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반성택 서경대 철학과 교수


반성택 교수.JPG

반성택 서경대 철학과 교수



1년 전 평창 올림픽을 기점으로 한반도 분위기는 달라져 있다. 여전히 조심스러운 판세이기는 하나, 평창 올림픽 이전으로 되돌릴 수 없는 시점인 것은 분명하다. 북핵의 비가역적 해법이 되돌릴 수 없는 대화 국면에서 모색되고 있는 것이다. 이렇듯 한반도의 존재론적 숙제가 가닥을 잡으려는 지금, 그런데 우리 내부는 여전히 답답하다. 정치와 경제가 그러하다. 최근에 보듯이 정치 세계가 공동체성을 축적해 가기보다는 80년 광주에서 국민 세금으로 운영되는 군대가 그 국민에게 발포한 역사적 사실을 두고 논란을 벌일 때 정치는 탈선한다. 또한 연휴 때마다 인천공항 출국자가 신기록을 세운다는 뉴스가 일자리 관련한 어두운 뉴스와 함께 등장할 때 우리는 답답하다.


답답하기는 해도 정치 세계는 거리의 투쟁으로, 그나마 선거는 정해진 대로 한다. 경제 분야는 지난 97년 외환위기를 거치며 체질을 개선하여 대기업 위주지만 발전하고는 있다. 정치는 시민의 발언으로, 경제는 외부의 요인으로 개혁한 것이다. 하지만 현재 무엇보다도 시급한 사회 문제는 교육이다. 좋은 일자리를 정부가 재정을 투입해 만들어내도 이들의 수입이 사교육에 투입되는 시점은 예상된다. 저출산을 걱정하며 국가가 재정을 집중하지만 출산은 처절하게 경쟁적인 교육 세계에 노출되는 시점이기도 하다. 이렇듯 교육은 일자리, 저출산 등의 악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더하여 강남 8학군은 그 지역 아파트 시세에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이렇게 누구나 '문제'라 보는 교육도 지난 70년대 이래로 우리 사회를 실은 주조하여 왔다. 대표적인 것이 유신정권이 70년대 중반 감행한 고교 평준화와 전두환 정권이 80년대 초 도입한 졸업정원제다. 졸업정원제는 실패했으나 그 결과 대학교육의 대중화 시대를 열면서, 평준화된 고교 시절을 경험한 또래 집단이 대학에 진입하며 시대를 공유하는 사회변화의 동력으로 작용하였다. 지나서 보면 당시의 정치권력이 자신들의 권력 토대를 훼손하는 교육 정책을 시행한 것이었다. 

하지만 교육은 이후 80년대식 근시안적 대책에 머물면서 오늘의 파행을 양산하고 있다. 촘촘한 서열 구조에서 인정 투쟁이 교육 기회의 확대 속에서 첨예하게 벌어지고 있다. 고교 평준화와 대학교육 대중화에 걸맞는 교육 비전은 작동하지 않는다. 그러는 가운데 모두가 더 나은 직업으로의 질주를 벌이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일각에서는 직능교육을 강조하지만 교육은 확실한 직장을 위한 경쟁으로 넘쳐난다. 약학대학 신입생 60명 증원이 주요 뉴스이고, 또한 폐교되는 서남대의 의학과 정원이 어디로 가는지가 교육계의 주요 관심사에 해당한다.

한반도 평화라는 거대 이슈도 대화로 다루어지는 시대에, 이제 교육도 고교 평준화와 대학교육 대중화 이후에 제기된 문제를 풀어야 한다. 외국에 오래 거주한 가족은 쉽사리 한국으로의 이주를 결정하지 못한다. 물론 높은 아파트 값도 걸림돌이지만 교육이 너무도 경쟁적이고 비인간적이어서 더욱 그렇다. 

교육 문제를 놓고 유력 정치인들은 교육위원회 설치를 해법으로 제시하여 왔다. 위원회 설치가 곧 해법이 아니라는 것을 그들도 알 것이다. 정치인들도 답답한 것이다. 이 정도에서 우리는 생각을 정리해야 한다. 한국 교육의 파행을 낳은 핵심 요인은 대학가기에 있다. 좋은 대학, 학과에 가면 대개 일생이 보장된다. 실은 꼭 그렇지도 않지만 기대치는 그러하다. 그러면 모두가 가고자 하는 그 단일화된 목표, 학벌과 직업, 그리고 돈이 일체화된 목표를 분산시켜야 한다. 국공립대는 기초학문 위주로, 국가의 경제·과학 발전을 위해서는 산학협력의 구조로, 그리고 사립대는 특성화로 집중함이 요구된다. 

