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10.47대 1 기록…전국 198개 4년제 대학 중에서도 ‘5위’


서경대학교 전경.jpg
서경대학교 전경.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2019학년도 4년제 대학 정시모집 경쟁률에서 서울지역 1, 전국 5위를 차지했다. 지난 132019학년도 정시모집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서경대는 700명 모집(정원 내)7,326명이 지원해 평균 10.47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중앙대 10.241, 홍익대 8.121, 건국대 7.621, 인하대 7.031, 경희대 6.121, 국민대 5.691, 서강대 5.981, 한국외대 5.851, 인천대 5.831, 단국대 5.81, 동국대 5.731, 한양대 5.161, 연세대 5.011, 성균관대 4.831, 고려대 4.391, 서울대 3.581 등으로 서울지역 4년제 대학 중 1위다. 전국 1984년제 대학 중에서도 DGIST(24.081), 한동대(12.091), 호원대(11.951), 인천가톨릭대(10.861)에 이어 5위를 기록했다.



예술분야 9개 학과 경쟁률 '견인'

올해 주요 대학의 정시모집 경쟁률이 예년보다 어렵게 출제된 수능과 재수 희망 인원의 증가로 지난해보다 대체적으로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서경대가 정시모집 경쟁률에서 이처럼 최상위를 기록한 이유는 뭘까? 이는 매년 수백대 1을 기록하고 있는 실용음악학과 등 예술분야 9개 학과의 높은 입시 지원률이 대학 전체 경쟁률을 이끌었고 문화콘텐츠학과, 공공인적자원학과, 경영학부, 아동학과, 군사학과, 금융정보공학과, 나노융합공학과, 소프트웨어학과 등 실용학풍에 기반한 사회 수요 맞춤형 학과에 지원자들이 몰렸기 때문이다. 또한, 교육과정 및 수업방식의 혁신, CREOS 인증제 도입, 교육성과 관리 시스템 구축, 미래형 학교발전모델 개발 등 2007년 이후 교육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것도 경쟁률 상승을 가져온 요인으로 풀이된다.


2019학년도 정시모집에서 서경대 실용음악학과 보컬 전공은 5명 모집에 751명이 지원해 150.20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실용음악학과 싱어송라이터 전공이 104.001, 연주작곡 전공이 77.001이었다. 앞서 치러진 2019학년도 수시모집에서는 서경대 실용음악학과 보컬 전공이 621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20186021, 201757113년 연속 전국 1위다. 연주작곡 전공이 1461, 싱어송라이터 전공이 1311로 실용음악학과 소속 8개 전공 대부분의 경쟁률이 전국 최상위다. 예술대학 7개 학과와 미용예술대학 2개 학과의 2019학년도 정시모집 경쟁률도 실용음악학과에 이어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고 있다. 디자인학부 생활문화디자인 전공 29.901, 시각정보디자인전공 13.851, 뮤지컬학과 24.931, 공연예술학부 연기전공 62.471, 모델연기전공 11.171, 음악학부 관현악 관악(트럼펫)전공 24.001, 영화영상학과 12.301, 무대기술전공 7.801 등이다. 서경대학교 예술대학의 경쟁률이 이처럼 유독 높은 이유를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대학교육 전문가들은 실무 위주의 독특한 교육 시스템과 최고의 교수진, 우수한 교육시설 등 삼박자가 모두 갖춰져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서경대 예술대학의 학과 간 협업탈경계수업은 서경대만의 독특한 특성 중 하나다. 실무에 탁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예술 분야 학과는 국내 최초로 실무현장과 동일한 프로덕션 시스템을 교육과정에 도입하고 통합형 공연예술 창의인재 양성 프로그램(HUB)을 운영하고 있다. 실무현장형 프로덕션 시스템은 공연을 하거나 무대를 만들 때 연기·음악·무대·의상·분장·영상 등 분야별 학과 또는 전공들이 학기 내내 함께 공연 및 제작에 참여하는 협업 시스템이다. , 통합형 공연예술 창의인재란 다양한 공연 프로덕션을 경험한 인재 1인이 멀티플레이어화 되어 자기 전공을 넘어 다른 전공의 업무를 이해하고 콘텐츠를 생산해 내며 취업의 확장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HUB 운영과정에서 생산된 공연 창작물, 인재 콘텐츠는 공연예술분야로 진출하는 데 필요한 좋은 조건이자 역량이며 이를 대학 문을 나서기 전에 미리 갖추도록 한다는 점에서 학생들에겐 크나 큰 메리트다. 특히 국내 최고 수준의 미용 관련 학과를 학사·석사·박사 과정으로 운영하고 단과대학 규모로는 세계 최초로 신설된 미용예술대학은 다양한 산학협력 체제를 도입해 학생들에게 보다 다양한 학습기회를 제공하고 K-Beauty 프로그램 등 국제적으로 적용 가능한 표준화된 교육시스템을 운영하는 등 보다 탄력적이고 유연한 학사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실용음악학과 졸업공연.jpg

