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서경대 반성택 교수.png

반성택 서경대 교수


이제 거리에는 연말 분위기가 묻어난다. 크리스마스를 알리는 백화점의 눈부신 네온사인은 연말 분위기를 더욱 조성한다. 크리스마스는 교회보다는 백화점에서 시작되고 오래 지속된다.

 

이렇게 어느 해처럼 연말을 맞고 있지만 돌아보면 2018년은 평창올림픽과 한반도 대화로 갑작스레 개막됐다. 저러한 이벤트들은 20세기 한반도 역사에 뿌리를 두고 이어져 왔다. 왕국의 멸망과 식민지, 분단과 전쟁, 민주공화국의 가난과 경제발전, 독재와 민주화 등의 온갖 스토리텔링이 거기에 깔려 있다.

 

하계올림픽은 동계올림픽과 다르다. 우리는 여름에 자유로이 활동할 수 있다. 달리고 수영하면서 자연을 맨살로 접한다. 하계올림픽 종목은 대개 원초적이다. 반면 겨울은 다르다. 동토를 극복하며 활용하는 장비가 동계종목의 주요 요소다. 그래서 동계종목은 대개 인위적이다. 수준급의 물적 토대가 뒷받침돼야 한다. 경기용 장비가 있어야 하고, 이의 활용에 적합한 경기 인프라가 구축돼야 하며 무엇보다도 장비 의존적인 동계종목에서의 개최국 경기력도 수준급이어야 한다. 20세기 한반도의 지난한 역사를 거쳐 온 우리가 이 수준에 있었기에 올림픽은 그 추웠던 평창에서 열린다. 여기에 북한, 분단 한반도는 말 그대로 편승한다. 이 편승은 대화로 이어진다. 그리고 이 과정 자체가 이른바 올림픽 정신에 해당한다.

 

이러한 2018년은 많은 이들의 역사적·존재론적 공감대를 이끌어내고 활성화시켜 왔다. 2018년이 연말 분위기로 소진되거나 어느 해와 동일화되지 않았으면 한다. 연말 콘서트 현장에서 지나가는 한 해를 뒤돌아보며 새로운 신년을 기약하는 식으로 2018년의 스토리를 초연하게 정리하고 싶지는 않다.

 

평창올림픽과 함께 갑작스레 시작된 한반도 평화로의 시간이 1년 단위로 정산하고자 하는 익숙한 시간관념을 넘어서 이어지길 소망한다. 2018년의 흐름이 이후에도 이어져 그때가 새로운 우리로 향하는 시대적 분수령이었다는 역사의 평가를 기다린다. 이러면서도 오늘의 시간 이해가 연간 대차대조표를 작성하는 기업체 마인드에 이미 익숙하기에 걱정도 한다. 연말과 크리스마스의 도래를 백화점이 선도하는 세태에서 벗어나 올해의 정신을 이어가고 싶다.

 

또한 2018년부터의 시간이 앞으로 이어질지를 승인하고 결정한다는 미국의 시간도 걱정스럽다. 지금 미국은 오늘날 한반도의 변화 에너지 앞에서 정상회담 이후의 행동이 없다. 아마 그들은 한반도 역사 속에 투영되고 이해된 자신들의 모습을 현재에서 바라보아 현상적으로 이해해서 그러할 것이다. 그들에게 이른바 내적 역사는 가시화되지 않는다.

 

1905년 가쓰라태프트 밀약, 19459월 이 땅의 해방군이 아니라 점령군이었던 미군, 1950년 초의 철군, 1980년 광주의 미국을 필자는 대학에서 알았다. 그 이전의 미국은 달랐다. 미군은 포천의 초등학교에 다니는 아이들에게 우유를 양동이로 날라 주었다. 그 우유는 맛있었다. 미제란 다른 나라였으면 미국 제국주의일 수 있었겠지만 한국 초등학생에게는 미국산 물품으로 각인됐다. 미제는 오늘의 한국에서, 코스트코에 넘쳐난다. 사람들은 줄을 서서 미제를 카트에 담으며, 필자도 그렇다.

 

미군 우유를 얻어먹은 초등학생을 거쳐 1980년대 한국 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하고 나아가 정치철학에 관심을 두는 교수로 살면서 토크빌의 미국의 민주주의를 읽기도 하고 오바마 전 대통령의 가족 사진을 볼 때도 있다. 그러는 가운데 2018년을 떠나보내는 물리적 시간인 연말에 서 있다.

