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2018 아시아 대학평가]

10년새 100위권내 대학 1123통큰 투자로 전세계 인재들 영입


올해 '아시아 대학 평가'의 특징은 중국 상위권 대학들의 눈부신 선전이다. '아시아 대학 톱 10'에 중국의 칭화대(3베이징대(5푸단대(6)가 올랐으며, 지난해보다 전부 순위가 상승했다.

 

특히 칭화대는 역대 최고인 '공동 3'를 차지했다. 지금까지 '아시아 톱3'에는 싱가포르·홍콩·일본·한국 대학만 이름을 올렸는데, 처음으로 중국 대학이 들어갔다. 20위 이내 대학 수(5), 100위 안에 든 대학 수(23)도 중국이 가장 많다. QS 측은 "경쟁이 치열한 아시아 대학 시장에서 중국 대학들이 거대한 변화를 만들고 있다"고 했다.

 

중국 대학 평가 순위.jpg


중국 대학의 상승세는 지난 10년간 100위권 내 대학 숫자에서도 나타난다. 한국은 아시아 상위 100위 안에 든 대학 수가 200917곳에서 올해 18곳으로 거의 제자리걸음이었다. 반면 중국은 11곳에서 23곳으로 두 배 이상으로 늘었다. 국가별 상위 10개 대학의 평균 순위에서도 한국은 2009년 평균 33.7위였다가 올해 25.8위로 8계단 올랐지만, 중국은 같은 기간 평균 40.2위에서 출발해 올해 22.7위까지 18계단이나 뛰었다.

 

중국 정부의 대대적인 고등교육 투자가 결실을 보고 있다는 분석이 많다. 1990년대부터 중국 정부는 '211공정(100여개 대학 육성)' '985공정(39개 대학 집중 육성)'이란 이름으로 소수의 대학에 예산을 집중하는 정책을 펼쳤다. '부자가 될 수 있는 사람을 먼저 부자가 되게 하라'는 선부론(先富論) 정책이다. 2006년엔 세계 100위권 대학에서 1000명의 인재를 데려와 중국 100개 대학에서 연구하도록 하는 '111 공정'을 추진했다.

 

대학에는 돈이 몰리고 있다. 2017년 중국 교육부가 밝힌 칭화대 1년 예산은 2233500만위안(36544억원), 베이징대는 1934500만위안(31652억원)이다. 서울대 1년 예산(7972억원)4배가 넘는다. 이 대학들에는 중앙 정부가 주는 예산 말고도 지자체 예산, 기부금, 산학 협력 수익 등이 쏟아져 들어온다.

 

여기에 개별 교수들의 연구를 독려하는 경쟁 시스템이 시너지를 내고 있다. 구자억 서경대 대학원장은 "교수 승진 심사가 '논문 수'에 따라 결정되고 논문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교수들이 더 좋은 대우를 받는다""성과가 탁월한 교수는 죽을 때까지 임기를 보장해주므로 교수들이 연구·교육 역량에 전력을 다한다"고 말했다. 그 결과 올해 평가에서 베이징대와 칭화대는 학계 평가에서 기존 강자인 일본·싱가포르를 위협할 만큼 선두권으로 치고 올라왔다.

 

전 세계에서는 우수한 교수와 학생들이 중국 대학으로 몰려온다. 중국 정부는 세계적 학자 2000명을 영입한다는 '천인계획(千人計劃)', 자국 내 고급 인재 1만명을 육성하기 위한 '만인계획(萬人計劃)'을 강력히 추진 중이다. 임대근 한국외대 교수는 "세계 곳곳의 두뇌를 중국 대학에 유치하고 유능한 학자를 길러내기 위한 인적·물적 투자의 결과가 오늘날 칭화·베이징·푸단 등 세계적인 대학 배출로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 원문 출처 >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0/24/2018102400241.html?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news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4102

공부와 취업, 한 번에 잡는 ‘슬기로운 대학생활’ 기획시리즈 <17> 이공대학 소프트웨어학과 편 file

코로나 19 확산 여파로 온라인 수업이 장기화 되면서 오랫동안 학교에 나오지 못하고 있는 학생들이 그동안 정상적인 대학생활에서 누리던 전공 관련 학습 노하우나 진로 및 취·창업에 도움이 되는 정보 등을 접할 수 없어 ...

