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오래] 전규열의 나도한다 스타트업(8)

    

지난 4월 중국의 쓰레기 수입중단으로 '재활용 폐기물 수거대란'으로 불편을 겪은 적이 있다. 지구 환경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세계적으로 쓰레기 줄이기 운동이 확산하면서 발생한 일이다. 이런 세계적 추세에 발맞춰 이물질을 제거해 폐기물을 반으로 줄이고, 깨끗한 자원으로 재활용하는 스타트업이 있어 눈길을 끈다.   

중앙일보1.jpg 

본사 사무실의 조일호 대표 모습. 


“좁은 국토에 매립장과 소각장을 많이 만드는 것만이 근본적인 해결이 아니다. 쓰레기를 반으로 줄여 환경문제도 해결하고 세계적 관심사인 온실가스 감축에도 기여하고 싶다”는 C.I.에코텍의 조일호(49) 대표를 만나 이야기를 들어봤다. 

한국형 폐기물 재활용 선별 기술 개 

 

환경업계는 그동안 재활용 선별 기계를 수입해 사용해 왔다. 문제는 외국과 국내 폐기물의 상태가 달라 재활용품의 분류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절반가량이 재활용되지 못하고 매립, 소각되고 있는 안타까운 상황이다. 조 대표가 국내 폐기물 상황에 맞는 한국형 재활용 선별기술을 개발한 이유다. 

중앙일보2.jpg 

생산가능한 재활용 용품. 


쓰레기가 재활용 자원이 되려면 이물질을 제거해야 한다. 기존 기술로는 이물질 제거가 불가능해 전량 소각하거나 매립해 왔다. 생활폐기물 ‘직매립 제로화’를 통해 소각·매립량도 줄이고 자원도 재활용하는 회사가 바로 C.I.에코텍이다. 아파트 재활용 선별장의 폐비닐은 물론 종량제봉투 속 이물질까지 제거해 주차 블록과 수목 지주대 등과 같은 재활용 자원으로 탈바꿈시키고 있다.     
  
조 대표가 폐기물 관련 재활용 스타트업에 도전한 것은 2015년이다. 국가대표 유도선수로 활동하던 조 대표는 은퇴 후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기업에서 20여년 간 순환자원 업무를 담당했다. 그러다 다니던 회사가 2013년 말 인수 합병되자, 전문성을 살려 스타트업에 도전했다. 조 대표의 창업에는 업무 개선을 위해 발명했던 폐기물 전처리과정과 관련된 기술 특허가 도움됐다.   
  
하지만 2015년 야심 차게 시작한 창업은 쉽지 않았다. 투자를 약속했던 사람이 약속을 철회하면서 사업이 첫걸음부터 좌초될 위기에 몰렸기 때문이다. 

중앙일보3.jpg 

국내 및 국외에 출원한 특허증의 모습이다.


이런 위기상황에서 기술특허는 큰 힘이 됐다. 기술력을 인정한 기술신용보증기금이 자금을 조달해 주면서 사업의 첫걸음을 뗄 수 있었다. 문제는 다른 곳에서 터졌다. 아직 재활용 사업 관련 인프라, 즉 국가 차원의 법과 제도가 제대로 마련돼 있지 않은 때문이다. 사회적 인프라 형성을 위한 ‘타이밍’이 맞지 않았다. 
  
결국 조 대표는 주력사업인 한국형 재활용시스템 구축은 손도 못 대고, 폐기물 수집운반과 기계 납품을 하면서 때를 기다렸다고 한다. 그가 끝까지 사업을 포기하지 않은 이유는 현재의 생활폐기물 매립·소각 방식이 좁은 국토를 병들게 해 결코 해결책이 아니라는 확신 때문이었다.   
  
그러던 조 대표에게 2016년 기회가 찾아왔다. 폐기물의 발생을 억제하고, 발생한 폐기물을 적정하게 재활용하자는 ‘자원순환기본법’이 제정됐기 때문이다. 환경부도 2018년부터 생활폐기물 ‘직접매립 제로화’를 위해 전처리시설 설치 시범사업에 나서는 등 재활용 사업 환경에 청신호가 켜졌다.   


폐기물 직접 매립 제로화의 선두기업 되겠다”


하지만 이제 시작일 뿐 상용화까지 시간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조 대표는 폐기물 처리 전 과정을 직접 보여주기 위해 경기도 포천에 시범사업장을 만들어 가동에 들어갔다.         
  

