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세계의 고등교육 ⑧ 아시아대학의 국제화 

아시아 대학들이 약진하고 있다. 그중에서 싱가포르, 홍콩, 중국대학의 약진은 괄목할만하다. 2018년 QS 세계대학평가 결과를 보면 싱가포르국립대 아시아 1위, 세계 11위, 난양공대 세계 12위를 기록한다. 그리고 홍콩대학 25위, 중국 칭화대학 17위, 북경대학 30위이다. 아시아대학들이 이런 세계적 수준의 대학을 탄생시킨 비결은 무엇인가. 

우선 정부의 대학혁신을 위한 천문학적 예산지원을 들 수 있다. 중국의 칭화대는 한해 예산이 4조원에 육박한다. 이는 국가와 지방정부의 재정지원이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특히 이 대학은 학비, 기부금 입학,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지원, 학교기업운영, 연구비 수주 등 재정수입이 다변화돼 있다. 싱가포르 난양공대도 1년 예산이 3조원이 넘는다. 난양공대의 정부지원은 전체예산의 70%에 달한다. 그런데,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다. 바로 대학 국제화 정책이다. 이들 나라들은 대학교육을 혁신하고 경쟁력을 높이고자 대학의 국제화를 추진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싱가포르는 1997년 동아시아 경제위기 이후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교육 시스템의 전반적인 개혁을 시도한다. 이중에서 대학교육의 국제화는 싱가포르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한 정책이다. 바로 글로벌 스쿨하우스라는 정책이 그것이다. 이 정책은 세계적 명문대학을 유치해, 자국대학의 수준을 높이고, 국제경쟁력을 높이자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싱가포르정부는 외국대학에 대한 학교부지제공, 법인세 면제 등 맞춤형 지원을 실시했다. 영리목적 외국대학도 가능하게 해 과실송금을 허용했다. 또 외국에서 유치된 대학에 대해 파격적 재정지원도 실시했다. 듀크대 3억1천만불, MIT 7년간 1억 달러 등이 지원됐다. 이런 노력의 결과 싱가포르에는 45개 이상의 공동학위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특히 2013년 개교한 예일-NUS대학은 157명을 뽑는데 130개국 11,400명이 올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중국의 경우도 다르지 않다. 중국도 대학 국제화 및 이를 통한 대학교육의 선진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해왔다. 중국은 개혁개방이후 국가발전차원에서 외국대학 유치를 추진해왔다. 이제 중국에는 수많은 외국대학이 들어와 있다. 상해뉴욕대는 국제화된 학습 환경의 도입을 통해 세계에서 통하는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이 학교의 교육 시스템은 기존 중국대학들과 완전히 다르다. 학부 1, 2학년에는 핵심과정에 대한 수업을 진행한다. 전공교육은 3, 4학년에 실시한다. 핵심과정은  언어, 사회 및 문화기초, 글짓기, 수학, 과학중심이다. 수업과정에서 사회관찰, 연구 활동, 실습 등이 중시된다. 한국에도 잘 알려진 닝보노팅엄대는 6000 여명의 재학생이 졸업 후의 진로를 걱정하지 않는다. 국제 표준에 맞는 교육덕분에 대부분 다국적기업에 취업하기 때문이다.

싱가포르, 중국 등 아시아 대학들은 이미 외국대학과의 공존을 통해 새로운 발전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취약한 부분을 보완하는 기회로 외국대학을 활용하고 있다. 싱가포르 국립대학은 20여년전만해도 별 볼일 없는 대학이었다. 그런 대학이 세계적 대학으로 발돋움한 것은 바로 외국대학 유치를 통한 국제화 덕분이다.

이제 한국도 외국대학의 우수프로그램과 선진적 학사운영기법이 대학에 들어올 수 있도록 문호를 개방해야 한다. 우리끼리의 경쟁에 매몰돼 있는 상황에서는 대학의 근본적 변화는 어렵다. 이제 지역을 제한하고, 독립법인으로만 외국대학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을 손봐야 한다. 외국대학과 한국대학이 한 캠퍼스 안에서 자유롭게 교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래야만 외국대학의 선진적 학사관리, 학문체계 등의 벤치마킹이 가능하다.