서경대학교, ‘제7회 전국 뮤지컬 경연대회’ 개최 file

7월 24일(토) 오후 1시 서경대 본관 8층 컨벤션홀서 ‘제7회 서경대학교 뮤지컬 경연대회’ 포스터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7월 24일(토) 오후 1시 교내 본관 8층 컨벤션홀에서 ‘제7회 서경대학교 전국 뮤지컬 경연대회...

[ 2021 정시 입학정보 ] 서경대학교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4차 산업혁명과 융복합 시대에 필요한 맞춤형 학제 개편으로 창의융합형 실용인재 양성에 나섰다. 최근 융합대학 설립을 비롯해 가상현실(VR) 미래융합센터 운영, 나노화학생명공학과, 물류시스템공학과, ...

공부와 취업, 한 번에 잡는 ‘슬기로운 대학생활’ 기획시리즈 <3> 사회과학대학 군사학과 편 file

코로나 19 확산 여파로 온라인 수업이 장기화 되면서 오랫동안 학교에 나오지 못하고 있는 학생들이 그동안 정상적인 대학생활에서 누리던 전공 관련 학습 노하우나 진로 및 취창업에 도움이 되는 정보 등을 접할 수 없어 어려...

KIFFA, 제15기 국제물류청년취업 아카데미 입교식 치러 file

한국국제물류협회(KIFFA)는 지난 20일 제15기 국제물류 청년취업아카데미(단기과정) 입교식을 갖고 약 2개월간의 대장정에 돌입했다. 이번 아카데미 과정에서는 국제물류 이론·실무에 대한 내용을 총망라해 교육할 예정이다. 이론과 ...

[진세근 서경대 겸임교수 칼럼]시진핑, 옛 구절로 경제를 말하다 file

경제와 정치가 정확히 갈라지는 지점을 찾을 수 있을까? 아마도 불가능할 듯싶다. 경제와 정치는 동전의 앞 뒷면 정도가 아니라 마치 꽈배기처럼 한 몸으로 엉켜 맞물려 돌아가는 ‘생물(生物)’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경제를 ...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뮤지컬학과 2019년 1학기 정기공연 <지붕 위의 바이올린> 성황리에 막 내려…공연 연출 맡았던 뮤지컬학과 이종석 교수 인터뷰 file

▲서경대 문예관 문예홀에서 공연한 뮤지컬 <지붕 위의 바이올린>의 한 장면 ‘실용이 최고의 가치다’라는 슬로건 아래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뮤지컬학과는 커리큘럼 자체를 재학생들이 졸업 후 진출할 산업 현장과 동일하게 구성...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연극 ‘세일즈맨의 죽음’ 공연 현장을 다녀오다 file

10월 1~3일 북악관 8층 북악홀서 3차례 무대 올려 800명 관객 동원, 성황리에 마쳐 공연예술학부의 2학기 첫 번째 정기 공연 연극 ‘세일즈맨의 죽음’이 지난 10월 1일부터 3일까지 사흘간 총 3번에 걸쳐 북악관 8층 북악홀...

공연-영상-음악-미용 분야 교육환경 우수 file

1947년 최초의 정규 4년제 야간 대학으로 출발한 서경대는 실용학문 71년 역사를 자랑한다.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서경대의 노력은 교육부 2주기 대학기본역량진단 평가 결과 자율개선 대학 선정, 교육부 4주기 교원양성기관 평가...

웹케시, ‘rERP’로 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 환경 혁신 file

국립한경대‧건양대‧서경대‧동명대 등 4개 산학협력단에 ‘rERP’ 구축 산학협력단 전체 업무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 관리 지원 웹케시(대표 강원주)는 한경대학교, 건양대학교, 서경대학교, 동명대학교 등 4개 대학교 산학협...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