4명의 직원이 2015년 첫해 15억 원의 매출을 올린 C.I.에코텍의 내년 매출 목표는 50억원이다. 조 대표는 “환경 지킴이로서 폐기물을 절반으로 줄이는 직접매립 제로화의 선두기업이 되어 지구온난화는 물론 맑고 깨끗한 국토를 후손들에게 물려주는 것”이 꿈이다.   


전규열 서경대 경영학부 교수


<원문출저>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323183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0651

양의식 서경대 대학원 공연예술학과 초빙교수·한국모델협회 회장 “모델은 그 나라의 패션과 뷰티 산업 발전의 척도이자 아이콘” file

한국모델협회 양의식 회장은 모델 에이전시가 정립이 잘 되어 있지 않은 시기에 가방에 사진을 넣어 직접 발로 뛰어 면접을 보러 다녔고, 모델이 되었다. 150여 개의 TV 광고, 3,000여 개의 패션 카탈로그와 지면, 삼성전자...

한국 최초의 '신체시 古木歌'--청년 이승만의 작품을 최초로 연구 발표 file

이승만 작 <고목가>의 문학사적 연구 이복규(서경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Ⅰ. 머리말 이승만 작 한글 율문 <고목가>의 문학사적 의의는 무엇일까? 오늘 강연의 주제이다. 이 작품에 대해서는 이미 몇몇 학자가 연구한 적이 있...

학과 안내 <7> 이공대학 소프트웨어학과 file

서경대학교 이공대학 소프트웨어학과는 21세기 고도의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컴퓨터에 대한기초 이론과 응용 지식을 기반으로 정보화 산업에 필요한 전문지식과 실용능력을 길러 바른 가치관을 가진 지성인으로서 차세대 소프트웨어를 ...

'월15만원' 대학생연합생활관 신청.. 내달 6일까지 file

선발결과 내달 13일 발표 한국장학재단은 ‘대학생 연합생활관’ 입주신청을 28일부터 내달 6일까지 진행한다고 28일 밝혔다. 수도권 대학에 재학하는 지방 거주자(서울/경기 고양시 거주자 제외)로 소득구간(분위) 8분위 이하인 경우...

서경대 등 15개大 학생들 평창올림픽 시상식 요원으로 나선다 file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 조직위원회는 19일 평창대회 영광의 순간인 시상식의 성공적인 진행을 위한 시상식 요원 모집을 위해 조직위와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국제대학교(총장 장병집) 등 15개 대학교가 ...

[진세근 교수 기고] 苟且<구차> file

漢字, 세상을 말하다 육기(陸機)는 중국 서진(西晉)의 시인이다. 그는 『오등론(五等論)』에서 “군주는 구차한 마음이 없어야 하고, 신하는 굳건하게 올바름을 지켜야 한다(爲上無苟且之心, 群下知膠固之義)”고 썼다. 구차는 눈앞의 이...

같이의 가치, 하나 되는 우리, ‘어울림’ - 서경대학교 인문대의 다함께 어우러지는 뜻깊은 학술제<2> : 국제비즈니스어학부 중어 전공 학술제 ‘중어인의 밤’ 개최 file

11월 2일(목) 오후 6시 30분 교내 청운홀서 춤, 연극, 노래, 시 낭송 및 이벤트 등 다채롭게 꾸며 중어 전공 학생들이 중어 공식 포즈와 함께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지난 11월 2일(목) 오후 6시 30분 교내 청운홀에서 서경...

더 맨 블랙 엄세웅, 웹드 ‘고벤져스’ 속 기습 키스 예고 file

인기 웹드라마 ‘고벤져스’ (감독 김상우, 극본 권순규) 호기심왕 엄세웅의 키스를 당하는 듯한 스포일러 사진 한 장이 이목을 끌고 있다. 지난 화 1,2화에서 강태우가 체육관에 버려진 휴드폰을 발견하게 되고 정체 불명의 ...

전규열 서경대 경영학부 겸임교수 칼럼:정부자금 3000만원이 창업 종잣돈, 3년만에 매출 1억 file

[더,오래] 전규열의 나도 한다! 스타트업(2) 서경대 경영학부에서 벤처창업과 관련한 과목을 가르치는 교수다. ‘평균수명 100세 시대’ 은퇴 후 아무 걱정 없는 편안한 노후생활은 이제 옛말이 됐다. 아무리 노후설계를 잘해도...

‘TOP 10’ 차트로 쉽게 보는 2020 대입, 전년 대비 변화는? file

대학미래연구소의 ‘2020학년도 대학별 전형계획’ 분석 2020학년도 대입을 두고, ‘수시 80%, 정시 20%’이란 표현을 많이 쓴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발표한 ‘2020학년도 대입전형 시행계획’에 따르면 전국 198개 4년제 대학의 ...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