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41847_40156_5525[1].jpg
서경대학교 인성교양학부 교수
(사)한국빅데이터협회 부회장


리나라는 이 지구상에서 출산율이 가장 낮은 나라 가운데 하나지만 한 때는 다산(多産)국가였다. 이는 산업화가 시작되었던 1960년대만 하더라도 출산율이 6.20명이었다는 데에서도 알 수 있다.

그러다가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1970년대 4.53명, 1980년대 2.70명, 1990년대 1.63명으로 인구대체수준(2.1명) 이하로 떨어지기 시작해 2000년대 1.28명, 2010년대 1.18명으로 출산율이 해를 거듭할수록 줄어들었다.

급기야 2018년 3분기에는 0.95명으로 급감했다. 이를 예상이라도 한 듯 2006년 데이빗 콜먼(David Robert Coleman) 교수는 우리나라를 인구소멸 1호 국가로 지명한 바 있다.

2009년 유엔미래포럼에서 발간한 「유엔미래보고서 2」에서도 우리나라가 심각한 저출산으로 인해 2305년이 되면 남자 2만명, 여자 3만명 정도만 남게 될 것으로 예측했다. 2018년 3분기 출산율 추이라면 우리 민족의 소멸(消滅) 시기는 예상보다 더욱 앞당겨질지도 모를 일이다.

출산율 감소는 생산가능인구의 감소를 가져온다. 지난 반세기 동안 우리나라의 인구추이는 출생율의 급감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인구사회학자 노테슈타인(F. W. Notestein)의 출생과 사망의 정도에 따른 분류를 참고하면 우리나라 인구추이는 2000년대에 진입하면서 이미 마지막 단계인 낮은 출산율과 낮은 사망률 단계에 접어들었다. 생산가능인구가 감소되면 생산과 소비가 줄어들고, 국민총생산(GDP)이 줄어들면 국가경제가 위축될 수밖에 없다. 

한 나라의 인구수와 국민총생산은 밀접한 관련이 있기에 저출산은 국민소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더욱이 베이비붐 세대가 근간에 퇴직하기 시작하면서 생산가능인구는 현저히 줄어들고 있다. 이처럼 출산율과 생산가능인구의 감소가 짧은 기간에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정부의 정책과 그 대책방안은 매우 미약한 상태로 저출산·고령화의 충격이 점점 심각하게 드러나고 있다.

개인이 갖고 있는 사회적 배경에 따라 출생에 대한 관념이 다르다. 일반적으로 출생률은 낮은 교육수준보다는 높은 교육수준, 낮은 계층보다는 높은 계층, 농촌보다는 도시 등에서 낮게 나타난다. 이는 1960년대 우리나라의 농업인구가 전체인구의 80퍼센트 이상을 차지하던 농업사회에서는 평균 출산율이 6.20명이었던 것에서도 잘 알 수 있다. 이처럼 한 사회의 산업구조는 출산율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사회적 가치관과 인구정책도 출산에 영향을 미친다. 자녀의 양육보다는 개인의 자유나 자아실현이 더 중요시 되는 가치관으로 부각될 때 출산율이 저하된다. 임신과 출산으로 인해 고용에 불이익을 당한다고 느끼면 출산을 기피하게 되는데, 이 또한 저출산의 원인이 된다. 출산을 함으로써 개인이 얻는 혜택이 비용보다도 크다고 판단할 때 출산을 결정하지만, 출산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비용이 상승하거나 소득이 감소할 경우는 출산을 하지 않거나 미룬다는 것이다.

과거에는 남편이 생계부양자이고 아내는 전업주부였던 사회에서 시대의 변천으로 전통적인 성역할이 달라진 것도 저출산 현상과 무관하지 않다. 특히 자녀양육과 관련된 비용 및 자녀교육비가 상승할수록 출산율이 줄어든다. 이밖에 초혼연령의 상승으로 인한 가임기간의 단축, 결혼 및 자녀가치관의 변화, 직장과 가정의 양립 곤란, 경제적 기반의 불안정, 과다한 결혼비용과 주거비용, 워크맘 배려에 대한 정책의 부재 등도 저출산을 더욱 부추긴다.

그러기에 출산 및 육아와 관련된 수당지급 정책, 다산가정 자녀에 대한 인센티브 확충, 영유아 보육시설과 같은 육아인프라 확충, 지속적인 자녀교육비 지원, 직장과 가정이 양립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 임산부를 배려하는 사회적 풍토 조성 등이 시급하다고 하겠다.