또 우리 대학의 질과 국제화 수준을 높일 수 있다. 우리에게 당면한 외국유학생의 유치도 훨씬 수월해진다. 한국대학은 이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 됐다. 이런 상황을 어떻게 벗어날지 정책당국, 대학구성원이 함께 지혜를 모아야 할 때다.

구자억 처장.jpg
구자억 서경대 대학원장 겸 서경혁신원장

< 원문 출처 >
교수신문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43202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1783

중국 미용전문대 졸업생들, 서경대로 몰려온다 file

후베이과기직업학원, 서경대와 ‘전문대 3년-본과 2년 연계 (3+2) 교육 프로그램’ 협약서 체결 중국학생들, 3년 과정 졸업한 뒤 서경대 본과 3학년 진학 협약 기간은 5년, 합의할 경우 연장 가능 과기학원, “미용 외 다른 전공으...

무명에서 무티의 프리마돈나로…"타고난 사람 아니예요" file

서울무대 데뷔 소프라노 여지원, 무티와 함께 '베르디 콘서트' 선보여 리카르도 무티와 한 무대 서는 여지원 (서울=연합뉴스) 이재희 기자 = 소프라노 여지원이 3일 오전 서울 종로구의 한 식당에서 열린 &apos;무티 베르디...

[임성은교수기고]총리 후보부터 공개하라 file

임성은 | 서경대 교수·공공인적자원학부 차기 대통령이 처한 상황은 경제적 불황, 미·중 갈등 심화, 여소야대 등 어느 것 하나 쉬운 게 없다. 그보다 더 신경 써야 할 것은 측근 비리, 친·인척 비리로부터 자신의 방어다. ...

강서·양천·목동 에르모소 미용학원, 제4회 서경대 스타킹대회 위촉식 참가 file

4월 1일, 한국업스타일 전문가협회에서 주관하는 제4회 스타킹 월드뷰티콘테스트 위촉식이 서경대학교 유담관에서 개최됐다. 강서·양천·목동 에르모소뷰티아카데미 김소연 원장이 제4회 스타킹대회의 심사위원장으로 위촉됐다. 김 원장...

서경대학교,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와 사물인터넷(IoT) 전문기술인력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4월 7일(금) 오전 11시 교내 본관 3층 대회의실서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4월 7일(금) 오전 11시 교내 본관 3층 대회의실에서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와 사물인터넷(IoT) 전문기술인력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

서경대학교, 영화 ⌜지니어스⌟ 시사회에 재학생 100명 초청…개교 70주년 기념행사 일환. 함께 영화 보며 소통하는 자리 가져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개교 70주년을 기념해 4월 10일(월) 오후 7시 청량리 롯데시네마에서 열린 영화 ⌜지니어스⌟ 시사회에 재학생 100명을 초청, 함께 영화를 보며 소통하는 자리를 가졌다. 영화나 예술 관련 학과가 많은 ...

서경대학교, 안암초등학교와 소프트웨어 영재 아카데미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최근 서울 안암초등학교(교장 송영미)와 소프트웨어 영재 아카데미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주요 협약내용은 △서경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소프트웨어 영재 교육 관련 전문지식, 경험, 역량 및 자...

서경대, ㈜에이블씨엔씨(미샤)와 산학협력을 통한 동반성장 및 미용산업의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4월 11일(화) 오후 4시 교내 본관 대회의실(3층)에서 ㈜에이블씨엔씨(대표 서영필, 이하 ‘미샤’라 함)와 산학협력을 통한 동반성장 및 미용산업의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 체결에 ...

방재홍 회장(서경대 겸임교수), ‘고려대 글로벌비즈니스 과정'서 ‘평판관리의 의미와 방향’ 강연 file

방재홍 회장 "평판은 자본이 될 수 있다, 평판이 돈이고 자본이고 금이다" 방재홍 서울미디어그룹 회장(왼쪽에서 다섯 번째)의 ‘평판관리 의미와 방향’에 대한 강의가 끝난 후 기념촬영을 하는 고려대 글로벌 비즈니스 과정 원...

중국 교육전문가들 시선, 서경대에 꽂혔다 file

베이징 국제교육사업협의회 컨퍼런스에 서경대 미용예술학과 참가 40여 개 교육전문 에이전트 기업, 서경대 부스 찾아 질문 쏟아내 석·박사 과정, 단기 프로그램 관련 집중 질문 중국 대학과 서경대간 자매결연 주선 뜻 밝혀 중...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