실용음악학과 제1회 졸업공연'결실' 대학로 서경대학교 공연예술센터.



실용인재 길러내는 특성화 학과 집결

서경대학교의 입시 경쟁률이 높은 또 다른 이유 중의 하나는 사회 수요가 많고 시대가 요구하는 실용 인재를 길러내는 특성화된 학과가 많기 때문이다. 서경대는 이번 2019학년도 정시모집에서 문화콘텐츠학과 6.941, 나노융합공학과 6.891, 토목건축공학과 6.891, 경영학부 6.731, 아동학과 6.141, 국제비즈니스어학부 5.941, 전자공학과 5.761, 화학생명공학과 5.651, 컴퓨터공학과 5.531, 공공인적자원학과 5.251, 산업경영시스템공학과 5.221, 소프트웨어학과 4.971, 금융정보공학과 4.371, 군사학과 3.111 등을 기록해 다른 일반 대학교의 인문과학대학이나 사회과학대학 등 전통적인 학과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이는 2007년부터 사회와 시대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획기적으로 학과를 개편하고 교육과정을 혁신해 이들 학과 출신들이 전공에 대한 효능감이 다른 학과들에 비해 높고 졸업 후 취업도 여느 학과보다 잘 되도록 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교육혁신 추진, 대학가치 창출도 경쟁률 제고에 한몫

서경대가 최근 10여 년간 지속적으로 교육을 혁신하고 대학의 가치를 창출하고 있는 것도 수험생들이 서경대를 많이 지원하는 요인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서경대는 4차 산업혁명에 대비, 미래형 학교발전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이 플랜에는 서경대가 지향하는 미래형 실용교육 중심 대학의 특성화 모델 개발과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서경대 발전방향이 담겨 있다. 종합적 사고력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비교과 프로그램 370개를 운영하고 교양수업을 체험과 활동 중심으로 재편했다. 문제해결·대인관계·글로벌· 자기계발·실무 등 6대 핵심역량 중심의 인재양성 및 관련 인증제를 시행하고 교육과정의 혁신과 국제 표준화도 추진하고 있다. 교육과정 인증제를 통해 교육과정의 질 관리를 도모하고, 교과목 인증을 통해 개설되는 교과목의 수준과 사회적합성, 질 등을 관리하고 있으며 서경대학의 교육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교육모델이 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국제 표준화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수업방식을 혁신하는 일에도 서경대가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수업 및 강의 혁신을 위해 강의품질관리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미래역량을 키우기 위해 플립러닝, 협업수업 등 새로운 수업방법을 도입했다. 교육의 성과관리 시스템 구축도 속도를 내고 있다. 교양, 전공, 비교과, 캠프등 네 가지 영역으로 구성된 졸업인증제를 시행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핵심역량검사를 의무적으로 받도록 하고 있다.



이같은 서경대학교의 변화와 혁신은 2019년 QS 아시아대학 평가 ‘500대 대학’ 진입, 2018년 교육부 2주기 대학기본역량진단 평가 ‘자율개선대학’ 선정, 2017년 교육부 교원양성기관 평가 ‘최우수 A등급’ 획득,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뷰티분야’ 공식 지원, 미용예술분야 올림픽인 ‘O.M.C(Organization Mondiale Coiffure) 헤어월드컵 대회’ 2016~2018년 3년 연속 우승 등의 성과를 거뒀으며 수시 및 정시 모집 경쟁률 상승의 주요 요인이 됐다.