 

시간은 오늘날 물리적으로 측정되곤 하지만 시간은 체험돼 내 안에 쌓인다. 그래서 역사의식이라는 말도 등장한다. 이제 구세군의 자선냄비가 등장해 세모를 알리는 지금, 20세기 한반도 역사에서 출생한 이들이 3만 달러 소득과 광장 민주주의를 내용으로 채우는 이 공동체에 어느 정도는 자주적 결정권이 있어야 한다고 한 명의 시민으로, 아울러 한 명의 지식인으로 발언하고 싶다. 2018년의 뜻을 잇는 2019년을 고대한다.

 

 

< 원문 출처 >

한국대학신문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204478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49949

'국대 출신' 권기형 달구벌명인 미용사(서경대 미용예술대학 교수) file

'미용은 하나의 예술이자 스포츠'…헤어아트로 인정받고 싶어 권기형(58·미용) 대구시 달구벌명인이 22일 대구 수성구 두산동에 위치한 자신의 헤어샵에서 헤어 디자인을 하고 있다. “처음 미용사로 일할 때 동물원 원숭이 보듯...

서경대 예술교육원 모델연기전공 김서희 학생, 스승 김태연 교수에게 보낸 감사편지 ‘훈훈’ file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코로나19)으로 대다수 대학에서 비대면 온라인 강의란 초유의 사태를 맞고 있는 가운데, 국내 한 대학 교육현장에서 지도 교수와 학생 간 따뜻한 마음을 전하는 사연이 알려지면서 따뜻한 감동을 ...

올해 마지막 대입적성고사…11개 대학 4485명 선발 file

교육부 대입개편 따라 2022학년부터 폐지 내신 3~5등급 중위권 학생이 주요 수요자 대학별 출제…시험과목·문항·시간 제각각 대학별 고사인 대입적성고사전형이 올해를 끝으로 폐지된다. 앞서 교육부가 2018년 8월에 발표한 2022학년...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 문화콘텐츠로 5·18 40주년 되새긴다. file

5·18 민주화운동 기념 특별전 마련 유재헌·정해운 작가 미디어로 형상화 '나는 광주에 없었다' 등 의미 가치 전파 미디어아트를 매개로 5·18 광주민주화운동의 의미와 교훈을 살펴보는 뜻깊은 전시회가 열린다. 문화체육관광부 국...

대학가 '반도체학과' 신설 바람…'비메모리 1위' 꿈 영근다 file

▲ 삼성전자의 반도체 생산공장에서 관계자들이 작업을 하고 있다. 대학가에 ‘반도체학과’ 신설 바람이 불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이 시작되면서 반도체가 핵심 산업으로 떠오르고, 관련 고급 전문 인력 수요도 덩달아 늘어날 것...

‘IN서울’ 대학 학생부교과전형을 노린다면 file

대학별로 교과 성적 산출 방식‧등급에 따른 점수차이 달라 ‘IN서울’ 대학 학생부교과전형의 선발인원은 매우 적다. 때문에 ‘IN서울’ 대학을 염두에 둔 수험생들은 학생부교과전형보다 학생부종합전형, 논술전형, 정시전형에 집...

[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국제비지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나의 롤모델 file

대학에서 비대면 강의를 실시한 지 한 달이 됐다. 나는 신입생들 얼굴도 못 본 채 온라인 강의를 진행하느라 매일 집에서 지내고 있다. 내가 만든 강의에서 부족한 점이 눈에 띌 때마다 고문당하는 기분이다. 고백하건대 몸...

[진세근 서경대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 漢字, 세상을 말하다] 苦難<고난> file

기독교는 지난주를 苦難(고난)주간으로 지켰다. 십자가에 달린 예수의 수치와 고통 그리고 죽음의 의미를 헤아리는 시간이다. 회개와 순종이 목적이다. 기독교인에게 苦難은 救援(구원)을 이루는 과정이 된다. 코로나19의 진원지 중...

[조정근 서경대 경영학부 교수 조선비즈 국제세무칼럼]미국에 부동산 구입 후 한국서 사망... 상속세는 어느 나라에? file

본인이 운영하던 회사를 미국의 한 사모펀드에 매각한 A씨. 주식 매각대금으로 맨해튼 조망이 가능한 뉴저지의 허드슨 강변에 위치한 아파트를 사려고 했다. 당장 미국에 건너가 살 생각은 없지만 뉴저지의 풍부한 임대 수요와 ...

[진세근 서경대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 漢字, 세상을 말하다] 疏外<소외> file

코로나19의 위세가 한풀 꺾였다. 사회적 거리두기는 종료됐지만 지난 6일부터 생활 속 거리두기는 계속 유지하기로 했다. 아직은 안심할 때가 아니기 때문이다. 중국에서도 사회적 거리두기(保持一定的社會距離) 캠페인이 한창이다...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