고 있자니 박찬욱 감독의 작품 ‘아가씨’(2016년)가 생각났다. 특히 당시 신인이었던 김태리 배우의 눈망울이 생각난다. 신입생들과 똑같은 눈을 하고 있었다.

나는 이 영화에서 일본어 대사 번역과 배우들의 일본어 지도를 담당했다. 촬영 시작 6개월 전인 2015년 1월부터 일본어 교육은 시작됐다. 기초교육, 대사교육, 그리고 영상과 일본어 대사의 확인, 후시(後時)녹음까지 포함해 작업들은 상영 직전까지 이어졌다.

박 감독과의 작업은 마치 실험과 같았다. 일본어 네이티브가 아닌 한국인 배우에게 일본인 또는 일본어를 모국어 수준으로 말하게끔 연기를 시키는 것이었다. ‘아가씨’의 일본어 대사는 1930년대의 것으로 현대 일본인도 사용하지 않는 난해하고 고풍적인 것이었다. 대부분 처음 일본어를 학습하는 배우에게 네이티브 수준의 일본어 대사를 익히게 한다는 것은 ‘극한직업’과도 같은 작업이었다. 어디까지 리얼리티를 끌어올릴 수 있는지가 승부 지점이었다. 

이즈미1.jpg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타협을 허락하지 않는 감독에게 내가 주장한 것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일대일로 개인지도를 해야 한다. 둘째, 일본어 대사가 있는 모든 배우를 지도해야 한다. 셋째, 가능한 한 ‘아이우에오’를 익히고, 한국어 발음을 쓰지 않으며, (모국어의 간섭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 히라가나 표기로 대사를 써 읽게 한다. 넷째, 배우에 따라 어려운 발음이 있으면 그에게 맞춰 일본어 대사를 다소 수정한다.

한국인에게 일본어는 배우기 쉬운 언어다. 일본어와 한국어의 어순이 같고, 공통된 한자어가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비슷하기에 차이를 인식하기 어렵고 방심하기 쉽다. 발음에 한국어에는 없는 ‘악센트’와 ‘박(拍)’이 있기 때문이다. ‘박’이란 ‘음절 한 개의 길이에 해당하는 시간적 단위’다. 예를 들어 ‘토쿄(東京)’는 2박이 아니라 4박 ‘토오쿄오’이고, 장음의 현상이 일어나 ‘토∼쿄∼’가 된다. ‘오사카(大阪)’도 3박이 아니라 ‘오∼사카’의 4박이 된다. 영화 대사에서는 특히 박 수가 중요하다. 음성은 후시녹음으로 수정할 수 있는데, 이때 박이 맞지 않으면 입 모양과 대사가 맞지 않아 고칠 수 없기 때문이다. 

‘아가씨’에서는 시나리오의 일본어 대사에 박과 악센트를 표기했다. 감정에 열중하면 박이 흐트러져서 되풀이하며 지도했다. 어디가 어떻게 틀린지를 묻는 배우에게 잘 설명하지 못해 진땀을 흘린 적도 많았다.

감각적으로 대사를 인지하는 하정우 배우와 김민희 배우, 논리적으로 이해하려는 조진웅 배우, 어학 소질이 뛰어난 김태리 배우는 타고났다는 느낌이었다. 일본어를 아는 문소리 배우는 원문 호흡에 맞춰 함께 의논하며 일본어 대사를 수정하기도 했다. 김해숙 배우는 직전에 일본어 대사가 바뀌어도 전혀 흔들림이 없어 연기자로서의 기개에 압도당했다.

한국에서는 임진왜란과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하는 드라마나 영화에서 자주 일본어 대사가 등장한다. 하지만 한국 내수용으로 제작된 작품에서는 주연급이 아니라면 일본인 역할이어도 일본어가 너무 서툴러 보기 힘든 경우가 있어 유감스러웠다.

물론 ‘아가씨’의 일본어가 완벽했던 것은 아니다. 모국어의 간섭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었고, 일본인에게는 다소 이질감이 느껴졌을 것이다. 그러나 완벽에 가까워지기 위해 배우들도 스태프도 피나는 노력을 해 국제적인 영화로 만들어진 것은 확실하다.

‘아가씨’는 내 인생의 전환점이 된 작품이다. 타협을 허락하지 않는 박 감독의 자세, 혼신의 힘을 다해 연기하는 배우들, 그리고 최선을 다하는 스태프, 최고를 지향하는 현장에서 배운 것은 헤아릴 수 없이 많다.