<원문 출처>

아시아뉴스통신  http://www.anewsa.com/detail.php?number=1520421&thread=09r02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0701

서경대 학보 ‘서경대신문’ 창간 66주년 기념특집호 발행 file

<조아림 ‘서경대신문’ 제65대 편집장 인터뷰> 서경신문사(제65대 편집장 조아림)는 서경대 학보인 ‘서경대신문’의 창간 66주년 기념특집호(제551호)를 금주 발행한다고 밝혔다. ‘서경대신문’은 지난 1955년 5월 23일 ‘국가...

윤준병, 고창군 지역연계 첨단 CT 실증사업 공모 선정 file

국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정읍고창)은 고창군의 대표축제인 모양성제가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주관하는 '지역연계 첨단 CT 실증사업(R&D)' 공모에 선정돼 총사업비 88억원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30일 윤...

‘성북청년 창업챌린지’ 참여할 (예비)청년창업기업 모집 file

팀 당 300만원 사업화 지원금, 심층 멘토링 지원 성북구(구청장 이승로)가 6월8일부터 15일까지 ‘성북청년 창업챌린지’에 참여할 (예비)청년창업기업을 모집한다. ‘성북청년 창업챌린지’는 지난해 9월 체결된 ‘ 4차산업 일자리...

진세근 서경대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아침광장] 백신 사재기도 생명권 침해다 file

진세근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사무총장·서경대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 문재인 대통령의 방미 백신외교는 실패했다고 본다. 장병 55만 명에게 접종할 백신만 약속받았을 뿐, 미국의 해외지원 예정 백신 8000만 회분 가운데 ...

전주출신 ‘리틀송중기’ 김재훈씨 글로벌스타 명인대상 수상 file

‘리틀 송중기’로 불리는 전주출신 탤런트 김재훈씨(26)가 2021 세계의료미용교류협회(GMAEA) 국제교류 축제에서 글로벌최강스타 명인대상을 수상했다. 이 축제는 20일과 21일 양일간 ‘GMAEA 2021 세계를 하나로!’를 주제로 스...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과 재학생, ‘2021 제12회 한영숙무용제 전국 한국 춤 경연대회’에 참가해 ‘금상’과 ‘은상’ 등을 수상하는 등 우수한 성적 거둬 file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과 재학생들이 지난 5월 5일 대한민국예술인센터 로운아트홀에서 열린 ‘2021 제12회 한영숙무용제 전국한국춤경연대회’에 참가해 ‘금상’과 ‘은상’ 등을 수상하는 등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 무용예술학과 ...

[교육이 미래다] 교육과정 등 다양한 혁신 프로그램 운영4차 산업혁명 이끌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 file

서경대는 창의융합형 실용능력과 포용적 인격을 갖춘 인재의 양성을 위해 다양한 혁신 프로그램을 추진한다. 서경대학교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하고 창의융합형 실용능력과 포용적 인격을 갖춰 사회에 공헌하는 인재를 양성...

[김구선 서경대학교 경영문화 대학원 교수 칼럼] '스웨이'는 왜 발생되나? file

▲이상적인 골프 스윙을 보여주는 대표주자 미국프로골프(PGA) 투어 멤버 로리 맥길로이. 스웨이(Sway)는 <그림 1>과 같이 백스윙 중 목표물로부터 멀어지는 과도한 하체의 횡 방향 움직임으로 정의되며, 오른손잡이 골퍼의 경우...

동백꽃·메밀꽃 필 무렵·돌다리 프랑스 국민에게 읽힌다 file

김유정문학촌·서경대 연구소 협약 내년 중 프랑스어로 번역해 출간 ▲ 김유정문학촌(촌장 이순원·사진 왼쪽)은 최근 문학촌에서 서경대 한불문화예술연구소(소장 최내경)와 업무협약을 맺었다. 김유정문학촌(촌장 이순원)이 펴낸 그림책...

‘아동 이상행동’빅데이터화 추진 file

영남대의료원, 총 43억원 투입 아동 행동분석 플랫폼 개발 예정 영남대의료원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추진하는 지식서비스 산업 핵심기술 개발 연구 일환으로 에듀테크 기술을 활용한 아동 행동분석 기반 서비스 플랫폼 개발 사...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