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4개 성 각각 한글자 한자로 풀어

참고문헌 500, ·공간 교차

전문적 관점, 영화 같은 재미 선사

 

한글자 중국.JPG 

한글자 중국: 중국의 탄생

김용한 지음

휴머니스트


한글자 중국(2).JPG 

한글자 중국: 중국의 확장

김용한 지음

휴머니스트


정암(定庵) 공자진(龔自珍: 1792~1841)은 중국 문학도에게는 스타 시인이다. ‘300년 만의 최고 시인이란 칭송을 받은 인물이다. 시만 걸출했던 건 아니다. 인물 또한 비범했다. “시와 사람은 하나다. 사람 밖의 시 없고 시 밖의 사람 없다(詩與人爲一, 人外無詩, 詩外無人)”는 정암 자신의 말 그대로의 인생을 살았다.

연작시집 기해잡시(己亥雜詩)5()를 보자.

근심 호탕하게 등지니 해는 기울고(浩蕩離愁白日斜),

흥얼대며 말 몰아 동으로 가는데 문득 절벽이다(吟鞭東指即天涯).

떨어진 꽃이 어찌 무심한 물건일까(落紅不是無情物),

진흙이 되어 꽃 더욱 키우는데(化爲春泥更護花).”

평생 몸담은 관직을 떠난 자, 낙향자의 심정이 이처럼 절절할 수 있을까. 첫 두 절은 관직을 버리면서 느끼는 홀가분함, 그러나 쓸쓸하고 허전한 마음이 절묘하게 섞여 있다.

후반 두 절이 백미(白眉). ‘떨어진 꽃이 어찌 무용지물일 수 있겠나. 땅에 떨어져 양분되어 새 꽃을 더욱 잘 키울 수 있는데라는 의미다. 은퇴 후의 삶이 은퇴 전의 삶 못지않게 국가와 민족에게 봉사할 수 있음을 노래한 절창(絶唱)이다.

한글자 중국을 쓴 김용한도 정암처럼 스스로 은퇴했다. 그리고 중국으로 간다. 물리학을 전공한 과학도답게 그의 시선은 글자 한 자(一字)라는 미시적 포인트에 주목한다. 중국의 각 성()을 상징하는 한 글자에서 그는 무한대로 중국을 읽어 낸다.

이 책의 특징은 여러 겹의 교직(交織)이라는 점이다.

한글자 중국(3).JPG

우선 시간과 공간의 교직이다. 저자는 글자 한 자에서 각 지역의 현재와 과거, 그리고 공간의 광대함과 다양함을 동시에 포착한다. 설명은 놀랄 만큼 세밀하고, 동시에 포괄적이다.

중앙 집권과 지역 분산의 교직도 등장한다. 통합과 통일을 지향하는 중앙 정부의 구심력과 여기에 저항하는 지역 제후들의 원심력이 여러 동심원을 그리며 겹쳐진다.

마지막 교직은 탄생과 확산의 혼재다. 중원 문화의 묵직함과 넉넉함, 지역 문명의 다양한 색채가 변증법적으로 분출한다.

무리가 안 보이는 건 아니다. 한반도보다 넓은 성() 34개를 각각 하나의 키워드로 묶어내기가 힘겨워 보이는 대목이 적지 않다. 이런 무리를 무리 없이 덮어준 것이 풍성한 전고(典故)와 사진이다.

각 성별로 적게는 열 개, 많게는 서른 개 가까운 참고 문헌이 등장한다. 상권에 해당하는 중국의 탄생과 하권 격인 중국의 확장두 권에 등장하는 참고문헌은 500개가 넘는다. 이 서평을 쓰는 필자도 중문학도이고, 베이징 특파원과 홍콩 특파원을 지내면서 한국인이 쓴 중국 관련 책들을 적지 않게 섭렵했지만, 이토록 풍부한 전고를 담은 저서는 아직 만나지 못했다.

풍부함이 주는 혜택은 다양성이다. 후난(湖南)성을 다룬 ()’자 편에는 삼국지의 유비, 태평천국의 백성, ()중국의 창건자 마오쩌둥(毛澤東), 그리고 현대 기업인과 노동자가 물 흐르듯 등장한다. 자연 생동감이 넘친다.

또 다른 혜택은 포용이다. 세세한 전고는 전문적 팩트와 관점을, 풍부한 사례는 영화를 보는 것 같은 대중성과 오락성을 동시에 선사한다. 전문가와 일반 독자를 두루 포용할 수 있는 구조다.


완전함을 추구하면 오히려 비어 보이기 쉽다는 점을 염두에 두었기 때문일까? 저자는 중국 전역을 훑으면서도 유독 티베트(西藏)만은 빼놨다. 본인이 직접 가보지 못했다는 게 이유다. 설명치곤 좀 궁색하다. 티베트 입경에는 여행 허가증을 받아야 하는 까다로운 절차가 있긴 하지만 불가능한 노릇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다른 이유는 뭘까? 중국어판을 염두에 둔 포석일 수 있다. 티베트를 얘기하려면 슬픈 병탄의 역사, 그리고 참혹한 진압과 학살의 상흔을 얘기하지 않을 수 없다. 중국에서는 절대 금기시되는 대목이다.