나는 학생들에게 오늘도 자세하고 철저하게 지도한다. 발음도 꽤 까다롭게 가르치고 있다. 내게 있어 교단도, 영화 제작 현장도 전쟁터처럼 치열하다. ‘아가씨’에서 얻은 경험과 에너지는 지금도 교육현장에서 고스란히 투영되고 있다.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원문 출처>
동아일보 http://news.donga.com/3/all/20190319/94621681/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0842

임성은 서경대 공공인재학부 교수 기고: 의정 갈등, 실손보험 비급여 개혁으로 풀자 file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 대강당의 적막한 모습. 뉴시스 필수 진료과와 지방병원의 의사 구인난. 대한민국 의료의 당면한 가장 큰 문제이자 의정 갈등의 배경이다. 이 갈등을 푸는 핵심 방안으로 실손보험의 조정을 제안하고...

서경대, 교육부 ⌜2024년 농어촌 우리동네 예술학교⌟ 전문기관 선정 file

올해 세종특별자치시 21개 초중등학교 40여 개 분야 문화예술교육 4,660여 차시 운영 서경대학교(총장 김범준) 문화예술센터(센터장 최은정)는 교육부 ⌜2024년 농어촌 우리동네 예술학교⌟ 사업의 전문기관으로 선정돼 세종특별자...

[서경대 MFS] 영국의 디지털 자산 관리 Moneyfarm file

서경대학교 MFS(Mobile Financial Service) 연구회는 금융정보공학과 서기수 교수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연구모임으로 세계적으로 급변하는 핀테크시장의 흐름과 동향파악을 통해서 국내 금융시장의 발전에 조금이라도 기여하기...

[서경대 카드뉴스] 2024년도 단과대별 체전 file

<홍보실=이세인 학생기자>

오은영 서경대 영화영상학과 교수 등 국내 프로듀서 5인, 사상 첫 칸 영화제 네트워킹 무대 선다 file

프랑스 칸 국제영화제가 오는 15일부터 20일까지 열리는 가운데 사상 최초로 오은영 서경대 영화영상학과 교수 등 우리나라 영화 프로듀서 5인이 필름마켓 프로그램 공식 협력사로 초청됐다. 13일 영화진흥위원회에 따르면 칸 필...

서경대학교, 성북구 · 구내 대학교와 함께 이육사 탄생 120주년 기념 문화제 ‘Re:육사’ 개최 file

5월 18일(토) 길음로 꿈빛극장서, 창작뮤지컬 ‘육사, 그 씌어지지 않는 편지’ 선보여 서경대학교(총장 김범준) 문화예술센터(센터장 최은정)는 성북구(구청장 이승로), 성북문화원(원장 김영일), 동덕여자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

고운실 서경대학원 경영학과 외래교수 기고 : ‘자연치유’가 시사하는 ‘ESG 경영’ file

고운실 서경대 대학원 경영학과 외래교수 소나무 숲에 송충이가 창궐해 온 산의 소나무를 갉아 먹어 고사시킬 것 같지만, 자연은 송충이의 천적이 바로 번식해 송충이를 잡아먹기 때문에 자연성을 회복하고 숲속 자연의 평...

"랭키파이가 알려드립니다"···국내 대학교 트렌드지수 file

4월 5주차 기준 국내 대학교 트렌드지수 순위를 랭키파이가 알아봤다. 현재 국내 대학교 부문은 최근 많이 언급되어 대중들의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트렌드지수는 전주 키워드 검색량과 구글 트렌드점수를 합산해...

2024 서경대학교 대동제, ‘For:rest’ 주제로 5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3일간 교내 스콘 스퀘어 등지에서 성황리에 열려 file

한숲 총학생회 주최 아래, 학과별 다양한 컨셉의 부스 운영 동아리·소모임 공연 및 아티스트 축하공연 등 이어져  서경대학교 제52대 한숲 총학생회(총학생회장 김종휴,부총학생회장 서재완) 주최로 지난 5월 8일(수)부터 10...

‘서경대학교 산학협력활동 우수 교원’ 기획시리즈 ② - 나노화학생명공학과 서성철 교수 file

서경대학교는 산업 발전 및 기업과의 상생, 새로운 미래가치 창출을 위해 정부와 지자체, 국책 연구기관, 기업 등과 130여 건의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다양한 정책사업 유치 및 공동연구 기술개발, 전문 인재 양성 사업 등을 수...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