특히 결혼 적령기에 있는 청년들이 경제적 문제로 결혼을 미루거나 포기하는 자가 늘어나 인구절벽을 가속화하고 있다. 청년들의 일자리 창출은 그 어떤 정책보다 우선되어야할 것이다. 그래야 심각한 저출산을 막을 수 있다.

<원문출처>

민주신문 http://www.iminju.net/news/articleView.html?idxno=41847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0842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X성북TV’의 성북구 알리기 프로젝트 ‘성북구에서 살아남기’ 시리즈 네 번째 영상 ‘성북구 보문동편’ 성북구청 공식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 돼 ‘큰 인기’ file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 유튜브 영상 '성북구 보문동편' 스틸컷(1)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이하 청문단, 운영위원장 방미영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교수)이 어느덧 네번째 성북구 공식 유튜브 영상을 업로드했다. 해...

박기태 반크 단장 "정부도 못막은 中·日 역사 왜곡...15만 회원이 700여건 바로잡았죠" file

사이버외교사절단 '반크' 이끄는 박기태 단장 대학생때 만든 세계 대학생 펜팔 사이트 한반도 역사·문화 지킴이로 탈바꿈 시켜 유치원서 노년층까지 사이버 외교관 양성 한류 열풍 힘입어 외국인도 3.5만명 활동 국내외 배포 홍...

전규열 서경대 경영학부 겸임교수 칼럼:덴마크, 실패가 두렵지 않은 창업 선진국 file

교육, 의료, 복지서비스가 무상인 든든한 복지제도는 스타트업 생태계를 낳는 기반이 됐다. 실직해도 최소 2년간 실업급여를 주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창업에 도전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됐다. 덴마크 코펜하겐에 있는 인어공주상...

[김구선 서경대학교 경영문화 대학원 교수 인터뷰] “법이 바뀌지 않으면 코로나가 끝나도 그린피는 내리지 않는다” file

"지금의 골프장 조세 관련법이 지속되는 한 코로나 팬데믹이 끝나도 골프장 이용료는 이전으로 돌아가지 않는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국내 골프장 내장객이 증가하게 되자, 상대적으로 세제 혜택을 받는 대중제 골프장...

[교육이 미래다] 국내 대학 최대 규모의 언택트 패션갈라쇼 ‘허브 11’ 성공적 개최 file

서경대 무대패션전공이 4일 국내 대학 최대 규모의 언택트 패션갈라쇼인 ‘허브(HUB) 11과 무대패션 전공 제6회 졸업 패션쇼’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무대패션전공이 국내 대학 최대 규모의 언택트 ...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COME UP! 프로젝트 – 2번째 쇼케이스 연극 <우화> 영상 디자인 도입과 함께 성황리에 마쳐 file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학생들의 연극 <우화>가 지난 5월 27(목)부터 29일(토)까지 3일간 평일 7시, 주말 4시에 서경대 북악관 8층 스튜디오 810호에서 공연됐다. 이번 공연은 학생들의 창작 공연 콘텐츠가 세상의 빛을 볼 수...

「코로나 19 언택트 속 센터 100% 활용하기」 <4> <진로·심리상담센터>편 file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코로나 19의 확산 및 장기화로 비대면 수업이 계속되면서 재학생들이 대학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서경대학교 각 센터에서는 코로나 펜데믹이라는 전례없는 상황에서도 재학생들이 큰 공백없이...

진세근 서경대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아침광장] 너희만 추해지리라! file

진세근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사무총장·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아우슈비츠에는 방직물이 전시돼 있다. 가스실에서 학살된 유대인들의 머리카락으로 짠 물건이다. 그 앞에 선 방문객은 예외 없이 얼어붙는다. 정...

서경대학교 영화영상학과 ‘제30회 Premiere of Passion’ 개최 file

6월 18일(금) 오후 3시 서경대 본관 8층 컨벤션홀서 다양한 장르의 총 7개 작품 상영 예정 코로나 감염 예방 위해 6월 18일부터 3일간 유튜브 통한 언택트방식으로 진행  서경대학교 영화영상학과(학과장 신정범 교수)는...

서경대학교, 한국조폐공사(KOMSCO)와 디자인분야 기술교류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6월 10일(목) 오후 2시, 서경대 본관 3층 대회의실서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한국조폐공사(KOMSCO, 사장 반장식)와 디자인분야 기술교류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6월 10일(목) 오후 2시, 서경대 본관 3층 대회...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