제대로 들여다보기 위해 미뤄 놓았을 수도 있겠다. 티베트의 역사는 복잡하다. 한인(漢人) 이주 정책과 영토 할양 탓에 섞이고 찢겼기 때문이다.

책 두 권 안에 담긴 34개 성 하나하나가 빛나는 보석처럼 다가온다. 히스토리(History)와 스토리가 공존하기 때문이다. 그 보석을 캐내는 것은 이제 독자 몫이다.



< 원문 출처 >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3132752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2679

김유경 서경대 교수의 ‘드라마 속 뷰티’ 따라잡기 file

연예인의 크고 그윽한 눈의 비밀... ‘아이라인 그림자’ 만들기 [한강타임즈] 가을은 이제껏 더위에 지친 마음에 한껏 바람을 불어넣고 있다. 짙은 녹음이 사라지고 절기가 가을로 접어들면 분위기 있는 여성스러움이 아름다울 ...

‘2019-2020 금천 청소년 뮤지컬 레미제라블’ 7기 단원 공연 file

2월 28일(금) 금천구 금래아트홀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코로나 19' 전국적 확산에 따른 예방 및 안전조치로 공연 관람 취소, 영상기록으로 대체돼 제7기 금천 청소년 뮤지컬 레미제라블 스쿨 공연 포스터 서울시 금천구청(구청장...

‘서경대 사람들’ 인터뷰: 박상진 제5대 문화콘텐츠학부 학생회장 file

“모두들 달달한 학교생활을 하길 바래요.” 박상진 제5대 문화콘텐츠학부 학생화장은 학생들의 달달한 학교생활을 위해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매주 집행부 회의를 진행하고 크고 작은 학부 행사를 진두지휘하며, 새로운 학교...

서경대 학군단, ‘제12회 청야 무제’ 열어 file

11월 22일(수) 오후 6시 본관 8층 컨벤션홀서 머지않아 장교로 임관하는 후보생들의 웅혼한 기개 발산 그동안의 성과 공유하고 선후배 간 화합의 장 돼 서경대학교 학군단(단장 김대진 중령) 무인들의 축제인 ‘청야 무제’가 ...

신세영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 부학장, ‘K-뷰티 엑스포 베트남(K-BEAUTY EXPO VIETNAM)' 참가…K-뷰티의 세계적인 아름다움과 역동성 알려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의 신세영 미용예술대학 부학장은 지난 6월 15일(목)부터 17일(토)까지 3일간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이영창) 주최로 베트남 호치민시 사이공엑스비션컨벤션센터(SECC)에서 개최된 ‘K-뷰티 엑스포 베트남(K-BEA...

대학 유학생 학위 장사에 수업의 질 악화 우려

언어능력 부족한 유학생들, 대학 강의 못 따라가 무분별한 유학생 유치로 국내 대학생 불만 늘어 대학 "어학당·비학위과정 학생까지 관리 어려워" "정부, 건전한 시장으로 유도…대학체질 개선 도와야" 전문가들은 학령인구 감소로...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동계학술대회 개최 file

서경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주관으로 12월 7일(토) 오후 1시 교내 유담관 11층서 열려 서경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학과장 이희주 교수) 주관으로 2019년 12월 7일(토) 오후 1시부터 6시까지 교내 유담관 11층에서 글로벌문화콘텐츠학...

선수촌의 헤어디자이너들 : “머리 다듬은 선수중 금메달리스트 나온다면 영광이죠” file

커트·스타일링 등 ‘공짜’ 男선수들 ‘투 블록 컷’ 선호 “선수들 만족땐 피로 사라져” ▲ 여자 크로스컨트리스키에 출전하는 스웨덴의 에바 안데르손이 8일 평창선수촌 내 미용실에서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를 받고 있다. 8일...

서경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백가은 학우 외 3명으로 구성된 ‘SELF ME’ 창업팀, 중소벤처기업부 주최 ‘2020 예비창업패키지 스타트업 사업’에 최종 선정돼…백가은 학우 인터뷰 file

서경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백가은 학우 외 3명으로 이루어진 ‘SELF ME’ 창업팀이 중소벤처기업부와 창업진흥원이 주최하는 ‘2020 예비창업패키지 스타트업 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예비창업패키지 스타트업 사업은 혁신적인 기...

서경대 사람들 인터뷰: 강규승 서경대 공연예술학부 연기전공 4학년(공연예술학부 하계 워크샵 공연 ‘시라노 드 베르주라크’ 연출) file

“방학을 그냥 보내고 싶지 않아 이번 공연 기획” “이번엔 18세기 고전작품이었는데 앞으로는 현대 창작극이나 실험극에 도전해 보고 싶어” 9월 14일부터 16일까지 3일간 교내 북악관 8층 스튜디오 810에서 열린 서경대학교 ...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