알아주는 학벌, 안정적인 직업, 높은 연봉, 편안한 노후를 단번에 모두 결정하는 것은 너무도 치열하다. 학문을 하고 싶은 사람, 학문을 기반으로 실용성에 나설 사람, 그리고 사립대가 사학의 존재이유에 충실한 특성화로 양성하고 싶은 사람들을 교육은 분리해 주어야 한다. 이 모두를 같은 그릇에 넣고는 교육은 기초학문도, 산학협력도, 그리고 특성화도 키우려는 불가능한 도전을 하고 있다.

<원문 출처>
디지털타임즈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902150210226960700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1549

영화 무간도, 뮤지컬로 재탄생… ‘글로벌 쇼케이스 콘서트 개최’ file

▲ 영화<무간도>1편 국내 포스터, (주)신스웨이브 로고 (사진= (주)신스웨이브 제공) [컨슈머타임스 김동역 기자] 영화 <무간도>가 뮤지컬로 재탄생 한다. K-뮤지컬 전문 제작사 신스웨이브는 지난 1일 종로구 동숭길에 위치한 서경...

서경대학교, 서울시 캠퍼스타운 단위형 2단계 사업자로 선정돼 2019년부터 3년간 사업 추진 file

성북구민의 문화예술 향유 및 문화예술분야 창업교육으로 지역문화예술 경제생태계 조성 계획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센터, ‘2019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대학제안사업’ 문화예술분야 창업 멘티 모집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서울시...

서경대학교 제35대 동아리 연합회 주최 ‘2019년 동아리 알림제’ 성료 file

3월 25일, 26일 이틀간 교내 초록운동장에서 열려 동아리 공연, 응모권 배부, 퀴즈 내기, 경품 추첨 등 다양한 이벤트 펼쳐 동아리 알림제 포스터 서경대학교의 작지만 알찬 축제인 ‘2019년 동아리 알림제’가 젊음과 열정으...

SBS ‘런닝맨: 서경대편’ 4월 7일(일) 촬영 추가 분 40분간 방송 예정…이례적으로 2회 연속 방송, 앞서 지난 3월 31일(일) ‘런닝맨 서경대편’ 80분간 방영 file

서경대학교, 군사학과, 런닝맨 대학교 등 인터넷 실시간 검색어 1위, 2위, 3위 올라…방송 후 언론에서도 서경대 관련 기사 잇따라 보도 유재석, 송지효, 김종국, 이광수, 하하, 지석진, 전소민, 양세찬 등 고정 출연진과 배우 ...

[漢字, 세상을 말하다] 搾取<착취> file

한자세상 3/30 착취는 짜내서 뭘 얻는 행위다. 기름이나 과일즙을 짜낸다는 말이다. 힘없는 자의 재화를 가혹하게 짜낸다는 의미로 주로 쓰인다. 탐관오리(貪官汚吏)의 가렴주구(苛斂誅求)는 수탈(收奪)이라고도 한다. 중국에서는 이...

엔씨도 넷마블도 아니었다···236억원 게임업계 연봉킹 file

더블유게임즈 주요제품 [사진 더블유게임즈 사업보고서] 엔씨소프트도 아니고 넷마블도 아니었다. 국내에 상장된 게임회사 연봉킹(스톡옵션 포함)은 소셜카지노게임업체 더블유게임즈에서 나왔다. 1일 더블유게임즈가 공시한 사업보고서...

서경대학교 평생교육원, 지난 1일부터 신편입생 모집 시작 file

서경대학교 예술종합평생교육원은 지난 1일부터 미용학전공, 모델학전공, 시각디자인학전공의 신편입생 모집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2020학년도 전기 (미용학전공, 모델학전공, 시각디자인학전공)와 2019학년도 후기 (미용학전공 해당)로 ...

서경대학교, ‘제9회 전국무용경연대회’ 개최 file

4월 13일(토) 오전 9시 교내 문예홀서, 유아부·초등부·중등부·고등부로 나눠 한국무용 등 8개 부문에 걸쳐 진행 제9회 서경대학교 전국무용경연대회 포스터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오는 4월 13일(토) 오전 9시 교내 문예홀에서...

복학생, (후배랑) 친해지길 바라! file

인간관계에 서툰 복학생을 위한 후배와 잘 지내는 법 8 과방에 갈 땐 자연스럽게 새내기 땐 집처럼 드나들던 과방인데, 복학하고 나니 마치 화성처럼 가기 어려운 곳이 되어 있죠? 새내기와 저학년 후배들이 가득한 과방 문을...

[카드뉴스] 흰머리 나면 염색?…세계는 지금 '흰머리 패션' 바람 file

<<시각장애인 음성정보 지원을 위한 텍스트입니다>> *마리 앙투아네트 증후군 머리카락이 갑자기 하얗게 세는 증후군 프랑스 왕비 마리 앙투아네트는 프랑스혁명 후 국고 낭비죄와 반혁명죄로 처형됐습니다. 37세 나이에 단두대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